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학생들에게 쓰여질 문화교육 예산이 크게 줄면서 대안 마련에 지역 정가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11일 인천시교육청에 따르면 내년도 본예산은 올해 본예산 대비 88억 원(0.2%)이 감소한 5조 2887억 원으로 편성했다.
그간 인건비와 각종 복지사업 등 경직성 경비 증가로 가용재원이 출소된 상황에서 신규사업을 줄이고 자신취득 및 소모성 경비를 최소화한 결과다.
이 때문에 시교육청과 5개 교육지원청, 직속 기관 등이 추진할 교육 사업 대부분에서의 예산이 크게 감액된 것으로 파악됐다.
이들 기관 사업 대부분이 예산을 사용하는 만큼 전체 교육 예산에 줄어든데 따른 파급 효과인 셈이다.
이에 중구 인현동에 위치한 인천학생문화교육회관 등 학생들을 위한 인천지역 시설 대부분에서의 지원 사업이 상당기간 정체될 것으로 관측된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내년 예산이 올해 대비 소폭 줄어든 것으로 보이지만 실질적으로는 많이 줄어든 것”이라며 “정확하게 특정할 순 없지만 학생 지원 사업 대부분에서 예산이 반영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지역 정가에서도 이 같은 문제에 관심을 갖고 각 기관들의 대응책을 점검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정종혁 인천시의원(예산결산특별위원회·서구 제1선거구)은 지난 10일 열린 인천학생문화교육회관 행정감사에서 내년도 예산 감축에 따른 대응책을 질의했다.
답변에 나선 김호섭 관장은 회관 운영을 위해 우선 사업 위주로 예산을 편성, 사용할 게획을 언급했다. 사실상 회관 운영에 초점을 맞춰 허리띠를 졸라 매겠다는 설명이다.
이에 대해 회관 관계자는 “내년 예산이 올해보다 많이 부족한 만큼 학생 교육 행사 우선이 아닌 회관의 운영과 관련된 우선 사업 비중에 맞춰 예산을 사용하겠다는 설명”이라며 “추가경정예산 등 상황에 맞춰 대응책을 모색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지우현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