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은 기업 인사담당자 859명을 대상으로 ‘면접에서 구직자의 발언이 거짓말이라고 판단한 경험’을 조사한 결과 82.2%가 ‘있다’고 답했다고 25일 밝혔다. 거짓말로 판단한 구직자의 말 1위는 ‘연봉은 별로 중요하지 않습니다’(48.9%·복수응답)였다. 또 ‘평생직장으로 삼고 싶습니다’(44%), ‘야근·주말 근무도 괜찮습니다’(39.3%), ‘개인보다 회사가 더 중요합니다’(38.9%), ‘어디서든 잘 적응할 수 있습니다’(30.4%), ‘다른 곳에는 합격해도 안갈겁니다’(25.5%), ‘업무와 연관된 경험을 많이 했습니다’(22.8%), ‘평소 회사에 관심이 많았습니다’(21.6%) 등이 있었다. 거짓말이라고 판단한 근거로는 ‘상투적인 표현이라서’(56.7%·복수응답)를 꼽았다. ‘일관성 없는 답변이라’(33.2%), ‘근거없이 장황한 설명을 해서’(25.4%) 등의 의견도 있었다. 면접 답변이 거짓말이라는 확신이 들 때에는 50.6%가 ‘수위에 따라 감점시킨다’고 답했다. ‘무조건 탈락시킨다’는 31.8%, ‘무조건 감점시킨다’는 11.8%였고 평가에 반영하지 않는다는 의견은 5.8%에 불과했다. 최종합격 후 거짓말이 들통나 채용을
한국이 총체적으로 변화에 얼마나 잘 대응할 수 있는지에 대한 평가에서 100점 만점에 65점을 받았다. 정부의 역량은 2년 전에 비해 눈에 띄게 약해졌다. 특히, 한국정부가 범죄·테러로부터 국민을 보호할 능력이 100점 만점에 50점에 불과한 것으로 나와 조사의 적확성에 대한 논란도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 25일 글로벌 회계·컨설팅사인 KPMG와 옥스포드 이코노믹스가 집계하는 변화대응능력지수(Change Readiness Index)에 따르면 한국의 점수는 0.649(1점 만점)로 평가돼 25위에 올랐다. 100점 만점으로 환산하면 64.9점이다. CRI는 갑작스러운 충격에 대비하고 기회를 창출할 수 있는 국가의 역량을 측정한 지표로 127개국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기업과 정부, 시민사회 역량 평가를 종합한 것이다. 전 세계 1천270명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22개의 질문에 대한 답을 토대로 작성됐다. 2년에 한번씩 발표되는 이 지수에 따르면 한국 정부의 역량 저하가 두드러졌다. 정부에 대한 평가가 0.658점에서 0.610점으로 떨어졌다. 기업 점수(0.636→0.661)는 올랐고, 시민사회(0.681→0.676) 평가는 소폭 나빠졌다. 정부 역량 평가에서
우리나라에서 중산층을 자처하는 사람들이 꿈꾸는 은퇴 생활수준이 실제 수입이나 재산 규모보다 크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시아 다국적 생명보험사 AIA그룹이 지난 2월26일부터 3월18일까지 한국, 중국, 홍콩, 대만에서 스스로 중산층이라고 생각하는 2천500명을 설문조사해 25일 발표한 ‘대한민국 중산층 리포트’에 따르면, 자산을 얼마나 갖고 있으면 은퇴를 고려할 수 있겠느냐는 물음에 한국 응답자는 평균 42억원이라고 답했다. 응답자의 월평균 가계소득이 710만원인 점에 비춰볼 때 연소득의 약 50배에 달하는 돈이다. 중국(약 20억1천900만원), 홍콩(약 19억4천만원)의 약 2배, 대만(약 10억3천800만원)의 4배 수준이다. 노후 생활에 대한 걱정은 4개국 중 우리나라 사람이 가장 많았다. 한국 중산층 답변자의 77%는 노후 생활에 필요한 자금을 모으지 못할까 봐 염려하고 있다고 답해 대만(51%), 홍콩(49%), 중국(25%)을 앞질렀다. 한국 응답자가 재정적으로 안정적이라고 생각하는 총자산 규모는 평균 26억5천만원, 부유하다고 생각할 수 있는 총 자산 규모는 23억2천만원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국 응답자가 보유한 자산은 부동산을 제외하고
남종현 회장 회식자리서 대립각 세운 임원에 맥주잔 던져 얼굴 등 중상 입혀 안병근 교수 부정선수 출전시키고 1억 수뢰 학교 제자 훈련비까지 가로채 조인철 교수 후원금·장학금 등 8천만원 횡령 주식 투자금·유흥비로 탕진 한국 유도가 침몰하고 있다. 최고 수장은 자신과 대립각을 세운 임원을 폭행하는 사건을 일으켰고, 임원들은 비리의 온상으로 낙인이 찍혔다. 태릉선수촌에서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티켓을 따내기 위해 구슬땀을 흘리는 선수들만 고스란히 피해자로 남게 됐다. 24일 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가 발표한 유도계 비리 수사 결과는 한국 유도의 어두운 면을 고스란히 보여줬다. 경찰청은 이날 전국체전 유도 종목에 무자격 선수를 부정으로 출전시키고 승부조작, 공금횡령 등을 한 혐의로 안병근, 조인철(이상 용인대 유도경기지도학과 교수), 정모 대학교수, 문모 대한유도회 심판위원장 등 40명을 적발했다고 발표했다. 특히 안병근 교수와 조인철 교수는 남자 유도 대표팀 사령탑을 역임했을 뿐만 아니라 올림픽 메달리스트 출신이어서 팬들의 공분을 더 사고 있다. 여기에 남종현 대한유도회장은 지난 19일 회식 자리에서 중고연맹 회장 이모 씨의 얼굴에
대한체육회가 자체적으로 마련한 ‘체육단체의 합리적 통합 방안’을 7월 중 대의원총회에 상정하기로 했다. 대한체육회는 24일 서울 송파구 올림픽파크텔에서 제14차 이사회를 열고 국민생활체육회와의 통합을 앞두고 마련한 ‘체육단체의 합리적 통합 방안’을 논의한 뒤 이를 7월 제2차 임시대의원총회에 상정하기로 했다. ‘체육단체의 합리적 통합 방안’은 통합 체육회의 명칭을 ‘대한체육회’로 하고 회장 선출은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하계올림픽 이후로 미루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또 통합준비위원회 구성을 대한체육회 7명, 국민생활체육회 7명, 문화체육관광부 추천 인사 1명 등 15명으로 하는 내용도 들어 있다. 이는 정부안인 대한체육회와 국민생활체육회 각 3명씩, 문화체육관광부 추천 인사 3명, 국회 추천 인사 2명의 안과 다르다. 이날 이사회에서 통합 체육회의 명칭을 ‘대한체육회’로 하고 회장 선출 시기를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이후로 미루는 안에 대해서는 이견이 나오지 않았으나 통합준비위원회 인원 구성안은 사실상 부결됐다. 참석 이사들의 거수로 통합준비위원회 인원을 ‘7-7-1’ 안으로 하는 것에 대한 찬성 또는 반대를 물은 결과 찬성 5명, 반대 7명으
오심으로 홈런 하나를 빼앗긴 이대호(33·소프트뱅크 호크스)가 아쉬움을 드러냈다. 일본 닛칸스포츠는 24일 “이대호가 23일 경기 뒤 못마땅한 표정을 지었다”고 전했다. 이대호는 23일 일본 사이타마현 오미야고엔 구장에서 열린 세이부 라이온스와 퍼시픽리그 방문 경기에서 3회초 3루쪽 파울폴을 맞는 커다란 타구를 쳤다. 닛칸스포츠는 “타구가 페어 지역으로 들어갔지만 파울 판정이 나왔다”며 “구도 기미야쓰 소프트뱅크 감독이 항의했지만 판정은 번복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중계화면을 보면 이대호의 타구는 높이 뜬 상태에서 파울 폴을 때리고 페어 지역으로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폴을 맞으면 홈런이다. 하지만 판정이 번복될 수 없는 상황이었다. 일본프로야구는 2010년부터 홈런 타구에 대한 비디오판독을 도입했다. 그러나 판독 시설을 갖춘 각 구단의 ‘제1구장’에서만 비디오판독을 한다. 이날 경기가 열린 오미야고엔 구장은 세이부의 제2구장이다. 세이부의 제1구장은 세이부돔이다. 이대호는 “100% 타구가 페어지역으로 들어갔다고 생각한다”며 ‘홈런’을 확신했다. 이어 “심판은 폴 바깥쪽에서 공이 휘어 들어가 스탠드에 떨어졌다고 설명했는데 그런 일은 있을 수 없다”며 “결
추신수(33·텍사스 레인저스)가 허리 통증으로 23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 주 알링턴의 글로브 라이프 파크에서 끝난 미국프로야구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와의 홈경기에 결장했다. 이번 시즌 7번째 결장이다. 보통 경기 시작 4시간 전 클럽하우스를 취재진에 개방할 때 그날의 타순표를 공개하지만, 제프 배니스터 텍사스 감독은 타자들의 타격 훈련을 보고 이날 타순을 결정하겠다면서 한참 후에야 타순표를 내놨다. 텍사스 구단 홍보팀은 추신수가 이날 허리 쪽 경련으로 뛰지 않는다고 전했다. 홍보팀의 한 관계자는 경기 후 “추신수가 전날 스트레칭을 하다가 허리 쪽이 뻐근하다고 했다”면서 “오늘 경기장을 떠날 때에는 이전보다 상태가 많이 나아졌다고 말했다”고 소개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