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카드가 금융업계 최초로 독자 개발한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유니버스'를 수출하는 데 성공했다. 현대카드는 17일 일본 빅3 신용카드사인 SMCC(Sumitomo Mitsui Card Company)에 '유니버스(UNIVERSE)'를 판매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 규모는 수백 억 원에 달하며, 한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단일 소프트웨어 수출이다. '유니버스'는 현대카드가 자체 기술력으로 개발한 데이터 사이언스 기반 고객 초개인화 AI(Customer Super-Personalization AI) 플랫폼이다. 데이터를 정의하고 구조화하는 '태그(Tag)'로 개인의 행동·성향·상태 등을 예측해 고객을 직접 타기팅(Targeting)할 수 있고, 업종에 상관 없이 비즈니스의 전 영역에 적용 가능하다. SMCC는 40조원의 자산을 보유한 일본 빅3 신용카드사 중 하나로 다양한 디지털 혁신을 통해 일본 금융 시장의 변화를 이끌고 있다. SMCC는 지난 2월부터 6개월간 현대카드와 기술 실증(PoC·Proof of Concept)을 진행했으며, 철저한 검증 끝에 유니버스의 우수성을 인정하고 도입을 결정했다. SMCC는 '유니버스' 도입으로 회원 개개인의
세종대학교 경영경제대학이 영림원소프트랩과 디지털 환경에 적합한 산업 인재 양성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17일 세종대학교에 따르면 지난 8일 체결된 이번 협약에 따라 양측은 ▲로우코드 모바일 앱 개발도구 ‘플렉스튜디오’ 아카데미 무상 지원 ▲채용연계형 인턴십 적극 지원 ▲마케팅 및 홍보 활동 적극 협조 등 다양한 협력을 이어갈 예정이다. ㈜영림원소프트랩은 전사적자원관리(ERP)솔루션 개발 및 공급, 유지관리용역 제공 등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는 회사로, 1997년 국내 최초로 한국형 ERP 패키지인 ‘K-System’을 개발 및 공급한 바 있다. [ 경기신문 = 고현솔 기자 ]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2단계 도입을 두 달 연기한 것과 관련해 "금융당국의 결정이며, 책임도 금융당국에 있다"며 고개를 숙였다. 이 원장은 17일 국회 정무위원회의 국정감사에 참석해 “스트레스 DSR 연기로 가계부채와 관련된 어려움을 드린 것에 대해선 당국자로서 제가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며 “해당 결정은 금융 당국이 한 것이 맞고 그에 대한 책임은 금융위원회와 금감원에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태영건설 워크아웃 등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정상화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었고, 취약층에 대한 여러 이슈도 있었다”며 “가계부채를 줄이는 것이 중요한 정책 목표인 것은 맞으나 다양한 거시경제 운영을 같이 하다보니 기재부 등과 논의를 통해 (도입 연기) 결정을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국정감사에서는 '관치금융' 논란에 대한 질의가 이어졌다. 이 원장이 은행권의 대출정책에 일일히 개입하면서 금융위원회와 엇박자를 내 시장에 혼란을 초래했다는 지적이다. 이 원장은 "지난 7~8월 가계대출 쏠림 같은 경우 과점적 은행 시장이 작동을 제대로 안 한다고 볼 수 있는 부분이 있어서 금감원 감독행정 범위 내에서 과거 포트폴리오 관리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가 가계대출 급증세에 따라 이자이익이 늘어나면서 3분기에도 역대급 실적을 기록할 전망이다. 여기에 금융권의 밸류업 기대감까지 더해져 이들의 주가도 훨훨 날고 있다. 다만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하면서 통화정책 기조가 변화한 만큼, 이러한 호실적 흐름이 중장기적으로 이어지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4대 금융의 올해 3분기 당기순이익 예상치는 전년 동기 대비 5.1% 증가한 4조 6504억 원이다. 금융그룹별로 보면 KB금융이 1조 5013억 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신한금융 1조 3483억 원 ▲하나금융 1조 248억 원 ▲우리금융 8506억 원 등으로 예측됐다. 이처럼 4대 금융이 역대급 실적을 거둘 것으로 점쳐지는 것은 가계대출이 성장한 영향이 크다. 하반기 들어 주택시장이 회복됨에 따라 가계대출도 늘어나기 시작했고, 여기에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2단계 도입에 따른 '막차 수요'까지 더해지면서 증가 폭은 한층 커졌다. 실제로 지난 6월 말부터 9월 말까지 늘어난 4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19조 3230억 원으로 2분기(10조 4074억 원)의 두 배 수준이다
인터넷전문은행(이하 인터넷은행) 3사의 주택담보대출(이하 주담대) 증가세가 시중은행보다 훨씬 가파른 것으로 나타났다. 중·저신용자에게 금융공급을 확대하기 위해 설립된 인터넷은행이 포용금융에서 벗어나 주담대를 통해 손쉽게 이자이익을 올리면서 가계대출 급증에 일조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7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현정(민주·경기 평택병)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 인터넷은행 3사(케이·카카오·토스)의 주담대(전월세대출 포함) 잔액은 34조 4000억 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47%(약 11조 원) 늘었다. 지난해 5월까지만 해도 19조 3000억 원을 기록하며 20조 원을 밑돌던 인터넷은행의 주담대 잔액은 같은 해 말 26조 6000억 원까지 증가했고, 올해 2월 30조 5000억원을 기록하며 30조 원을 넘겼다. 같은 기간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주담대가 515조 원에서 568조 7000억 원으로 10.4% 증가한 것과 비하면 증가세가 훨씬 가파르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전체 은행권 주담대의 경우 해당 기간 동안 655조 4000억 원에서 714조 1000억 원으로 8.9% 증가했다. 인터넷은행
신한은행이 신한카드, 중국 교통은행과 협업해 중국 내 'SOL트래블 카드 QR 결제 서비스' 도입을 추진한다. 신한은행은 지난 16일 서울시 중구 소재 중국 교통은행 서울지점에서 신한카드, 교통은행과 함께 중국 내 ‘SOL트래블 카드 QR 결제 서비스 도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교통은행은 중국 5개 국유대형상업은행 중 하나로 더 뱅커지 선정 2023년 세계 1000대 은행에서 9위를 차지한 은행이다. 교통은행은 우리나라에 서울지점을 두고 있으며 한국에 유일하게 지정된 위안화 청산결제은행으로서 중국 위안화 결제대금의 정산 및 결제를 대행하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신한은행은 신한카드, 교통은행과의 협업을 거쳐 내년 상반기 중 중국에서 ‘SOL트래블 카드 QR 결제 서비스’를 시작하고 중국에서의 결제 편의성을 확대할 예정이다. ‘SOL트래블 카드 QR 결제 서비스’가 도입되면 ‘SOL트래블 카드’ 보유 고객은 중국에서 스마트폰의 ‘SOL페이’ 앱을 이용해 QR 코드로 간편하게 결제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신한은행과 교통은행은 함께 위안화 정산업무를 담당하고 신한카드는 카드 거래 및 QR코드 생성 분야를, 교통은행은 중국 QR 결제
우리카드가 독자가맹점을 200만 점 이상 모집하는 등 홀로서기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우리카드는 지난해 3월 독자가맹점 100만 점을 모집한 데 이어 약 2년 반만에 200만점을 돌파했다고 17일 밝혔다. 우리카드는 지난 2021년 11월 본업경쟁력 강화 및 미래 지속 성장을 위해 독자가맹점 구축에 본격 착수한 바 있다. 독자가맹점에는 국내 주요 백화점, 대형마트, 편의점 등 대형 가맹점이 포함됐고 향후 전국의 중소·영세가맹점까지 촘촘히 확보할 예정이다. 우리카드 관계자는 “가맹점주의 적극적인 협조 덕분에 단기간 200만 점 돌파를 성공할 수 있었다”며 “연말 기준 210만 개 모집을 목표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많은 응원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 경기신문 = 고현솔 기자 ]
수협중앙회가 바다 수온 상승으로 양식 수산물 폐사가 급증하고, 어장 변화로 어획 부진 피해가 잇따르자 기후변화에 대한 총체적 대응조직을 운영한다. 수협중앙회는 ’기후변화대책위원회(기후대책위)‘를 조직하고, 지난 16일 본사에서 첫 회의를 열었다고 17일 밝혔다. 기후대책위는 앞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수산분야 피해를 면밀히 분석하고, 현장 의견과 요구사항을 수렴해 전사적인 대책을 마련함과 더불어 이를 공론화해 국가적 지원을 촉구해 나갈 예정이다. 기후대책위가 발족하게 된 것은 양식과 연근해 수산업 전반에 걸쳐 막대한 피해가 매년 반복되고 있기 때문이다. 수협중앙회의 양식보험 사고 신고에 따르면, 이달 16일 기준 올해 고수온으로 인한 우럭, 넙치, 등 양식 수산물 추정 누적 피해는 480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 규모는 2022년 20억 원, 2023년 137억 원 등 매년 증가하고 있다. 기후변화는 적정 수온을 찾아 이동하는 오징어, 참조기, 멸치 등 회유성 어종의 어장 이동도 부추겨 적기 생산을 어렵게 하고 있다. 전국 수협 회원조합 위판 통계를 보면, 2013년~2023년 사이 오징어, 참조기, 멸치의 위판량은 각각 79%(11만 8716t →
국내 배터리 업계 1위를 달리고 있는 LG에너지솔루션(이하 LG엔솔)이 올해 들어 대규모의 공급계약을 연달아 성사시키면서 글로벌 시장에서도 존재감을 과시하고 있다. LG엔솔이 제품 경쟁력 입증에 성공했다는 평가와 더불어 잇따른 수주로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 위기를 극복할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이 나온다. 1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따르면 LG엔솔이 올해 초부터 지금까지 공시한 수주 계약은 총 7건으로 확정된 공급 규모만 220GWh가 넘는다. 이를 단순 환산할 경우 아이오닉6(77.4㎾h) 전기차를 280만 대 이상 생산할 수 있는 양이다. LG엔솔은 경영상 비밀유지 및 원자재 가격 변동과 시장 상황에 따라 셀 납품 단가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 구체적인 수주금액을 공개하지 않기로 했다. 업계는 매출이 총 30조 원을 넘을 것으로 추정한다. 우선 LG엔솔은 올해 1월 일본 이스즈(ISUZU MOTORS)와 원통형 셀과 모듈, 팩 토탈 솔루션 공급계약을 맺었다. 공급 제품은 2170(지름 21㎜·높이 70㎜) 원통형 배터리로 알려졌다. 이후 4월에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과 배터리팩을 제조·판매하는 미국 FEPS(Freu
경기지역 제조업 생산의 증가세 둔화가 이어지면서 전년 대비 증가율이 두 달 새 절반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소비는 8월 들어 감소폭이 대폭 축소되는 등 회복세에 접어들었다. 한국은행 경기본부가 16일 발표한 '최근 경기지역 실물경제 동향'에 따르면, 지난 8월 경기지역의 제조업 생산은 전년 동월 대비 9.7% 증가하며 전월(15%)보다 증가세가 둔화됐다. 지난 6월 20.8%를 기록했던 제조업 생산 증가율은 두 달 연속 증가 폭이 줄면서 한 자릿수대로 떨어졌다. 구체적으로 보면 전자·영상·음향·통신의 증가폭이 27.8%에서 19.2%로 축소됐으며, 전기장비(-19.9% → -35.9%)의 감소폭이 크게 확대됐다. 식료품의 경우, 2.6% 줄어들며 전월 증가에서 감소로 전환했다. 8월 중 제조업 출하(10.1%)는 전월(6.1%)보다 증가폭이 4%포인트(p) 늘어났다. 재고는 전자·영상·음향·통신을 중심으로 감소폭이 확대(-18.7% → -23.9%)됐다. 반면 같은 기간 소비 부문의 감소 폭은 10.9%에서 2.6%로 대폭 줄어들었다. 백화점(-13.6% → -1.4%)과 대형마트(-9.2% → -3.3%)의 감소폭이 모두 축소됐다. 전월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