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평 출신으로 경기대 행정학과를 졸업한 뒤 1981년 공직에 입문, 투자유치와 복지, 총무, 철도, GTX 기획담당 등 도내 주요 현안 사업부서를 거쳤다. 이후 도의회사무처 의사담당관을 거쳐 동두천 부시장, 공유시장경제국장 등을 역임했다. 풍부한 경험으로 행정적인 역량이 탁월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방고시 4회로 캘리포니아대에서 공공정책학 석사학위를 수여했다. 경기도 국제통상과장, 외교정책과장, 투자진흥과장 등을 역임했다. 특히 연정협력과장을 맡아 민선 6기 핵심 정책인 연정이 성공적으로 안착하는 토대를 만들었다. 판단력이 정확하고, 업무추진력이 좋으며 행정력도 갖춰 상하 신뢰가 두텁다.
화성 출신의 성균관대 유교경전석사로 경기도인재개발원 역량개발지원과장과 경기일자리센터장, 경기도 버스정책과장, 의정부 부시장, 교통국장 등을 역임한 교통전문가다. 강직하면서도 화끈한 업무스타일로 경기도 공직사회 대표 의리파며 상하 직원과의 관계가 원만하고, 업무처리에 철두철미하다는 평이다.
한국방송대학교 컴퓨터과학과 출신으로 1980년 공직사회에 입문했다. 경기도 대중교통과 버스정보 담당, 기술심사담당관에 이어 의회사무처 보건복지공보전문위원, 여성가족국장, 복지여성실장, 자치행정국장 등을 역임했다. 2015년 경기도 여성 최초로 총무과장에 발탁된 바 있으며 친화력을 바탕으로한 인간관계로 직원들의 폭넓은 신임을 받고 있다.
아주대에서 평생교육 석사학위를 수여했으며 경기도 북부여성비전센터소장, 여성능력개발센터소장, 총무과장, 문화정책과장 등을 역임했다. 여성배려 차원에서 이번 승진자 명단에 포함됐으나 기본에 충실하며 업무추진에 있어서도 강력한 힘을 발휘하고 있다.
서울대 지리학과를 졸업한 뒤 지방고시 3회로 공직에 입문했다. 따복공동체지원단장과 공유시장경제국장(직무대리) 등을 역임했으며 뛰어난 업무추진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업무를 개발·기획하는 능력은 도청 내에서도 손꼽힌다. 특히 경기도정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킨 블록체인을 처음으로 접목시켜 세간의 이목을 끌기도 했다.
한양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행정고시 37회에 합격했다. 안전행정부 기획관리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경기도 기획조정실 비전기획관 등을 거쳐 의왕시 부시장, 양주시 부시장을 역임했다.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행정가로 평소 꼼꼼하면서도 선 굵은 업무처리와 친화력을 바탕으로 조직 내 두터운 신임을 받고 있다.
수원출생으로 1979년 공직에 입문해 경기도 도시재생과장 및 건설본부장, 포천시부시장, 경기도의회 도시환경전문위원, 수자원본부장, 포천시 부시장 등을 역임했다. 전문성과 정무능력을 고루 갖춘 경기도 건축직 공무원 대표 주자로 실무행정에 정통하며 합리적 리더십에 온화한 성품으로 정평나있다.
경기대 행정학 석사과정을 마쳤으며 1981년 공직에 입문, 경기도 정보화기획담당관, 무한돌봄센터장, 인사과장 등 요직을 두루 거쳤다. 도정의 굵직한 사업을 수행함에 있어 탁월한 업무 능력으로 맡은 바 소임을 성공리에 추진해 왔다는 평이다. 어떤 업무든 확실한 일처리로 두터운 신뢰를 받아왔고, 위아래를 두루 아우르는 리더십과 꼼꼼함이 강점으로 꼽힌다.
김천고를 졸업하고 성균관대 행정관리대학원 행정학 석사과정을 마쳤으며 1987년 공직에 들어와 여주시 부시장, 경기도 교육협력국장, 평택시장 등을 역임했다. 행정이론에 밝고, 상명하복의 표상이라는 평이며 자타가 공인하는 기획 전문가다. 특히 온화한 성품에 풍부한 전문지식이 장점으로 꼽히며 부시장직 업무를 수행하며 차분한 리더십을 바탕으로 실무형 리더십을 보여 앞으로의 행보가 더 기대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