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수도권 생활폐기물의 직접 매립(직매립)이 전면 금지되지만 인천과 서울, 경기, 기후에너지환경부간 4자 협의체가 뚜렷한 대안을 내놓지 못하면서 매립지 일대 주민들의 불안이 가시화돼고 있다.
13일 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에 따르면 검단 주민단체와 수도권매립지 문제해결 범시민운동본부는 이날 오전 환경부 앞에서 피켓 시위를 갖고 김성환 장관 면담을 요구했다.
이날 시위에는 이시용 검단주민연합 상임대표와 추경숙 공동대표, 안병흔 검암리조트시티연합 공동대표, 김송원 인천경실련 사무처장 등이 참석했다.
이들은 ‘2026년 수도권매립지 직매립 금지 시행 촉구 및 김성환 장관 면담 요구’가 적힌 피켓을 들며 최근 김 장관이 인천시 등에 ‘제도 시행 유예를 제안’한 언론보도 등에 따른 해명을 요구했다. 하지만 끝내 김 장관을 만나지는 못했다.
특히 이들은 서울시와 경기도가 ‘공공 소각장 전량 처리’가 어려워 민간소각장까지 이용할 경우 처리 비용이 크게 늘어 부족한 예산에 쓰레기 대란 사태가 생길 수 있어 직매립 금지 제도를 유예하도록 요구하고 있는 것과 관련, 절대 동의 할 수 없다는 입장도 피력했다.
김송원 인천경실련 사무처장은 “소각장 등 폐기물처리시설의 적기 설치에 실패한 것은 엄연히 정책 소관 부처인 환경부의 책임이 크다”며 “수도권 쓰레기 대란 사태 우려에 대한 책임을 인천시민에게 전가해선 안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인천 정치권도 정부의 눈치가 아닌 시민들의 눈치를 봐야한다. 예정대로 직매립 금지 제도 시행에 박차를 가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며 “앞으로도 자원순환사회 실현을 위해 공동으로 투쟁을 지속하겠다”고 덧붙였다.
[ 경기신문 / 인천 = 지우현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