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제54회 대통령기 전국통일구간마라톤대회에서 아쉽게 준우승했다. 경기도는 8일 서울특별시 정동에서 파주시 임진각까지 46.8㎞를 6개 구단으로 나눠 뛴 이번 대회에서 종합기록 2시간36분38초로 서울시(2시간36분23초)에 이어 종합 2위를 차지했다. 경기도는 5구간까지 선두로 달렸지만 결승선을 3m 가량 남기고 마지막 주자가 넘어지며 서울시에 역전 우승을 허용했다. 경기체고 선수들로 팀을 구성한 경기도는 1구간(경향신문사~대성주유소·5.5㎞)에서 박정욱이 18분18초로 4위에 머물렀지만 2구간(대성주유소~벽제교 초입·8.9㎞)에서 고정현이 28분45초로 구간 1위를 차지하며 전체 순위를 1위로 끌어올렸다. 이후 3구간(벽제교 초입~내유초 ·7.2㎞) 김예훈(23분16초), 4구간(내유초 앞~구 통일로주유소·7.8㎞) 이현준(26분31초), 5구단(구 통일로주유소~통일공·110.2㎞) 오준석(33분43초)이 각각 구간 2위, 4위, 3위로 종합 선두를 유지했다. 그러나 경기도는 마지막 6구간(통일공원~임진각·7.2㎞)에서 강광수가 막판까지 선두를 유지하다 결승선을 3m 남기고 남어지며 아쉽게 우승키를 서울시에 내줬다. [ 경기신문 = 정민수 기자 ]
화성도시공사 유청소년탁구부(U-15)의 허예림-박윤영 조가 제40회 대통령기 전국탁구대회에서 여자 중등부 개인복식 우승을 차지했다. 허예림-박윤영 조는 22일 광주여대 시립유니버시아드 체육관에서 열린 대회 마지막 날 여자중등부 복식 결승전에서 서아영-금강은 조(충남 청양군탁구협회 U-15)를 게임 점수 3-1(11-9 9-11 11-8 11-4)로 따돌리고 정상에 올랐다. 이로써 지난 해 8월 공기업 최초로 유소년 탁구팀을 창단해 지난 3월 제64회 전국남녀중고학생종별탁구대회와 5월 제70회 전국남녀종별탁구선수권대회에서 잇따라 단체전 준우승을 차지한 뒤 지난 달 제57회 문화체육관광부장관기 전국남녀학생종별탁구대회에[서 사상 첫 전국대회 단체전 정상에 올랐던 화성도시공사는 이번 대회에서 개인복식 첫 우승의 쾌거를 이뤘다. 앞서 16강에서 최초윤-조경진 조(청양군탁구협회)를 3-0(11-3 11-7 11-7)으로 완파한 허예림-박윤영 조는 8강에서 김민서-최서원 조(청양군탁구협회)와 팽팽한 접전 끝에 3-2(11-8 6-11 9-11 10-12 11-5)로 신승을 거두고 4강에 진출했다. 4강에서도 박예진-김나연 조(대구 상서중)와 접전 끝에 게임 점수 3-2(
경기도가 제50회 대통령기 전국시·도대항레슬링대회에서 3년 만에 종합우승을 차지했다. 경기도는 1일 강원도 양구군 양구문화체육회관에서 열린 대회 마지막 날 종합점수 794점을 획득, 서울특별시(737.5점)와 강원도(583.5점)의 추격을 뿌리치고 우승기를 품에 안았다. 이로써 경기도는 지난 2021년 제47회 대회 이후 3년 만에 정상을 탈환했다. 경기도는 이날 끝난 일반부 그레코로만형에서 136점을 얻어 경남(85.5점)과 대구광역시(77점)를 누르고 정상에 올랐고 일반부 자유형에서도 118점을 따내 경북(100.5점)과 충남(85.5점)의 추격을 뿌리치고 종목 1위에 올랐다. 경기도는 앞서 열린 중등부 그레코로만형에서 144.5점으로 서울시(119.5점)와 강원도(85점)를 제치고 종목 1위에 오른 뒤 고등부 그레코로만형에서도 141점을 얻어 전남(113.5점)과 충북(69점)을 꺾고 종목 정상을 밟았다. 이밖에 중등부 자유형에서는 125.5점으로 강원도(134.5점)에 이어 2위를 차지했고 여고부 자유형에서는 64점으로 서울시(180점)와 인천시(83.5점)에 이어 3위에 입상했다. 경기도는 이번 대회 중등부에서 김강현(평택 도곡중)이 자유형 80㎏급
용인특례시청 박지수가 제40회 대통령기 전국시·도대항조정대회에서 2관왕에 올랐다. 박지수는 지난 19일부터 21일까지 3일간 충남 예산군 예당호 조정경기장에서 대회가 진행된 가운데 남자일반부 쿼드러플스컬과 무타페어에서 각각 금메달을 획득했다. 박지수는 지난 19일 열린 남일부 쿼드러플스컬 결승에서 홍세명, 이학범, 이상민과 팀을 이뤄 용인시청이 6분09초45로 수원특례시청(6분11초26, 남기욱-김지혁-강우규-이승민)과 충남 예산군청(6분20초00, 김형욱-이성관-손성민-장백희)을 따돌리고 대회 첫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박지수는 이어 20일 열린 남자일반부 무타페어 결승에서도 장신재와 팀을 이뤄 7분00초13으로 김수동-장백희 조(7분03초77)와 석태용-이성관 조(7분06초68·이상 충남 예산군청)를 따돌리고 우승을 차지하며 대회 2관왕에 등극했다. 또 20일 열린 남일부 더블스컬 결승에서는 남기욱-강우규 조(수원시청)가 6분50초65의 기록으로 김동용-유성환 조(경남 진주시청·6분52초84)와 이학범-홍세명 조(용인시청·6분55초63)를 간발의 차로 따돌리고 패권을 안았다. 이밖에 21일 열린 남일부 싱글스컬 결승에서는 김지혁(수원시청)이 7분43초48
김주연(화성시청)이 제61회 대통령기 전국장사씨름대회에서 생애 두번째 무궁화장사에 등극했다. 김주연은 18일 전남 장흥군 장흥실내체육관에서 열린 대회 3일째 여자부 무궁화급(80㎏급) 결승전에서 팀 동료 김아현을 2-1로 꺾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국화급(70㎏급)에서 두 차례 우승 경험이 있은 김주연은 지난 해 11월 천하장사 씨름대축제에서 생애 첫 무궁화장사에 등극한 이후 8개월여 만에 다시한번 무궁화장사 타이틀을 획득했다. 준결승전에서 무궁화급 강자 임정수(충북 괴산군청)를 2-0으로 꺾고 결승에 오른 김주연은 같은 팀 소속 김아현을 맞아 첫 판을 잡채기로 따내며 기선을 잡은 뒤 둘쨰 판에서 왼배지기로 패해 승부를 원점으로 돌렸다. 그러나 김주연을 셋째 판에서 밀어치기로 김아현을 모래판에 눕히며 우승을 확정지었다. 이 밖에 매화급(60㎏급) 결승에서는 김채오(안산시청)가 김시우(전남 구례군청)에게 배지기와 차돌리기로 패해 아쉽게 준우승했고 매화급 김단비, 국화급 이재하(이상 안산시청)와 최지우(용인대)는 각각 3위에 입상했다. [ 경기신문 = 정민수 기자 ]
장훈(의정부시청)이 제41회 대통령기 전국사이클대회에서 3관왕에 올랐다. 장훈은 23일 전남 나주시 전라남도사이클경기장에서 열린 대회 4일째 남자일반부 옴니엄에서 종합점수 145점으로 팀 동료 홍승민(126점)과 김지호(전남 강진군청·124점)를 여유있게 따돌리고 종합우승을 차지했다. 장훈은 이날 남일부 옴니엄 1경기 스크래치 7㎞에서 안희상과 김지호(이상 전남 강진군청)을 제치고 1위에 올라 종목 점수 40점을 따냈다. 2경기인 템포레이스 7㎞에서 22점으로 최동연(한국체대·26점)에 이어 2위에 오르며 종목 점수 38점을 얻은 장훈은 3경기 제외경기에서 홍승민과 김상민(한국체대)을 제치고 1위를 차지해 종목점수 40점을 추가했다. 1경기와 3경기에서 금메달 1개씩을 획득한 장훈은 마지막 4경기 포인트 25㎞에서 27점을 획득, 홍승민(28점)에 이어 종목 2위를 차지하며 종합우승을 확정지었다. 이로써 장훈은 이달 초 열린 제23회 인천광역시장배 전국사이클대회 옴니엄에서 3관왕을 차지한 데 이어 2경기 연속 금메달 3개를 수확하며 남일부 옴니엄 최강임을 입증했다. 또 남자 18세 이하부 옴니엄에서는 김은기(부천고)가 종합점수 138점으로 소재윤(서울체고·1
경기도가 제53회 대통령기 전국통일구간마라톤대회에서 대회 2연패를 달성했다. 경기도는 3일 서울시 정동에서 파주 임진각까지 46.8㎞를 6개 구간으로 나눠 달리는 이번 대회 시도대항전에서 2시간32분40초의 기록으로 서울시(2시간33분56초)와 충청남도(2시간42분12초)를 따돌리고 정상에 올랐다. 이로써 경기도는 지난 해 대회 우승에 이어 2년 연속 우승기를 들어올렸다. 경기도의 종합우승 2연패에 앞장선 김도연(연천 전곡고)은 최우수선수상을 받았고 손현준(경기체고)은 우수선수로 선정됐으며 박상일 코치(전곡고)는 지도자상을 수상했다. 경기도는 1구간(서울 정동 경향신문사 앞~대성주유소·5.5㎞)에서 한현수(경기체고)가 17분42초로 3위에 오른 뒤 2구간(대성주유소~백제교·8.9㎞)에서 손현준이 28초52로 구간 1위를 차지하며 합계에서도 46분34초로 서울시(46분43초)와 충남(47분46초)을 제치고 선두로 나섰다. 3구간(벽제교 초입~내유초 앞·7.2㎞)에서 안도현(경기체고)이 24초32로 2위를 차지해 합계 1시간11분06초로 서울시(1시간10분35초)에 선두를 내준 경기도는 4구간(내유초 앞~구 통일로주유소 앞·7.8㎞)에서 고정현(경기체고)이 24
최준형(평택시청)이 제49회 대통령기 시·도대항레슬링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이정대 감독의 지도를 받고 있는 최준형은 27일 강원도 양구군 양구문화체육회관에서 열린 대회 마지막 날 남자일반부 그레코로만형 87㎏급 결승에서 강현수(파주시청)를 상대로 10-2 테크니컬 폴승을 거두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준결승전에서 김진혁(한국조폐공사)을 상대로 화끈한 공격을 펼쳐 13-3, 테크니컬 폴승을 거두고 결승에 오른 최준형은 강현수와 1라운드에서 엉치걸이에 이은 옆굴리기로 대거 7점을 뽑아내 7-1로 앞서갔다. 2라운드 초반 1점을 내준 최준형은 이후 1점을 따내 공격의 주도권을 찾아온 뒤 강현수를 계속 몰아붙여 2점을 추가하며 테크니컬 폴로 경기를 마무리 했다. 또 남일부 그레코로만형 97㎏급 결승에서는 박제우(파주시청)가 권정율(삼성생명)을 3-1 판정으로 꺾고 정상에 올랐다. 남일부 그레코로만형 67㎏급 결승에서는 정도경(부천시청)이 정영우(삼성생명)에게 0-9 테크니컬 폴로 패해 준우승을 차지했고 남일부 그레코로만형 130㎏급 4강에서는 조효철(부천시청)이 부상으로 기권하며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밖에 여일부 자유형 59㎏급에서는 박예인(용인대)이 결승진
수원시청이 제39회 대통령기 전국시·도대항조정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수원시청은 27일 충남 예산군 예당호 조정경기장에서 열린 대회 첫 날 남자일반부 쿼드러플스컬 결승에서 박태현, 이학범, 김지혁, 강우규가 팀을 이뤄 6분16초41을 기록하며 황윤성, 김정호, 이재윤, 홍세영이 호흡을 맞춘 용인시청(6분18초38)과 충남 예산군청(6분19초26)을 따돌리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남자 18세 이하부 쿼드러플스컬에서는 수원 수성고가 7분02초35로 서울체고(6분30초27)와 충남 덕산고(6분39초75), 부산체고(6분53초44)에 이어 4위에 올라 아쉽게 입상에 실패했고 여대일반 쿼드러플스컬에서는 경기대가 기권해 경기에 출전하지 않았다. 이밖에 남일부 싱글스컬에서는 김형욱(용인시청)이 예선 1조에서 7분38초53으로 1위에 올라 결승에 직행했고 김지혁(수원시청)은 패자부활전에서 7분47초32로 1위를 차지해 결승에 합류했다. 한편 남자 18세 이하부 깅글스컬에서는 이성현(수성고)이 예선 1조에서 3위에 그치며 패자부활전으로 밀려났지만 패자부활전 2조에서 8분17초40으로 2위를 차지하며 결승행 티켓을 손에 넣었다. [ 경기신문 = 정민수 기자 ]
김은별과 이재하(이상 안산시청)가 제60회 대통령기 전국장사씨름대회에서 나란히 정상에 올랐다. 김은별은 6일 전남 장흥군 장흥실내체육관에서 열린 대회 6일째 여자부 매화급(60㎏급) 결승에서 김채오(충북 괴산군청)를 2-1로 힘겹게 따돌리고 우승을 차지했다. 김은별은 첫째 판에서 비디오 판독 끝에 잡채기로 승리를 거둬 기선을 잡았지만 둘째 판에 들배지기를 당해 승부를 원점으로 돌렸다. 그러나 김은별은 마지막 셋째 판에 들배지기로 승부를 결정지으며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또 이재하는 이어 열린 여자부 국화급(70㎏급) 결승에서 김지한(괴산군청)을 2-0으로 완파하고 패권을 안았다. 이재하는 첫 판에서 김지한의 상채 밑을 파고들어 씨름의 꽃으로 불리는 뒤집기 기술로 기선을 잡은 뒤 둘째 판에서도 앞무릎치기로 김지한을 넘어뜨리며 우승을 확정지었다. 한편 국화급 정수영(안산시청)은 4강에서 김지한에게 1-2로 패해 아쉽게 동메달을 획득했다. [ 경기신문 = 정민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