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트트랙 여자 대표팀 심석희(22·한국체대)가 다시 뛴다. 심석희는 다음 달 1일 독일 드레스덴에서 개막하는 국제빙상경기연맹(ISU) 쇼트트랙 월드컵 5차 대회에 출전한다. 대한빙상경기연맹 관계자는 “심석희는 현재 대표팀의 일원으로 진천선수촌에서 훈련하고 있으며, 오는 27일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선수단과 함께 출국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심석희는 최근 조재범 전 대표팀 코치로부터 무차별적인 상습 폭행에 시달렸을 뿐만 아니라 고교 시절부터 성폭행을 당했다고 폭로했다. 심석희의 용기 있는 고백으로 스포츠계 전반에 미투(Me too·나도 당했다) 운동이 번져나갔고,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한국 스포츠계 폐해가 하나둘씩 알려졌다. 심석희는 큰 풍파에도 흔들리지 않았다. 그는 지난 10일 대표팀 동료 선수들과 함께 진천선수촌에 입촌한 뒤 훈련에 매진하고 있다. 심석희의 소속사인 갤럭시아SM 관계자는 “심석희는 5차 대회뿐만 아니라 다음 달 8일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개막하는 6차 대회와 내년 3월 세계선수권대회 출전 의지도 밝혔다”라며 “변함없는 모습을 보여드리겠다는 것이 심석희의 생각&r
KBO, 극심한 타고투저 깨려 반발계수 낮춘 새 공인구 준비 국제기준 맞게 둘레도 234㎜로 실밥 솔기 높이 낮추고 폭 넓혀 정규리그 적응위해 사전 보급 체험 타자들 “공이 잘 안나가” 올해 프로야구 10개 구단 선수들이 해외 현지 훈련에서 풀어야 할 숙제가 하나 더 늘었다. 반발계수를 줄인 새 공인구에 적응하는 일이다. KBO 사무국은 극심한 타고투저 현상을 깨뜨리고자 공인구 반발계수 허용 범위를 낮춘 새 공을 2019년 정규리그와 포스트시즌에 사용한다. 반발계수를 낮춰 타구 비거리를 줄여보겠다는 심산으로, 새 KBO 공인구의 반발계수 허용범위는 기존 0.4134∼0.4374에서 일본프로야구(NPB)와 같은 0.4034∼0.4234로 줄였다. 반발계수를 조정한 데서 끝난 게 아니다. 공의 크기가 커졌다. 또 공 표면에 도드라진 실밥의 솔기 높이를 낮추고 폭도 넓혔다. KBO 사무국의 관계자는 24일 “그간 KBO리그는 메이저리그나 일본프로야구보다 작은 공을 사용했다”며 “공인구 둘레 최대치가 235㎜라고 볼 때 미국과 일본은 234㎜ 공을 썼다면, 우리 공의 최대치는 233㎜였다&rdqu
국제올림픽위원회(IOC) 토마스 바흐 위원장이 세계체육기자연맹(AIPS) 총회에 참석한 남북 체육언론인들을 격려했다. 바흐 위원장은 24일 스위스 로잔에서 열린 AIPS 총회 개회식에서 남북 체육언론인 대표들을 만났다. 이 자리에서 바흐 위원장은 “남과 북이 체육 교류를 통해 세계 평화 구현과 스포츠의 가치를 높이는 데 앞장서고 있다”며 “체육기자들도 활발한 교류와 스포츠 저널리즘을 통해 협력 분위기를 이어갔으면 좋겠다”고 덕담했다. 남측 대표로는 정희돈 한국체육기자연맹 회장, 박현진 한국체육기자연맹 사무총장, 북측 대표로는 방문일 조선체육기자협회 상임위원이 바흐 위원장과 만났다. 북측 체육기자 단체인 조선체육기자협회는 1998년 AIPS에 가입했지만 이후 별다른 활동이 없어 사실상 탈퇴한 상태였다. 그러다가 지난해부터 꾸준히 AIPS와 접촉해 복귀 의사를 전했고, 이번 총회에 참석해 20년 만에 다시 정식 회원국으로 승인받았다. 현재 북한에선 100여 명의 체육기자가 활동 중이며, 스포츠 전문 언론인 ‘체육 신문’이 일주일에 두 번 발행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2019 아시아축구연맹(AFC) 아시안컵에서 우승 후보로 꼽혔던 ‘빅4’ 한국과 일본, 이란, 호주가 모두 예상대로 16강 관문을 통과했다. 여기에 개최국 UAE와 카타르, 박항서 매직을 앞세운 베트남, 이탈리아 출신의 마르첼로 리피 감독이 이끄는 중국도 8강에 합류했다. 8강 대진은 한국-카타르, 일본-베트남, 이란-중국, 호주-UAE로 정해졌다. 우승 후보 한국과 일본, 이란, 호주는 8강 대결에서 이변이 없는 한 준결승에 진출할 가능성이 크다. 파울루 벤투 감독이 이끄는 한국은 낙승이 기대됐던 바레인과 16강에서 연장전까지 가는 혈투를 벌였다. 한국은 카타르와 역대 A매치(국가대표팀간 경기) 상대전적에서 5승 2무 2패로 앞서 있고, 국제축구연맹(FIFA) 랭킹도 53위로 카타르(93위)보다 40계단이 높다. 하지만 한국은 바레인과 연장까지 가는 120분 혈전을 치르고 사흘 만에 8강전에 나서는 데다 ‘혹사 논란’ 속에 중국과 조별리그 3차전에 출전했던 에이스 손흥민(토트넘)의 컨디션이 많이 떨어진 게 고민거리다. 특히 카타르에는 이번 대회 조별리그에서만 가장 많은 7골을 터뜨린 골잡이 알모에즈 알리가 버티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