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아주대 서형탁 교수 연구팀, 신체 손상 감지 가능 근적외선 광센서 소자 개발
아주대학교는 서형탁 교수(신소재공학과·대학원 에너지시스템학과) 연구팀이 신체 내 근육 조직의 손상을 감지할 수 있는 근적외선 이미지 센싱 소자를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이 소자는 교류광전효과를 이용해 검출률이 높고 응답 시간 또한 빨라 고감도·고효율의 센서가 필요한 의료진단용 이미징 장치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빛을 전기 신호로 전환하는 광전효과 기반 광 센서는 신재생 에너지 활용과 스마트폰, 사물인터넷(IoT), 광통신 등에서 필수적인 부품이다. 특히 의료 분야에서도 다른 진단 방식에 비해 간편한 진단 및 상시 모니터링을 할 수 있어 광 센서를 활용한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실제로 고도 화상 진단에 광 센싱 기술이 활용되고 있어 광 센싱 기반으로 신체 내부의 근조직 손상을 이미징 방식으로 진단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산업계·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의료용 광 진단 분야에서 근적외선 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다. 근적외선을 활용하면 낮은 광 손상과 깊은 조직 침투가 가능해 인체 내부 조직의 이미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미세한 근적외선 신호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고성능의 광 센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