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계 임신성공률 2016년 26.7% 등 표준화된 정부차원 지원 필요 양의학계 정부용역연구 설계·분석 문제 “안전성부터 검증해야 한다” 한방 난임치료 효과를 두고 한의계와 의학계가 엇갈린 의견으로 맞서고 있다. 한의계는 한의약 난임치료가 여러 치료사례를 통해 효과가 검증된 만큼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촉구한다. 반면 의학계는 효용성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과학적이 검증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24일 의료계에 따르면 전날 대한한의사협회는 서울 프레지던트호텔에서 보건복지부 후원으로 ‘2019 한의약 난임지원사업 성과대회’를 개최했다. 그동안 시행된 한의약 난임치료에 대한 경과를 보고하는 자리다. 한의협은 지난 10년간 지자체별로 시행된 한의약 난임치료 지원사업을 소개했다. 지난 2009년 대구 동구에서 시작된 지원사업은 2014년 10개소, 2017년 29개소까지 늘었고, 올해는 21개소가 운영 중이다. 한의약 난임치료 사례도 소개됐다. 문영춘 인천광역시한의사회 부회장은 2012년, 2014∼2017년, 2019년 인천 남동구에서 시행된 사업 결과를 공개했다. 참여자는 총 175명으로 치료
‘손세이셔널’ 손흥민(27)이 조제 모리뉴 감독의 토트넘 사령탑 데뷔전에서 리그 4호 골에 리그 5호 도움까지 작성하는 ‘원맨쇼’를 펼치면서 팀의 정규리그 5경기 무승(3무2패) 탈출을 이끌었다. 손흥민은 지난 23일 영국 런던의 런던 스타디움에서 열린 웨스트햄과 2019~2020 잉글랜드 프로축구 프리미어리그 13라운드 원정에서 전반 36분 선제골을 터트린 뒤 전반 41분에는 루카스 모라의 추가 골에 도움을 줬다. 이번 득점으로 손흥민은 리그 4호 골이자 유럽축구연맹(UEFA) 챔피언스리그에서 터트린 5골을 포함해 시즌 9호 골을 기록했다. 여기에 리그 도움을 5개로 늘렸다. 특히 손흥민은 웨스트햄을 상대로 통산 7경기에서 4골 6도움을 기록하며 천적임을 증명했다. 토트넘은 손흥민의 선제골과 모라의 추가 골, 해리 케인의 헤딩 결승 골이 이어지면서 3-2 승리를 따냈다. 이로써 토트넘은 최근 정규리그 5경기 무승의 부진에서 벗어나 6경기 만에 귀중한 승리를 따냈다. 여기에 토트넘은 이번 시즌 정규리그 원정 경기에서 3무 3패에 그치다 첫 ‘원정 승리’를 맛봤다. 모리뉴 감독이 토트넘 지휘봉을
“빌드업 축구는 대한민국 국가대표팀에 가장 적절합니다.” 파울루 벤투 한국 축구 대표팀 감독이 최후방 수비진부터 시작해 전방 공격진까지 유기적으로 볼을 연결하는 ‘빌드업 축구’가 태극전사들에게 가장 적합하다는 지론을 강조하고 나섰다. 11월 두 차례 A매치 원정을 마친 벤투 감독은 20일 인천공항을 통해 대표팀 선수들 함께 입국한 뒤 취재진과 인터뷰에서 ‘빌드업 축구’에 대한 강한 믿음을 드러냈다. 벤투 감독은 ‘2차 예선 성적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상황에서 빌드업 축구가 유효한 전술이라고 생각하는가’라는 취재진의 물음에 “대한민국 국가대표팀에 빌드업 축구가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한다”라며 “그래서 계속해 나가고 있고, 더 발전시키려고 한다”고 밝혔다. 한국은 2022 카타르 월드컵 아시아지역 2차 예선 H조에서 4경기를 치르는 동안 2승2무(승점 8점)의 성적을 거두면서 한 경기를 더 치른 투르크메니스탄(3승 2패·승점 9점)에게 1위 자리를 내주고 2위에 랭크됐다. 다만 한국은 최근 북한과 3차전, 레바논과 4차전
文대통령, 亞10개국과 정상회담 미중일러 수준으로 관계 격상 “필리핀·말레이시아와의 FTA 국익 우선 협상… 타결 노력” 다양한 경제·문화행사 마련 4대 그룹 총수 등 기업인 집결 짐 로저스·방시혁 등도 참석 청와대는 25일부터 부산에서 열리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및 제1차 한·메콩 정상회의에서 한국과 아세안 국가들의 상생·번영을 위한 ‘공동비전’을 채택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를 계기로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신남방정책 2.0’을 추진, 아세안과의 관계를 미·중·일·러 등 주변 4강국 수준으로 격상시키겠다는 것이 청와대의 구상이다. 주형철 청와대 경제보좌관은 20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하고 이번 회의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참여하는 주요 일정을 소개했다. 문 대통령은 우선 이번 회의 기간 한국을 찾는 아세안 10개국 정상과 모두 회담을 하면서 ICT(정보통신기술) 등 산업협력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의 우호 관계 강화 방안을 논의한다. 특히 현재 협상이 진행 중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