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범죄가 급증하고 있다고 한다. 경찰청 통계를 보면 우리나라 고령범죄자(65세 이상)는 2013년 7만7천260명에서 5년 뒤인 2017년 11만2천360명으로 45%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살인·강간·방화 등 강력범죄자는 2013년 1천62명이었는데 꾸준히 증가해 2017년 1천808명으로 70.2% 급증했고, 상해·폭행 등 폭력범죄자는 2013년 1만4천216명에서 2017년 2만350명으로 43.1% 늘어났다. 노인범죄자들의 범행 동기는 무엇일까? 지난해의 경우 부주의가 13.5%, 우발적인 경우가 13.1%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기타 25%(2만8천194명), 미상 38.3%(4만3천44명)였다. 특히 눈에 띄는 것은 노인 절도범죄의 상승률이다. 노인의 절도범죄는 2011년 3천746건에서 2016년 8천747건이었다. 2배 이상 늘어난 것이다. 전체 절도범죄자 중 노인의 비중이 8.22%나 된다. 노인 범죄가 증가하는 첫 번째 이유는 오랫동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1위를 지켜 온 노인빈곤 때문이라고 한다. 전문가들은 지나치게 높은 노인빈곤율이 재산범죄의 증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경찰청 범죄통계에 나타난 여러 유형의 노인
문재인 대통령이 5개 부처 개각을 단행했다. 예상했던 대로 교육, 국방, 산업통상자원, 고용노동, 여성가족부 장관을 교체했다. 정책 추진과정에서 논란을 낳거나, 정책 수요자인 민심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해 정부의 신뢰도를 떨어뜨린 부처, 장관의 존재감이 약했던 부처들이 대상이었다. 사회 부처의 신임 장관은 여당 국회의원을 기용해 개혁 기조를 유지하고, 경제 부처의 경우 경제관료들을 포진시켜 전문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진용이 짜였다. 교육부는 대입제도 개편 과정에서 혼선을 빚고 논란을 자초하면서 정책 신뢰도를 실추시켰다는 평가를 받았고, 진보·보수 교육단체 양쪽에서 장관 퇴진을 요구받아온 터라 새 출발이 요구돼왔다. 재선 국회의원인 유은혜 장관 내정자를 발탁한 것은 교육 정책의 개혁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뜻이 담겨있다. 교체 여부가 고심이었던 국방부 장관을 바꾼 것은 어수선한 ‘군심(軍心)’을 하루빨리 정돈하고 안보에도 한 치의 빈틈이 없도록 하는 차원에서 잘한 결정이다. 해군 출신 송영무 장관의 바통을 공군 출신 정경두 합참의장으로 넘긴 것은 육군 중심으로 짜인 군 기득권을 깨는 개혁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의지가 담겼다. 새 장관은 육·해·공군사이에 벽을 쌓는 ‘
1997년 OECD에서 제안한 인간의 역량 기준 프로그램으로 ‘DESECO(Defining and Selecting Key Competencies) 프로젝트’가 있다. 이 프로젝트의 핵심은 한 사람이 생애를 사는데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하는 핵심역량과 그 요인을 분석한 것이다. DESECO 프로젝트의 3가지 역량은 지적도구 활용역량, 사회적 관계역량, 자율적 행동역량으로 한 사람이 어떤 상황에서도 자신의 목적을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적절한 도구를 사용하되 사회적 관계 속에서 흐름을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인 것이다. DESECO 프로젝트의 연구결과 탄생한 것이 바로 ‘핵심역량’이라는 용어이다. 이 용어는 미래사회를 살아가는 학생들에게 핵심역량을 키우기 위해 결과보다는 과정을 중요시 하는 평가를 해야 한다는 것이 핵심 골자다. 그동안 한국의 초·중·고 교육은 학생을 서열화하였고, 학생이 알고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평가하는 결과 중심적인 평가를 지향하였다. 또한 교육과정, 교수·학습(수업), 평가, 기록의 연계도 이뤄지지 않았다. 위와 같은 문제점 해결과 핵심역량 함양을 위해 등장
모아종합건설이 양주시 옥정신도시에 ‘양주 옥정 모아미래도 파크뷰’ 견본주택을 31일 개관한다. 양주 옥정 모아미래도 파크뷰는 옥정지구 A6-2블록에 전용면적 58, 59㎡, 총 608가구 규모로 들어선다. 교통, 교육, 자연, 편의시설 등 다양한 인프라를 모두 누릴 수 있는 중심입지인데다 민간임대아파트로 실거주를 원하는 수요자들의 많은 관심이 예상된다. 분양 전환 시 우선분양 전환권 부여 최근 청약제도 개편으로 새 아파트를 분양받기 어려워지면서 청약통장 없이도 계약 이후 장기간 거주할 수 있는 민간임대아파트가 실수요층에게 각광 받고 있다. 양주 옥정 모아미래도 파크뷰도 최대 8년간 이사 걱정 없이 거주 가능하고 거주하는 동안 임대료 상승률은 연 5% 이내로 제한돼 임대료 상승 없이 주변시세보다 합리적인 조건으로 주거 안정을 보장받을 수 있다. 여기에 계약자에게는 8년 거주 이후 분양 전환 시 우선분양 전환권이 부여되며 일반분양 아파트와는 달리 전세기간 동안은 취득세나 재산세 등 보유세가 부과되지 않는다. 또 만 19세 이상이라면 청약통장 보유여부, 소득 제한, 주택 소유 여부에 상관없이 누구나 계약할 수 있다. 청약은 견본주택 개관과
소득세법에서는 영세사업자들의 편의를 위해 추계신고를 인정해 주고 있다. 추계는 세무조사 방법으로서 업종별로 경비율을 미리 정해 놓고, 조사된 매출액에 업종별 경비율을 적용한 경비를 차감해서 소득을 산출하는 방법이다. 영세사업자들이 지출 증빙을 잘 갖추지 못하는 경우, 세무조사를 하더라도 추계방식으로 과세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애초에 추계 방식으로 신고를 하더라도 인정을 해 주는 것이다. 물론, 이에 따른 가산세는 부담해야 한다. 경비율은 기준경비율과 단순경비율이 있는데, 단순경비율을 적용하는 것이 대체로 유리하다. 따라서, 단순경비율은 신규사업자로서 매출액이 업종별 복식부기 기준금액 이하이거나, 전기 매출액이 업종별 단순경비율 기준금액 이하인 경우만 적용받을 수 있다. 가령, 제조업의 경우, 복식부기 기준금액은 1억 5천만 원이고, 단순경비율 기준금액은 3천600만 원이므로, 2018년 매출액이 1억5천만 원을 넘으면, 2018년은 기준경비율이 적용되며, 2019년은 복식부기 의무자가 된다. 반면, 2018년 매출액이 3천600만 원 미만이면, 2018년과 2019년은 단순경비율로 추계신고가 가능하다. 2018년 매출액이 3천600만 원과 1억5천만 원
주대준(서일대학교 2년)씨의 작품 ‘What’s your color’이 2018년도 대한민국 가구디자인 공모전의 최우수 작품으로 선정, ‘산업통상자원부장관상’을 수상했다. 경기도는 29일 고양 킨텍스에서 ‘2018 대한민국 가구디자인 공모전 시상식’을 개최하고, 주대준씨 등 총 49작품을 입상작으로 선정했다. 주 씨의 작품은 가정용가구(의자)로, 3D 프린터로 제작한 이음매 등의 부품을 활용해 창의적인 디자인을 구현해 호평을 받았다. 사진은 가구디자인 박람회 모습. /경기도제공
현대건설이 고양시 삼송지구 도시지원시설 S4-2, 3블록에서 2천513실의 대규모 오피스텔 ‘힐스테이트 삼송역 스칸센’을 분양한다. 단지는 2개 블록으로 나눠 ▲2블록 지하 4층~지상 25층 1천381실 ▲3블록 지하 4층~지상 24층 1천132실로 전체 2천513실로 구성된다. 연면적은 약 18만1천여㎡로 63빌딩의 연면적(16만6천여㎡)를 웃돈다. 전용면적은 18~29㎡로 1~2인 가구 등의 생활에 최적화된 전체 소형으로 만들어지며, 462실에는 테라스 특화설계가 적용된다. 삼송역 역세권·몰세권·수세권 갖춘 최적의 환경 힐스테이트 삼송역 스칸센은 지하철 3호선 삼송역과 약 360m 거리로, 서울 종로권역까지 20분대로 이동할 수 있다. 현재 삼송역에서 용산역을 거쳐 강남까지 40분대에 잇는 신분당선 서북부 연장 사업이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에 선정돼 사업 추진에 탄력을 받고 있다. 인근으로 파주 운정신도시~화성 동탄을 연결하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A노선)가 2023년 개통예정이다. 약 2.5㎞ 거리에 통일로IC가 위치해 통일로를 통한 서울 도심권 진입도 편하고, 원흥~강매간 자동차전용도로를
‘수원시 아동친화도’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2년 전보다 전반적으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수원시에 따르면 시가 최근 아동 관계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8 아동친화도 조사’ 결과 ▲놀이와 여가 ▲참여와 시민권 ▲안전과 보호 ▲보건과 사회서비스 ▲교육 환경 ▲가정환경 등 6개 항목 모두 2016년 조사때보다 긍정적 인식이 높아졌다. ‘놀이와 여가’ 항목에서 ‘아동이 집 밖에 안전하게 놀 수 있다’는 문항은 ‘매우 그렇다’가 49.3%로 2016년(42.3%)보다 7%P 높아졌다. ‘가끔 그렇다’(42.9%)를 포함한 긍정적 응답은 92.2%에 달했다. 미취학 아동 부모의 51.3%, 아동 관계자의 43.5%가 ‘매우 그렇다’고 답했다. ‘지역 내 놀이터는 장애를 가진 어린이도 이용할 수 있다’는 ‘매우 그렇다’가 24.3%로 2년 전(18.5%)보다 5.8%P 증가했다. ‘가끔 그렇다’를 포함한 긍정적 응답은 58.4%다. 이번 조사는 기존 6개 분야를 비롯해 ‘수원시 특성’, ‘여가·관광 활동’ 등 8개 분야에서 이뤄졌다. 설문은 초등학생 306명, 중학생 337명, 고등학생 284명, 미취학 아동 부모 300명, 어린이 부모 100명, 청소년 부
1980년대 초반까지도 여름의 끝자락에 접어들면 전남 서남해안 지역에서는 흉흉한 괴담이 돌았다. 이시기 치사율이 높은 풍토병이 여지없이 창궐했기 때문이다. 원인을 알수 없는 병으로 해마다 20~30명이 희생됐다. 주로 어패류를 생식한 사람이 오한, 발열, 전신 쇠약감의 증상을 보이고 36시간 정도 지나면 괴사 등 피부이상이 나타나며 사망에 이르는 원인불명의 병이었다. 특히 간에 이상이 있거나 음주습관이 있는 사람은 거의 100%의 치사율을 보이는 치명적 괴질이었다. 주민들과 국민들을 공포에 떨게 했던 이 풍토병은 3년 뒤 비브리오 패혈증으로 밝혀졌다. 원인을 규명한 사람은 프랑스에서 5년간 ‘안티 박테리아’를 연구하고 귀국한 당시 41세의 젊은 의학도 정선식 전남대 의대 교수였다. 그 후 감염되면 죽을 수도 있다는 위험을 감수하며 비브리오를 파헤치기 시작했고 1995년 마침내 이 병의 원인균을 밝혀냈다. 2003년 2월엔 ‘불니피쿠스균’의 천적인 ‘박테리오파지’를 분리한데 이어 인공배양으로 대량 증식하는데 성공했다. 그 이후 개발한 백신으로 치사율 100%였던 비브리오 패혈증은 50%이하로 낮아졌다 하지만 아직도 희생자는 여전히 나오고 있다. 비브리오 균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