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수 3관왕’ 더스틴 니퍼트(35·두산 베어스)가 ‘타격 3관왕’ 최형우(33·삼성 라이온즈)를 제치고 2016년 정규시즌 최우수선수(MVP)에 올랐다. 니퍼트는 14일 서울 서초구 더케이호텔 컨벤션센터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2016 타이어뱅크 KBO리그 MVP·신인상 및 부문별 시상식에서 올해 최고의 선수로 우뚝 섰다. 프로야구 취재기자단 투표 결과 니퍼트는 총 642점을 얻어 얻어 최형우(530점)를 112점 차로 제치고 MVP의 영광을 안았다. MVP 선정 방식은 과거 다수결에서 올해에는 점수제로 바뀌었다. 1위부터 5위까지(1위 8점, 2위 4점, 3위 3점, 4위 2점, 5위 1점) 개인별로 획득한 점수를 합산해 최고 점수를 받은 선수가 영광의 수상자로 결정됐다. 니퍼트는 1위 득표 102표 가운데 절반이 넘는 62표를 쓸어담아 35표에 그친 최형우를 따돌렸다. 외국인 선수가 정규시즌 MVP에 오른 건 1998년 타이론 우즈(OB 베어스), 2007년 다니엘 리오스(두산 베어스), 2015년 테임즈에 이어 2년 연속이자 역대 4번째다. 최장수 외국인 선수인 니퍼트는 지난
2016 국제축구연맹(FIFA) U-20 여자월드컵에 참가하고 있는 U-20 여자대표팀 미드필더 강채림(동산정산고)이 훈련 중 부상으로 낙마했다. 대한축구협회는 14일 “강채림이 현지 훈련 도중 오른쪽 전방십자인대를 다쳐 명단에서 제외했다. 미드필더 심서희(울산현대고)를 대체 발탁한다”라고 밝혔다. 심서희는 15일 대회가 열리고 있는 파푸아뉴기니 현지에 합류할 예정이다. 그는 지난 2월 ‘2016 4개국 초청 여자 U-17 친선대회’에 참가했고 7월 파주 국가대표팀트레이닝센터(NFC)에서 열린 U-20 여자대표팀 4차 소집훈련에도 함께했다. 정성천 감독이 이끄는 U-20 대표팀은 14일 멕시코와 조별리그 1차전을 치른다. 우리나라는 멕시코, 베네수엘라, 독일과 D조에 속해있다. /연합뉴스
ISU 쇼트트랙월드컵 2차대회 한국 쇼트트랙 대표팀이 2016~2017 국제빙상경기연맹(ISU) 쇼트트랙월드컵 2차 대회 마지막 날 경기에서 금메달 2개와 은메달 3개, 동메달 1개를 휩쓸었다. 여자 쇼트트랙 심석희(한국체대)는 여자 계주 3천m와 1천500m 2차 경기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며 2관왕에 올랐다. 심석희는 14일 미국 솔트레이크시티 유타 올림픽 오벌에서 열린 대회 여자 1천500m 2차 결승에서 2분22초384의 기록으로 가장 먼저 결승선을 끊었다. 심석희는 정상 컨디션이 아니었다. 왼쪽 발꿈치를 다쳤던 심석희는 그동안 회복 훈련에 전념했다. 그는 몸 상태를 완전히 끌어올리지 못하고 이번 대회에 출전했다. 심석희는 전날 출전한 여자 1천m 준결승을 1위로 통과했지만, 실격되면서 결승 진출에 실패하는 불운을 겪기도 했다. 심석희는 1천500m 2차 경기 결승에서 울분을 쏟아냈다. 그는 결승 레이스 중반까지 선수들 사이에서 체력을 비축하다가 중반부에 스피드를 끌어올리며 선두로 치고 올라갔다. 이후 별다른 위기 없이 1위로 경기를 마쳤다. 2위는 김지유(서울 잠일고), 3위는 노도희(한국체대)가 차지해 한국 선수들이 금, 은, 동을 휩쓸었다. 심석희
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회의 테스트이벤트 ‘빅 에어 월드컵’ 코스 조성에 ‘저장 눈’을 활용하기로 했다. 평창올림픽 조직위원회는 14일 “25일부터 이틀 동안 열리는 국제스키연맹(FIS) 스노보드 월드컵(빅 에어)의 코스 조성에 저장 눈 6천㎥를 투입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조직위는 지난 3월 알펜시아 스포츠 파크와 용평리조트 내에 각각 1만3천㎥의 눈을 저장했다. 11월 현재 각각 50%와 30%가 남아있다. 조직위는 이 눈을 활용해 코스 조성 기초 작업을 하기로 했다. 저장 눈으로 기초 작업을 한 뒤 추가 제설을 하면 코스 조성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조직위는 “현재 빅 에어 경기장 건설은 완료했다”라면서 “저장 눈을 활용한 코스 조성을 대회 참가 선수단이 입국하기 전인 오는 21일까지 모두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체 코스 조성에 필요한 눈은 약 1만500㎥이고, 조직위는 이중 약 60%를 저장 눈으로 메우기로 했다. /연합뉴스
한국 봅슬레이와 스켈레톤이 2016~2017시즌 국제봅슬레이스켈레톤경기연맹(IBSF) 북아메리카컵에서 각각 은메달을 땄다. 원윤종·김진수·전정린·오제한 팀은 14일 캐나다 캘거리에서 열린 봅슬레이 남자 4인승 부문 1차 대회에서 1분49초23의 기록으로 2위에 올랐다. 1위는 1분48초68의 캐나다, 3위는 1분49초47의 미국 팀이 차지했다. 석영진·김근보·이경민·장기건 팀은 1분50초08로 7위에 올랐다. 앞서 이날 같은 장소에서 열린 스켈레톤 남자 부문 1차 대회에서는 이한신이 1분54초78로 은메달을 획득했다. 금메달은 1분54초13의 안더 미람벨(스페인), 동메달은 1분54초88의 조세프 세치니(이탈리아)에게 돌아갔다. 김준현은 1분56초11로 9위를 차지했다. 한국은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남자 봅슬레이 2인승(원윤종·서영우), 스켈레톤(윤성빈) 부문 금메달에 도전한다. 지난 시즌을 세계랭킹 2위로 마친 한국 스켈레톤의 ‘간판’ 윤성빈은 이날 출전하지 않았다. /연합뉴스
한국야구 사상 처음으로 고교야구팀 70개 시대가 열렸다. 프로야구를 주관하는 KBO가 리그의 뿌리가 되는 아마야구의 활성화를 위해 2012년부터 시작해온 초·중·고 야구팀 창단 지원사업이 결실을 본 덕이다. KBO는 지난달 3일 부천 진영정보공고등학교에 이어 14일에는 평택 청담고등학교에 야구부를 창단했다. 진영정보공고는 70번째, 청담고는 71번째 고교야구팀이다. 이로써 한국야구는 사상 처음으로 70개 고교야구팀 시대를 맞이했다. KBO는 애초 2020년까지 전국 고교야구 70개 팀 보유를 목표로 세웠다. 하지만 목표를 4년이나 앞당겨 달성했다. KBO는 2012년부터 새롭게 창단하는 아마 야구팀에 3년간 초등학교 3천만원, 중학교 1억5천만원, 고등학교 4억원 등을 지원해왔다. 재원은 KBO의 마케팅 자회사인 KBOP 매출액 10%와 포스트시즌 이익금의 15%, 프로야구 제9·10구단인 NC 다이노스·케이티 위즈의 야구발전기금으로 마련했다. 그 결과 창단 지원사업 시작 당시 53개였던 고교 야구부는 청담고의 창단으로 4년 만에 18개나 늘어났다. 중학교 17개, 초등학교 5개 야구부도 KBO의 지원을 받아 창단됐다. KBO는 창단 지원뿐만 아니라 전국 초
영국 스포츠매체 세계 7개 종목 조사 전 세계 스포츠 구단 중 평균 연봉이 가장 높은 팀은 미국프로농구(NBA)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인 것으로 나타났다. 클리블랜드의 평균 연봉은 654만 파운드(약 96억원)였다. 영국 스포츠 전문 매체 스포팅인텔리전스는 14일 축구, 농구, 야구 등 전 세계 7개 종목 17개 리그의 333팀 약 1만명의 선수를 대상으로 실시한 올해 연봉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평균 연봉 2위는 미국 프로야구 뉴욕 양키스로 582만 파운드(약 85억7천만원), 3위는 NBA LA 클리퍼스로 579만 파운드(약 85억3천만원)였다. 4위는 잉글랜드 프로축구 프리미어리그(EPL)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맨유)가 차지했다. 지난여름 폴 포그바와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 등을 영입한 맨유는 평균 연봉이 577만 파운드(약 85억원)로 축구 구단 중 가장 높았다. 5위는 리오넬 메시 등이 뛰고 있는 스페인 바르셀로나로 565만 파운드(약 83억원)를 기록했다. 평균 연봉이 가장 높은 12개 팀 중 8개는 NBA에서 나왔고, 3개는 축구, 1개는 야구였다. NBA가 새로운 중계권 협상으로 연봉이 치솟았고, 상대적으로 프리미어리그는 브렉시트 효과로 파운드 가치
12일과 13일 일본 도쿄돔에서 열린 일본과 네덜란드의 야구대표팀 평가전은 내년 3월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을 준비하는 한국 대표팀에 귀중한 참고자료가 됐다. 한국은 2013년 제3회 대회에 이어 서울 구로구 고척 스카이돔에서 열릴 제4회 대회에서도 네덜란드와 예선에서 같은 조에 편성됐다. 실점을 줄이면서 최소 2승은 거둬야 2라운드 진출을 기대할 수 있는데, 이번 평가전에서 드러난 네덜란드 타선의 파괴력은 상상 이상이었다. 네덜란드는 미국프로야구 메이저리그에서 활약하는 유릭슨 프로파르(텍사스 레인저스)를 제외하면 대부분 마이너리그나 자국 리그에서 뛰는 선수로 일본에 맞섰는데, 비록 2패를 기록했지만 2경기에서 18득점을 올렸다. 12일 1차전에서는 5-1로 리드하다 마운드가 무너져 8-9로 역전패했고, 13일 2차전 역시 5회까지 8-2로 크게 앞서다가 연장 승부치기 끝에 10-12로 졌다. 1차전 선발로 나선 이시카와 아유무(지바 롯데 말린스)와 2차전 선발 이시다 겐타(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모두 일본프로야구에서 좋은 성적을 낸 투수지만, 네덜란드 타선에 버티지 못했다. 내년 3월 한국이 만날 네덜란드는 이번보다 강력한 라인업을 들고나올 가능
지구와 달이 가장 가까워지며 보름달이 가장 크게 보이는 ‘슈퍼문’이 전망된 14일 오후 인천시 남동구 소래포구 어시장에 바닷물이 차오르면서 하수관이 역류, 바닥에 물이 차오르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