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태권도가 2024 파리 올림픽에서 8년 만에 금빛 발차기를 선보였다. 남자 선수로는 16년 만이다. ‘한국 태권도 남자 경량급 간판’ 박태준(경희대)은 8일 프랑스 파리 그랑팔레에서 열린 대회 태권도 남자 58㎏급 결승에서 가심 마고메도프(아제르바이잔)에게 부상 기권승을 거두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로써 박태준은 이 체급에서 우리나라 최초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로 기록됐다. 한국이 테권도 남자 58㎏급에서 거둔 역대 최고 성적은 ‘태권도 스타’ 이대훈 대전시청 코치가 2012 런던 올림픽에서 획득한 은메달이었다. 한국 태권도는 박태준의 금메달로 2021년 도쿄 대회에서 처음으로 ‘노골드’의 수모를 당한 이후 8년 만에 금메달리스트를 배출하며 종주국의 자존심을 세웠다. 한국 남자 태권도 선수가 금메달을 딴 것은 무려 16년 만이다. 한국 남자 태권도는 앞서 2008 베이징 대회 때 손태진(68㎏급)과 차동민(+80㎏급)이 금메달을 획득했었다. 박태준의 우승으로 한국 선수단은 이번 대회 금메달 갯수를 12개로 늘렸다. ‘스마일 점퍼’ 우상혁(용인특례시청)은 첫 올림픽 메달을 향한 도전을 순조롭게 시작했다. 우상혁은 육상 남자 높이뛰기 예선에서 2m27
대한민국 태권도가 종주국의 자존심을 걸고 2024 파리 올림픽에서 8년 만에 금메달에 도전한다. 한국 태권도 선수단은 7일 프랑스 파리 그랑팔레에서 열리는 파리 올림픽 태권도에서 ‘금빛 발차기’를 시도한다. 태권도는 1988년 서울 올림픽과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시범종목으로 채택된 뒤 1994년 국제올림픽위원회(IOC)에서 정식 종목에 포함돼 2000년 시드니 대회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됐다. 한국 태권도는 2000년 시드니 대회부터 매 대회 때마다 금메달을 수확해왔지만 2021년 열린 2020 도쿄 대회 때는 은 1개, 동메달 2개를 따는 데 그치며 ‘노골드’ 수모를 당했다. 프랑스 파리는 1994년 태권도가 올림픽 정식 종목에 포함되는 IOC 총회가 열린 곳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남다르다. 한국 태권도 선수단은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대회 이후 8년 만에 다시 금맥을 캐겠다는 각오다. 첫 도전자는 남자 58㎏급의 박태준(경희대)이다. 박태준은 7일 오후 5시10분 베네수엘라의 요한드리 그라나도를 상대로 16강전을 치른다. 생애 처음으로 올림픽에 나서는 박태준은 올해 2월 한국 태권도의 에이스로 꼽히는 장준(한국가스공사)을 선발전에서 격파한 기대
아주대병원은 아주대 의대 역노화 연구팀이 기존에 밝혀지지 않은 ‘중간노화세포’의 존재를 인체 노화과정에서 처음 확인하고 이를 통한 노화 억제 전략을 세계 최초로 제시했다. 아주대의료원 생화확교실 박태준 교수팀(이영경 연구교수·박순상 연구강사)과 병리학교실 김장희 교수팀(김영화 연구교수)은 노인 장기 조직에 ‘중간노화세포’란 새로운 개념의 세포가 존재한다는 것을 세계 최초로 발견했다. 중간노화세포는 세포노화의 여러 진행 단계 중 젊은세포와 완전노화세포의 중간 단계에 있는 세포를 의미한다. 연구팀은 이 중간노화세포의 축적이 노인 장기의 기능 장애에 영향을 주는 것을 처음으로 규명했다. 또 이러한 중간노화세포가 완전노화세포보다 노인 조직의 만성적인 염증과 장기 내 표피세포 기능 저하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했다. 특히 중간노화세포에 적절한 자극을 주면 다시 젊은 세포와 비슷한 기능으로 회복할 수 있음을 세포 및 노화된 마우스를 이용해 규명했다. 노인도 세포에 적절한 자극을 주었을 경우 다시 기능을 회복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다. 그동안 항노화 치료전략은 완전노화세포를 인위적으로 없애려는 시도였다. 하지만 노화 세포 제거 과정 중 오히려 염증이
K리그 2 선두 FC안양이 대전하나시티즌에 1-2로 패하며 무패행진을 마감했다. FC안양은 18일 오후 7시 안양종합운동장에서 열린 ‘하나원큐 K리그 2 2021’ 21라운드 대전하나시티즌과의 경기에서 후반 40분 대전 박인혁에게 결승골을 허용하며 1-2로 패했다. 최근 8경기서 4승 4무를 거두며 무패를 달리던 안양은 이번 패배로 무패행진을 이어가는데 실패했다. 안양은 선두(승점 36점)를 유지했으나, 승점을 확보하지 못하며 2위 전남드래곤즈(승점 34점)와 승점 차가 2점으로 줄었다. 전반전 안양은 대전의 거센 압박으로 빌드업에 어려움을 겪었다. 안양은 전반 15분 김승섭에게 슈팅을 허용한데 이어 18분 박인혁에게 재차 슈팅을 내줬다. 위기에서 벗어난 안양은 전반 24분 역습과정에서 아코스티가 슈팅을 날렸으나 골문을 벗어났다. 전반 37분 페널티박스 정면에서 하남이 시도한 슈팅 역시 골키퍼 선방에 막히며 득점에 실패했다. 전반 안양과 대전은 각각 슈팅 4개와 7개를 시도했으나 마무리가 아쉬웠다. 후반 3분 안양은 선제 실점하며 리드를 내줬다. 주장 주현우가 수비 과정에서 대전 이종현과 충돌했고 주심은 페널티킥을 선언, 키커로 나선 박진섭이 이를 성공시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