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빙속 여제’ 김민선(의정부시청)이 국제빙상연맹(ISU) 월드컵에서 세번째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김민선은 4일 캐나다 퀘벡에서 열린 2023~2024 ISU 스피드스케이팅 월드컵 6차 대회 이틀째 여자 500m 1차 레이스에서 37초69로 트랙 레코드(경기장 최고 기록)를 기록하며 펨케 콕(네덜란드·37초70)과 티안 루이닝(중국·38초05)을 따돌리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로써 김민선은 이번 시즌 월드컵 3차 대회와 4차 대회에서 여자 500m 우승에 이어 세번째 정상에 등극했다. 김민선은 또 지난해 11월에 열린 월드컵 2차 대회 여자 500m 2차 레이스에서 동메달을 획득한 이후로 월드컵 여자 500m에서 7회 연속 메달 행진을 이어갔다. 이날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우승자 에린 잭슨(미국)과 한 조에 속해 9번째 레이스 아웃코스에서 출발한 김민선은 첫 100m를 10초41에 통과하며 출전 선수 중 가장 좋은 기록을 세웠다. 이후 스피드를 높인 김민선은 잭슨을 0.67초 차로 따돌리고 결승선을 통과했다. 앞서 경기를 마친 펨케 콕보다 0.01초 앞선 기록으로 경기를 마친 김민선은 마지막 조에 나선 쿠루미 이나가와(일본·38초38)와 마리트 폰데루스(
 
								
				‘신빙속여제’ 김민선(23·의정부시청)이 국제빙상연맹(ISU) 월드컵 5차대회에서 5연속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김민선은 11일 폴란드 토마슈프 마조비에츠키의 로도바 아레나에서 열린 2022~2023 ISU 스피드스케이팅 월드컵 5차 대회 여자 500m 디비전A(1부)에서 37초90의 기록으로 바네사 헤르조그(오스트리아·38초09)와 키미 고에츠(미국·38초11)를 따돌리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로써 김민선은 월드컵 1~5차 대회 500m에서 5회 연속 정상에 오르며 ‘신빙속여제’임을 다시한번 입증했다. 김민선은 월드컵 뿐만 아니라 지난 해 12월 ISU 4대륙선수권대회에서도 우승하며 ISU 주관 대회에서 6회 연속 우승을 차지했고 지난달 열린 제31회 동계세계대학경기대회(동계유니버시아드)에서도 1위에 오르는 등 이번 시즌 폭발적인 기량을 뽐내고 있다. 김민선은 또 지난 달 서울 태릉국제스케이트장에서 열린 104회 전국동계체육경기대회 500m에서 ‘빙속여제’ 이상화(은퇴)의 38초10을 넘어 37초90의 대회 신기록으로 우승하며 국내외를 오가며 금메달을 휩쓸고 있다. 이날 9조 인코스에서 경기를 치른 김민선은 초반 랩타임 10초53으로 2위를 달리다가 후반 뒷
 
								
				‘새로운 빙속여제’ 김민선(23·의정부시청)이 월드컵 500m 금메달을 싹쓸이하며 5개 대회 연속 정상을 이어갔다. 김민선은 17일 캐나다 캘거리 올림픽 오벌에서 열린 2022~2023 국제빙상연맹(ISU) 스피드스케이팅 월드컵 4차 대회 여자 500m 디비전A(1부리그)에서 36초96의 기록으로 다카기 미호(일본·37초26)와 에린 잭슨(미국·37초35)을 여유있게 따돌리고 우승을 차지했다. 지난 10일 같은 장소에서 열린 월드컵 3차 대회에서 세운 개인 최고기록(36초972)을 뛰어넘어선 김민선은 월드컵 4개 대회와 ISU 4대륙선수권대회까지 이번 시즌 열린 ISU 주최 국제대회에서 5회 연속 우승했다. 이날 9조 인코스에서 스타트를 끊은 김민선은 첫 100m를 전체 4위 기록인 10초46에 통과했다. 김민선은 이 구간을 가장 먼저 통과한 네덜란드 디오너 포스캄프(10초31)보다 0.15초 느린 기록을 세웠지만 무섭게 스피드를 끌어올린 뒤 안정적인 레이스로 정상에 등극했다. 김민선은 이날 경기에 출전한 20명의 선수 중 유일하게 36초대 기록을 끊었으며, 2위 다카기를 무려 0.30초 차이로 제쳤다. 1000분의 1초 차이로 순위가 갈리는 스피드스케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