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원시 자원회수시설(영통구소각장)을 두고 수원시와 소각장 인근 주민들의 논쟁이 지속되는 가운데 소송 전으로 번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 영통 소각장 주민들이 법무법인을 섭외해 소송을 예고했기 때문이다. 5일 경기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수원시 영통구 주민들은 지난달 26일 법무법인 AK와 소송 관련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확인됐다. 수년째 수원시와 논쟁을 벌이던 주민들이 소송까지 진행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수원시의 소각장 대보수 진행에 차질이 빚어질 지 주목된다. 영통구 소각장은 2000년 가동을 시작했다. 300t 소각로 2기가 설치돼 하루 600t가량의 수원시 쓰레기를 처리하고 있다. 오는 2022년 3월부터 2년 6개월간 대보수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오랜 가동으로 이전을 요구하던 주민들의 뜻과는 달리 수원시가 소각장 이전 대신 대보수를 진행하겠다고 밝히자 주민들은 단체 행동에 나섰다. 그동안 주민들은 1만3000여 명의 서명이 담긴 소각장 이전 요구 서명부를 수원시에 전달하는가 하면, 시청 앞과 소각장 앞에서 집회를 열고 소각장 폐쇄를 요구하는 항의 목소리를 전달했다. 그러나 주민들은 결국 소송 카드를 꺼냈다. 현재까지 거의 2000여 명의 주민들이 소송
 
								
				코앞까지 찾아온 쓰레기 대란에 경기도 내 폐기물처리시설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폐기물처리시설의 부정적인 인식 때문인지 대보수 혹은 신·증설의 결정이 쉽사리 흘러가지 않을 전망이다. 경기도에 따르면 도내 23개 시·군, 26개 소각장의 하루 평균 소각량은 약 4200t이며 수도권매립지 이용이 중단되는 2025년 소각량은 약 20%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도내 26개의 소각장은 이미 포화상태로 추후 늘어나는 폐기물을 처리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이 중 13개의 소각장이 20년 이상 사용된 노후 시설이기 때문에 후속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쓰레기로 인한 인재(人災)가 발생할 우려도 심화되는 상황이다. 도는 2025년까지 성남·광주 등 9개 시·군에 소각장을 신·증설하고 수원 등 4곳은 대보수를 진행해 소각장 용량을 늘리는 작업을 착수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소각장 신설을 두고 지역 곳곳에서 잡음이 일고 있다. 소각장이 들어설 인근 주민들이 생활 환경 등을 이유로 반발하고 나선 것이다. 수원시 영통 소각장을 두고 수원시와 인근 주민들의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주민들은 20년째 가동한 소각장을 이제는 이전해야 한다 주장하고 있지만 수원시는 이전할 부지
 
								
				늘어나는 생활쓰레기로 도내 곳곳이 쓰레기 무법시대로 변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로 배달이 늘며 분리수거를 제대로 하지 않은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고, 이와 더불어 수도권매립지 이용연한이 5년도 채 남지 않아 쌓이는 쓰레기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경기도는 늘어나는 폐기물을 관리하기 위해 자원순환시행계획을 수립하고, 폐기물 발생 축소와 순환이용 전략 방안을 세우고 있지만, 엎친데 덮친격으로 인천시가 수도권매립지 연장 금지를 발표해 발등에 불 떨어진 냥 해결책 마련에 나섰다. 생활폐기물은 가정과 사업장의 생활 폐기물을 말하고, 종량제 봉투를 이용해 배출된 폐기물은 매립 및 소각의 대상이 된다. 인천시에 위치한 수도권매립지는 경기도와 서울시 시민의 쓰레기를 처리하는 곳이다. 4개의 부지로 조성된 이 매립장은 오는 2025년 종료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025년 이후 수도권매립지 연장이 불확실해지자 경기도는 자체 매립지 조성 혹은 소각시설 확충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소각시설과 공공재활용시설, 음식물폐기물 처리시설, 매립시설 등을 확충할 계획을 세우고 도내 매립지 공모를 진행하고 있다. 아울러 환경부가 2025년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