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2023년 보통교부세로 1조 499억 원을 확보했다고 4일 밝혔다. 시는 국고보조금 5조 651억 원을 포함해 모두 6조 1150억 원의 국비를 확보하게 됐다. 보통교부세는 지자체가 용도에 제한 없이 자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주재원이다. 내국세의 일정비율(19.24%)을 정부가 교부한다. 올해 시가 확보한 보통교부세 1조 499억 원은 당초 목표인 오는 2026년 1조 원 확보보다 3년 앞당긴 성과다. 시는 행정안전부가 추계한 수입보다 4600억 원의 초과 세수가 발생해 교부세가 감소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올해 목표액인 8500억 원 대비 2000억 원을 추가 확보했다. 교부세 증액 요인은 ▲보통교부세 산정제도 개선 304억 원 ▲안전관리대상시설물 및 취약계층보호구역 중점통계 발굴·정비 54곳 증가 18억 원, ▲밀반입 담배소비세 지방교육세 체납 페널티 제외 274억 원 손실예방 ▲2022년 감액심의 시 적극적 대응으로 342억 원 손실 예방 등 1000억 원 규모에 달한다. 특히 시는 수도권매립지와 관련해 지자체간 협력사업의 수요 반영 비율을 30%에서 50%로 확대해 180억 원의 교부세를 추가 확보했다. 보통교부세 감액 대상이었던 시내버스 준
인천상공회의소 FTA 활용지원센터는 산업통상자원부·인천시와 함께 지난 19일부터 21일까지 ‘2022년 원산지관리사 양성과정’을 실시했다고 23일 밝혔다. 원산지관리사는 FTA 분야에서 국내 유일 국가공인 자격증이다. 내부 원산지관리 전담자로 원산지 충족 여부 확인·관리, 원산지 증명서 발급 등을 담당할 수 있는 전문인력이다. 1일차 양성과정은 수출입통관 실무 및 FTA 협정, 법령에 대해 한국무역관세사무소 장성훈 관세사가 담당했다. 2일차에는 품목분류에 대해 씨엘플러스관세사무소 이민선 관세사가, 3일차는 원산지 결정기준에 대해 마루관세사무소 유종민 관세사가 진행했다. 양성과정에는 인천지역 중소·중견기업 실무자 10여 명이 참석했다. 이 교육을 수료하면 원산지관리 전담자 지정 점수 16점을 받을 수 있다. 원산지관리사 자격시험은 오는 11월 12일 진행된다. 접수 기간은 이달 26일까지다. 인천상공회의소 FTA센터 관계자는 “이번 원산지관리사 양성과정은 3일 과정임에도 참석자들의 집중도가 높아 유용했다”며 “중소·중견기업 실무자들의 FTA 활용 역량 강화 및 원산지관리사가 되기 위한 길잡이가 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조경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