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 쌓이는 쓰레기에 소각장 필요성 'UP'
				늘어나는 생활쓰레기로 도내 곳곳이 쓰레기 무법시대로 변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로 배달이 늘며 분리수거를 제대로 하지 않은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고, 이와 더불어 수도권매립지 이용연한이 5년도 채 남지 않아 쌓이는 쓰레기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경기도는 늘어나는 폐기물을 관리하기 위해 자원순환시행계획을 수립하고, 폐기물 발생 축소와 순환이용 전략 방안을 세우고 있지만, 엎친데 덮친격으로 인천시가 수도권매립지 연장 금지를 발표해 발등에 불 떨어진 냥 해결책 마련에 나섰다. 생활폐기물은 가정과 사업장의 생활 폐기물을 말하고, 종량제 봉투를 이용해 배출된 폐기물은 매립 및 소각의 대상이 된다. 인천시에 위치한 수도권매립지는 경기도와 서울시 시민의 쓰레기를 처리하는 곳이다. 4개의 부지로 조성된 이 매립장은 오는 2025년 종료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025년 이후 수도권매립지 연장이 불확실해지자 경기도는 자체 매립지 조성 혹은 소각시설 확충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소각시설과 공공재활용시설, 음식물폐기물 처리시설, 매립시설 등을 확충할 계획을 세우고 도내 매립지 공모를 진행하고 있다. 아울러 환경부가 2025년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
				
					- 박한솔 기자·하도헌 수습기자 
- 2021-03-25 0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