아주대학교 연구진이 자유롭게 접고 펼칠 수 있는 3차원 전자장치 신기술을 개발했다.
11일 아주대는 한승용 교수팀(기계공학과)이 고강도·고유연의 섬유 강화 '오리가미' 전자장치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오리가미'는 종이접기를 뜻하는 말로, 최근 유연한 전자소자를 접었다 펴는 등 3차원 기술이 주목받으면서 오리가미 구조를 디스플레이 등 전자장치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활발했다.
현재까지 디스플레이 기술 사용례는 접히는 곳이 두 군데인 두 번 접는 휴대폰 정도로, 아직 안쪽으로 접는 인폴딩은 가능하나 바깥쪽으로 접는 아웃폴딩은 구현하기 어렵다. 그러나 아주대 연구팀이 이번에 개발한 방식을 활용하면 인폴딩과 아웃폴딩 구현이 자유자재로 가능하다.
아주대 연구팁은 접을 수 있는 유연한 고분자 소재 기반의 전극에 찢어지지 않는 나일론 섬유를 내장한 복합체를 적용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유연 전극은 디스플레이를 접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최소화하고 전도성 변화를 억제해, 기존 기술에서 발생하던 성능 저하 문제를 해결했다.
한승용 교수는 "이번 성과가 평면과 입체를 자유롭게 오가는 차세대 4D 디스플레이 및 웨어러블 전자기기 개발의 뿌리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안규용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