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재연구원은 경기천년을 맞아 24일 경기문화재단 3층 다산홀에서 경기도 불천위 문중 제례 시연 및 강연회를 개최한다. 불천지위(不遷之位)의 줄인 말인 불천위는 조선시대 국공이나 학문이 높아 위·아래로 존경을 받는 인물을 기리고자 영구히 기제(忌祭)를 지내도록 현양한 신위를 말한다. 국불천위(國不遷位), 향불천위(鄕不遷位), 사불천위(私不遷位) 세 종류가 있으며, 이 중 국불천위(國不遷位)는 국가에 지대한 공을 세우거나 당시 백성들로부터 크게 존경을 받아 시호를 받은 2품 이상의 관리에게 부여했다. 경기도에는 300여 명의 국불천위가 있으며, 경기문화제연구원의 경기학연구센터는 경기도 전통문화 현양에 도움을 주고자 지난 2015년까지 경기도 불천위 중 144위를 조사해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성남시 세거문중 협의회가 ‘경기도 불천위 문중 제례’를 시연하고, 한동억 경기도불천위문중협의회 부회장이 ‘제례의 기원과 사당 제례’를 , 김미영 한국국학진흥원 수석연구위원이 ‘한국제사문화의 규범과 실제’를 강의한다. 또 일반인의 이해를 돕기 위해 ‘한국의…
구리시와 남양주시는 세계문화유산이자 두 도시의 대표적 문화유산인 동구릉과 홍유릉에서 20일부터 다음달 4일까지 매주 토요일·일요일 오전과 오후에 ‘왕릉소리길 산책’을 진행한다. ‘왕릉소리길 산책’ 프로그램은 세계문화유산인 조선 왕릉이 소재한 구리시·남양주시·노원구·성북구가 함께 추진하는 지역 행복 생활권 연계 협력 사업으로 이번 행사는 구리시와 남양주시가 공동 주관한다. 이번 프로그램은 참가자들이 왕릉 곳곳에 배치된 연주자들의 연주와 함께 조선 왕릉인 동구릉과 홍유릉에 대한 해설을 들으며 왕릉을 탐방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3시간 정도 진행되는 이번 행사는 회별 50명씩 참여할 수 있다. 프로그램에 참가를 희망하는 시민들은 구리시 홈페이지에서 인터넷(조선왕릉문화벨트 www.linkroyaltombs.or.kr)을 통해 사전 접수하면 참여할 수 있다. 문의: (031)550-2550 /구리=이화우기자 lhw@
시흥문화원은 19일 오후 2시부터 추곡 정제두 선생 유허비(시흥시 화정동 661)에서 추곡 정제두(鄭齊斗, 1649~1736) 선생의 행적과 업적을 기리고 이를 시민들에게 알리는 ‘추곡서원 향사(享祀)’를 봉행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2018 문화의 날 기념식’ 및 제5회 시흥문화지킴이 시상식도 함께 진행된다. 정제두 선생은 포은 정몽주의 후손으로, 한국양명학을 집대성한 조선 중기 학자이다. 안산군(현 시흥시 화정동 가래울마을=추곡(楸谷))에 20년간 거주하면서 신유학인 명대 양명학을 받아들여 ‘학변(學辯)’과 ‘존언(存言)’을 저술하고, ‘양지체용도(良知體用圖)’를 그리면서 성학(聖學)으로서 위기지학(爲己之學)해 후학을 양성했다. 이러한 추곡 선생의 사상은 근현대에 이르러 애국지사들(이건방, 정원하, 이건창, 정인보 등)에게 영향을 끼쳤다. 시흥시는 이러한 정제두 선생의 업적을 기려 지난해 11월 21일 가래울마을에 유허비를 건립했다. 정원철 시흥문화원 원장은 “전남훈 추곡서원장님을 비롯해 시흥향토문화연구소, 시흥양명학연구회, 시흥문화자원봉사단(문경사) 등 관계자 여러분들이 수고를 아끼지 않았다”며 “많은 시민들께서 추모제향에 함께하셔서 정제
경기천년을 맞아 동시대 청년들의 이야기와 활동을 공유하는 경기상상캠퍼스는 6개의 분야의 국내·외의 혁신적인 사례를 담은 경기상상플랫폼(GIP; Gyeonggi Imagination Platform)를 19일 오픈한다. 경기상상플랫폼은 문화예술, 라이프 스타일, 비즈니스, 테크널러지, 지역 및 커뮤니티, 연구 및 시민단체로 6개의 분야의 국내·외의 혁신적인 사례를 영상콘텐츠로 담은 온라인 플랫폼(http://ggma.ggcf.kr/gip)이다. 이 가운데 변화와 혁신을 주도하고 있는 국내·외 청년 4명 초청해 ‘커뮤니티를 창조하는 네트워킹’이라는 주제로 그들의 고민을 함께 나누고 의견을 교류하는 네트워킹 파티 ‘GIP 밋업(Meet-up)’을 경기천년대축제와 연계해 오는 20일 오후 3시부터 경기상상캠퍼스 생생1990동에서 개최한다. 미국 뉴욕에서 초청돼 오는 에멀라인 지(Emerline Ji)는 전 세계 60개국, 180개 이상의 도시에서 창의적인 커뮤니티를 위한 무료 아침식사 강연을 운영하고 있는 ‘Creative Mornings’의 사례를 발표하고, 필…
대안공간 눈(대표 이윤숙)은 ‘사회적 소수자 예술 프로젝트’의 전시 프로그램 제2부 ‘난민, 그들의 삶과 터‘전을 오는 31일까지 대안공간 눈 2전시실에서 개최한다. 지난 6월 제주도에 500명 이상의 난민이 입국하면서 우리 정부는 ‘예멘 난민’ 대책을 발표했다. 10월 난민법 개정을 곧 앞둔 우리 사회는 제주 난민 수용을 둘러싼 찬반논란이 가열되는 가운데 현안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문제 해결책이 요구되는 상황에 놓여있다. 대안공간 눈은 난민 수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는 오늘날 우리 사회 내 난민과 예술교육을 주제로 한 담론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난민, 그들의 삶과 터’전을 기획했다고 설명했다. ‘대안공간 눈 사회적 소수자 예술 프로젝트’를 통해 기획된 이번 전시는 박성경(1985년생)ㆍ허단비(1990년생) 작가가 2017년 12월부터 2018년 1월까지 레바논 지역에서 한 달 동안 체류하는 동안 진행한 ‘한국아트미션NGO(대표 함기훈, 이하 한국아트미션)’ 프로그램을 통해 만난 현지인들의 회화 작업과 두 작가의 개인 작…
경기도문화의전당은 오는 24일 오후 2시 고양어울림누리 별모래극장에서 ‘2018 찾아가는 브라보마이라이프 특별 콘서트’를 개최한다고 18일 밝혔다. ‘브라보마이라이프’는 경기도 소방관들을 위해 기획된 프로그램으로, 소방공무원들의 업무 현장을 찾아가 무료 공연을 선사하고 있다. 이번 특별 콘서트에는 북부소방재난본부 산하 소방관, 의용소방관, 소방관 가족 등 300여명을 초대해 서로를 격려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개그맨 김진수의 사회로 진행되는 이날 콘서트에는 가수 조성모, 박기영, 유엔젤보이스, 안예은, 요노컴퍼니 등이 출연한다. 경기도문화의전당의 ‘브라보마이라이프’는 지난 7월부터 안양소방서, 김포 소방서 등 11곳의 소방서를 방문했다. 12월까지 소방서 3곳을 더 방문해 소방공무원들의 정신건강회복을 위한 프로젝트를 이어나갈 예정이다. ‘브라보마이라이프’ 관계자는 “소방공무원들이 열악하고 위험한 근무환경에서도 몸을 사리지 않고 뛰어드는 모습을 볼 때면 뭉클하고 감사한 마음을 숨길 수 없다”며 “이번 콘서트는 국민에 헌신하는 소방공무원을 묵묵히…
과천시시설관리공단(이사장 김성수)과 군포문화재단이 오는 20일 과천시민회관 대극장에서 상주예술단체와 함께 제작한 창작발레 ‘빨간구두-영원의 춤’을 선보인다. 안데르센의 명작동화로 알려진 ‘빨간구두’를 재구성해 지난 해 두 번의 쇼 케이스를 통해 관객과 공연관계자들의 다양한 평가를 기초로 제작진의 심도 있는 토론결과를 거쳐 이번 작품을 완성했다. 그 결과 국내 최고의 발레공연이 참가하는 대한민국 발레축제 참가작으로 선정되는 등 성과를 얻었다. 이 공연은 소녀 카렌이 가까이해서는 안 되는 빨간구두를 신게 되면서 끊임없이 춤을 추게 되고 결국 벌을 받게 된다는 내용을 담은 원작과는 달리 우리 모두가 가져야할 인간애라는 시선에 초점을 맞춰 재구성했다. 이번 공연에서 현대무용가로 최근 다양한 장르의 작품 활동으로 대중에게 널리 알려진 무용 스타 차진엽이 안무를 하고 통영국제음악재단(TIMF) 예술감독 외 뮤지컬 작곡 등으로 활발한 활동을 하는 현대음악 작곡가 음악감독 최우정이 제작에 참여했다. /과천=김진수기자 kjs@…
고양시는 가을 여행주간(10월 20일∼11월 4일)을 맞아 오는 20일 호수공원에서 ‘2018 고양 신한류 페스티벌’을 연다고 17일 밝혔다. 신한류 페스티벌은 18개 관광업계가 참여하고 15개의 공연팀, 100여명의 자원봉사자 등이 함께 만들어가는 관광인의 축제로 기획됐다. 고양 브랜드 관광상품 제작업체, 지역 관광상품 개발자들로 구성된 체험 부스, 관광 두레 부스가 설치돼 볼거리, 즐길 거리가 풍성한 가을 축제로 진행될 예정이다. 고양 예총에서 준비한 퓨전국악팀 ‘지음’과 신인 아이돌 12팀의 화려한 무대공연에 이어 고양 관광 홍보대사인 고양예술고등학교 아름드리무용단의 품격 있는 한국무용도 준비됐다. 1인 미디어 시대에 걸맞게 뷰티 클래스, 디저트 먹방, 부스 체험 등을 촬영해 개인 동영상 채널을 통해 중국, 러시아로 방영하는 이색 마케팅도 선보인다. 고양시 관계자는 “중부대, 고양예고 등 관내 학교의 적극적 참여와 다양한 관광체험 프로그램 등이 모여 고양시만의 풍성한 관광형 페스티벌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고양=고중오기자 gjo@
신세계 교향곡으로 유명한 체코 음악의 아버지라 불리는 작곡가 드보르작. 작곡가마다 상징성을 갖고 있는 작품에 대해서는 저마다 의견이 다를 수 있지만, 드보르작은 ‘교향곡 제9번 신세계 교향곡’이 대표작이라는 것에 대해서 누구도 부인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만큼 그를 평가하는 희대의 걸작이자 역량이 그대로 녹아있는 작품이다. 하지만 드보르작의 체코 민속적인 정취와 예술혼이 담겨있는 곡을 꼽으라고 한다면 ‘교향곡 제8번’을 맨 첫 번째로 소개해야 할 것이다. 수원시립교향악단이 오는 25일 저녁 7시 30분 수원SK아트리움 대공연장에서 드보르작 교향곡 제8번 사장조 작품88번 등 ‘가을, 드보르작’을 주제로 제259회 정기연주회를 개최한다. 국내 지휘계를 대표하는 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 정치용 예술감독과 수원시립교향악단의 연주력을 통해 드보르작의 음악세계에 대한 진면목을 선사한다. 드보르작 교향곡 제8번 1악장은 이 작품에 대한 주제를 제시하는 상징적인 선율이 등장한다. 2악장은 체코의 자연과 풍광을 소개하는 듯한 유려한 선율이 흐르는 악장이다. 2악장은 향수를 자극하는 묘한 감각이 빛나는 악장으로 평…
2018년은 조선후기 대표 실학자인 정약용이 18년의 긴 유배를 마치고 고향인 마재(馬峴, 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에 돌아와 대표작인 ‘목민심서’를 완성한 지 200주년이 되는 해이다. 정약용의 고향인 남양주에 위치한 실학박물관은 다산 해배 200주년을 맞아 오는 21일 오후 4시 다산유적지(다산생가)에서 ‘다산 정약용, 한강변 고향에 돌아오다’를 주제로 기념행사를 연다. 이번 행사는 정약용이 전남 강진에서 18년 동안의 유배에서 풀려나 해배(解配·유배에서 풀어줌)되는 과정을 18명의 해배길 도보단이 지난 9일 강진을 출발해 재현한다. 이어 정약용이 꿈에도 그리던 고향에서 해배길 도보단의 도착을 맞이하며 길놀이 장면을 통해 감회를 연출한다. 풍물굿패 삶터의 선도로 남양주 다산유적지 입구부터 생가(여유당) 마당까지 길놀이와 고유제로 꾸며진다. 해배길 도보단이 출발 전에 강진 다산초당에서 고유제를 지냈듯, 도착을 알리는 고유제를 지낸다. 생가 뒤 언덕에 있는 묘소가 많은 일반시민들이 함께 하기에는 장소가 협소해 문도사 사당에서 지낼 예정이다. 집사들은 지역 주민들로 구성했다. 사례가식(四禮家式) 중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