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시대 서민들이 향유했던 그림 민화에서 오늘날 K팝아트의 뿌리를 발견한다. 민화 특유의 풍자와 해학은 오늘날에도 이어져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안산시 경기도미술관에서 민화와 K팝아트 특별전 ‘알고 보면 반할 세계’가 열리고 있다. 한국의 전통 민화로부터 한국의 팝아트의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기획된 전시다. 민화와 K팝아트를 엮어 소개하는 전시로는 국내 최초다. 전시엔 작자 미상의 전통 민화 27점과 더불어 현대미술 작가 권용주, 김상돈, 김은진 등 총 19인의 작품 102점이 전시된다. 미술관이 정의하는 K팝아트는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과 영국의 산업사회와 대중문화를 형성했던 미술사조인 팝아트에서 시작한다. 팝아트는 한국의 미술계에도 수용돼 실험미술과 민중미술의 현장, 포스트모더니즘 등에 등장했다. 수많은 경향들 중에서 한국적 정체성을 드러내는 팝아트로서 K팝아트의 면면을 제시한다. 전시는 크게 네 가지 질문에서 시작한다. ‘현대미술의 관점에서민화를 어떻게 읽을 수 있을 것인가’, ‘한국 현대미술에서 팝아트는 어떤 양상을 이루는가’, ‘한국 현대미술에서 K아트란 어떤 것일까’, 그리고 ‘민화와 팝아트의 사이에서 K팝아트가 어떻게 드러날 수 있는가’다. 이
 
								
				소소(炤炤: 밝게 빛나다)하고 호호(好好: 아름답다)한 민화들이 관객들을 만나고 있다. 병풍에 들어갈 법한 일월오봉도부터 나뭇가지에 앉아 있는 고양이까지 전통적이며 고풍스러운 그림들은 민화의 멋스러움을 뽐내고 있다. 꽃, 새, 과일을 그려넣어 기원의 의미도 담았다. 수원 타임빌라스 갤러리탐에서 ‘밝게 빛나며 아름다운 우리 그림전, ‘소소호호(炤炤好好), 우리그림展’이 열리고 있다. 김미희, 김숙희, 심민정, 지현경 4명의 작가가 참여해 우리나라 고유의 소재를 그린 민화 20여 점을 전시한다. 김미희는 ‘어해도’, ‘일월오봉도’, ‘연화도’ 등을 그렸다. 2022 TSOM민화공모전 특선, 2021 현대민화공모전 특선 등을 수상한 작가는 민화가 가진 사실성에 주목했다. 민화의 다양한 상징과 기호는 막연한 아름다움이 아닌 구체적인 행복을 기원한다. 민화의 메타포(은유)로 인간이 가진 바람과 정서, 사상적 배경을 연결한다. 그의 그림 ‘어해도’엔 풍요와 번창의 상징인 물고기가 연못을 헤엄치고 있다. 수풀을 헤치며 무리지어 있는 물고기들은 미끄러지듯 직선으로 화면을 가르며 복을 기원한다. ‘연화도’엔 고귀함을 상징하는 연꽃이 탐스럽게 피어 담백하면서 단아한 멋을 전한
 
								
				형형색색 단풍이 물든 가을 풍경만큼 다채로운 색감을 감상할 수 있는 특별한 전시가 경기도박물관에서 열리고 있다. 야외 활동을 맘껏 즐길 수 없는 우리에게 위로를 전하는 듯한 이 전시는 바로 ‘경기별곡 : 민화, 경기를 노래하다’ 이다. 최근 모던한 분위기로 재개관한 경기도박물관을 찾아 옛 민화를 재해석한 리뉴얼리즘 성격의 특별전을 둘러봤다. 경기도의 찬란한 역사와 문화유산, 그리고 사람들을 34명의 현대작가들이 저마다의 독특한 시선으로 바라본 작품들이 하나같이 매력적이다. 박물관이 재개관 기념으로 마련한 이번 전시에는 경기도에 사는 민화 작가 30명과 미디어아트 및 설치 작가 4명이 참여했다. 전시는 ‘제1부 : 경기 문화유산을 품다’, ‘제2부 : 경기 역사 인물을 그리다’, ‘제3부 : 정조와 책가도’, ‘제4부 : 역사의 장면을 담다’ 등 4가지 주제로 구성돼 있다. 작가들은 경기도의 역사 속 사건과 인물, 문화를 현대적인 감성과 기술력으로 전환해 색다른 감동과 재미를 준다. 전시장에 첫발을 내딛으면 액자 속 독특한 무늬의 도자기 그림이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온다. 김경희 작가의 '경기도(京器圖)'로, 경기도가 담긴 도자기 그림이란 뜻이다. 경기도의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