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블몽팀이 2024~2025 KCC 프로농구 올스타전에서 공아지팀을 꺾고 우승을 차지하며 별들의 축제가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19일 부산 사직체육관에서 열린 올스타전에서 크블몽팀이 공아지팀을 142-126으로 제압하며 승리했다. 이번 올스타전은 팬 투표 1, 2위를 차지한 유기상(창원 LG)과 변준형(안양 정관장)이 각각 크블몽팀과 공아지팀의 주장을 맡아 치열한 대결을 펼쳤다. 크블몽팀은 유기상을 비롯해 허훈, 허웅(부산 KCC), 안영준, 자밀 워니(서울 SK) 등으로 구성됐고, 공아지팀은 변준형, 이정현, 이우석(울산 현대모비스), 최준용(부산 KCC), 숀 롱(울산 현대모비스) 등이 출전했다. 크블몽팀은 워니의 압도적인 활약 속에 승리를 거뒀다. 워니는 41점을 올리며 2년 연속 올스타전 MVP에 선정됐다. 경기는 공아지팀의 알바노(원주 DB)가 3점슛을 터트리며 시작됐다. 김선형(서울 SK)의 연속 득점으로 공아지팀이 초반 0-7 리드를 잡았지만, 크블몽팀의 허웅과 문정현이 연속 득점을 올린 데 이어 워니의 덩크슛이 터지며 크블몽팀이 13-11로 역전에 성공했다. 1쿼터는 공아지팀 알바노의 버저비터 3점슛으로 마무리됐고, 공아지팀이 37-36으로 앞
2024~2025 KCC 프로농구가 17일부터 올스타전 휴식기에 들어가는 가운데, 고양 소노가 연패 사슬을 끊으며 시즌 후반기 반전을 예고했다. 소노는 지난 15일 고양 소노 아레나에서 열린 2024~2025시즌 KCC 프로농구 정규 리그 울산 현대모비스와의 홈 경기에서 84-81로 승리했다. 이로써 5연패를 끊어낸 소노는 10승 20패를 기록, 9위를 유지했다. 이날 경기에서 소노는 주전 선수들이 줄부상으로 이탈한 가운데 KBL 최초의 비선출 신인 정성조의 활약이 눈부셨다. 정성조는 이날 데뷔 7경기 만에 16득점, 77.8%의 야투 성공률을 보이며 경기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정성조의 활약에 분위기를 탄 소노는 김진유와 이재도가 나란히 18득점을 올리며 팀 승리를 견인했다. 지난해 12월 18일 에이스 이정현의 복귀와 함께 창단 후 최다인 11연패의 악몽을 딛고 3연승을 달린 소노는 최근 에이스 이정현의 부상 재발과 아시아쿼터 켐바오까지 부상으로 빠지며 다시 연패의 늪에 빠졌다. 하지만 올스타 휴식기 직전 열린 현대모비스와의 경기를 승리로 이끌어 반전의 발판을 마련했다. 현재 리그 9위(10승 20패)에 위치한 소노와 7위 부산 KCC(12승 17패)와의
프로야구 kt 위즈가 2024 신한 SOL뱅크 KBO올스타전에서 베스트12를 한 명도 배출하지 못했다. KBO는 17일 KBO 올스타전 팬 투표 결과와 함께 선수단 투표를 합산한 드림팀과 나눔팀 베스트12 투표 최종 집계 결과를 발표했다. 발표 결과 드림 올스타(kt 위즈·SSG 랜더스·삼성 라이온즈·두산 베어스·롯데 자이언츠)와 나눔 올스타(KIA·LG 트윈스·NC 다이노스·한화 이글스·키움 히어로즈)로 나눠 진행되는 올 시즌 올스타전에서 kt 소속 선수 중 각 포지션 투표 1위를 차지한 선수는 단 한 명도 없었다. kt는 지난 2022년과 2023년 박병호가 올스타 투표에서 1루수 부문 1위에 오르며 2년 연속 베스트12에 이름을 올렸지만 올 시즌에는 포지션 별 1위를 한 명도 배출하지 못했다. kt는 지명타자 부문에서 강백호가 팬 투표 70만 9113표, 선수단 투표 150표로 총점 29.35점으로 구자욱(삼성32.56점)에 이어 2위에 오른 것이 최고 성적이었다. 선발투수와 중간투수 후보에 올랐던 웨스 벤자민과 김민수는 총점 8.06점가 8.84점으로 5명의 후보 중 나란히 최하위에 머물렀고 마무리투수에서는 박영현이 총점 17.01점으로 3위에 머물렀
여자프로농구 신지현(부천 하나원큐)이 2년 연속 올스타 팬 투표 1위에 실패했다. 한국여자농구연맹(WKBL)은 지난 6일부터 25일까지 진행된 우리은행 우리원(WON) 2023~2024 여자프로농구 올스타 팬 투표 결과를 26일 발표했다. 이번 올스타 팬 투표에서 1위를 3만 2639표를 받은 박지현(아산 우리은행)이 차지했다. 지난 해 올스타 팬 투표에서 1위에 올랐던 신지현은 3만 1645표를 받아 994표 차로 아쉽게 2위에 머물렀다. 박지현과 신지현에 이어 김소니아(인천 신한은행·3만 1346표)와 이소희(부산 BNK·3만 324표), 김단비(우리은행·2만 8132표)가 톱5에 올랐다. 또 신이슬(용인 삼성생명)과 이명관(우리은행)은 각각 9위와 14위를 차지하며 생애 처음 올스타로 뽑혔다. 올스타에 선정된 20명의 선수는 팬 투표 순위에 따라 핑크스타와 블루스타 팀으로 나뉜다. 김완수 청주 KB스타즈 감독이 이끄는 핑크스타는 임근배 삼성생명 감독과 박정은 BNK 감독이 코치를 맡고 박지현, 이소의, 김단비, 박지수(KB스타즈), 신이슬, 김지영(신한은행), 이해란(삼성생명), 최이샘(우리은행), 이주연(삼성생명), 김진영으로 팀이 구성됐다. 이에 맞
여자프로농구 부천 하나원큐의 돌풍을 이끌고 있는 신지현이 2023~2024시즌 올스타 팬 투표에서 치열한 선두 경쟁을 벌이고 있다, 한국여자농구연맹(WKBL)은 지난 6일 시작된 ‘우리은행 우리원(WON) 2023~2024 여자프로농구 올스타’ 팬 투표에서 20일 오전 9시 현재 신지현(하나원큐)이 2만 3028표로 박지현(아산 우리은행·2만 3383표)에 이어 2위를 달리고 있다고 20일 밝혔다. 신지현과 박지현의 표차는 단 355표 차다. 지난 해 올스타 팬 투표 1위를 차지했던 신지현은 지난 15일 중간 집계까지 1만 5372표로 박지현(1만 4915표)을 457표 차로 제치고 선두를 달렸지만 5일 만에 선두 자리를 내줬다. 신지현은 올 시즌 13경기에 나와 경기당 평균 득점 13.31점과 평균 리바운드 3.2개, 어시스트 3.8개를 기록하며 만년 최하위로 불리던 하나원큐를 리그 4위로 이끌었다. 하나원큐는 올 시즌 개막과 동시에 4연패 수렁에 빠졌지만 지난 달 19일 인천 신한은행을 79-65로 꺾고 시즌 첫 승을 올린 이후 승리와 패배를 반복했다. 하나원큐는 지난 3일 용인 삼성생명 전(65-44), 6일 신한은행 전(78-51), 10일 부산 BN
2022~2023 프로배구 V리그 올스타전 팬 투표에서 신영석(수원 한국전력)이 남자부 1위를 차지했다. 한국배구연맹(KOVO)은 22일 올스타전에 출전할 40명의 선수 명단과 함께 투표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투표는 지난 12일부터 18일까지 KOVO 홈페이지를 통해 진행됐다. 한국전력의 베테랑 미들 브로커인 신영석은 남자부에서 6만 9006표를 얻어 김민재(인천 대한항공·6만 8433표)와 이상현(서울 우리카드·6만 3331표)을 제치고 1위에 올랐다. 3년 연속 올스타전 남자부 최다 득표 1위를 차지한 신영석은 개인 통산 4번째 남자부 최다 득표 기록도 세웠다. 여자부에서는 1년 만에 국내리그에 복귀한 김연경(인천 흥국생명)이 8만 2297표를 얻어 이고은(광주 페퍼저축은행·6만3255표)과 양효진(수원 현대건설·6만 2890표)을 제치고 가장 많은 표를 받았다. 김연경은 남녀부 통틀어 최다 득표의 영예도 안았다. 이번 올스타전은 내년 1월 29일 인천 삼산월드체육관에서 열리며 남녀부는 각각 1995년 12월 31일 이전에 출생한 ‘M스타’ 팀과 1996년 1월 1일 이후 출생한 ‘Z스타’ 팀으로 나눠 경기를 치른다. KOVO는 팬 투표로 각 팀 7명의
한국야구위원회(KBO)가 4년 만에 열리는 프로야구 퓨처스리그(2군) 올스타전 출전 명단을 확정했다. KBO는 10일 박치왕(상무) 감독이 이끄는 남부리그 올스타(kt 위즈, 상무, 롯데 자이언츠, NC 다이노스, 삼성 라이온즈, KIA 타이거즈) 24명과 이종범(LG 트윈스) 감독이 이끄는 북부리그 올스타(SSG 랜더스, 고양 히어로즈, LG, 두산 베어스, 한화 이글스) 24명의 선수 명단을 공개했다. 남부리그 올스타는 지명성, 권성준, 양승혁, 문상준(이상 kt), 김기훈, 김형준, 나승엽, 최준우(이상 상무), 이강준, 김세민, 윤동희, 조세진(이상 롯데), 임지민, 하준수, 김한별, 오장한(이상 NC), 황동재, 이병헌, 박승규, 공민규(이상 삼성), 이승재, 김도현, 김선우, 이인한(이상 KIA)이 출전한다. 또 북부리그 올스타에는 신헌민, 유호식, 조형우, 석정우, 임근우(이상 SSG), 주승우, 노운현, 이재홍, 박주홍, 이주형(이상 고양), 김영준, 이지강, 송찬의, 최현준, 김유민(이상 LG), 김동주, 박성재, 송승환, 김대한(이상 두산), 이재민, 김기중, 허인서, 이원석, 유상빈(이상 한화)이 이름을 올렸다. 퓨처스 올스타전은 15일
프로야구 선두 SSG 랜더스의 ‘좌완 에이스’ 김광현이 올스타전 베스트12 팬 투표 1차 중간집계에서 드림 올스타 선발투수 부문 1위에 올랐다. KBO는 13일 2022 신한은행 SOL KBO 올스타전 베스트12 팬 투표 1차 중간집계 결과를 공개했다. 드림 올스타 선발 투수 부문 후보인 김광현은 303,304표를 받아 원태인(삼성 라이온스·138,302표)과 고영표(kt 위즈·61,312표), 박세웅(롯데 자이언츠·52,246표), 로버트 스탁(두산 베어스·46,537표) 등 경쟁자들을 여유있게 따돌렸다. 외야수 부문에서는 한유섬(SSG)이 225,717표를 받아 호세 피렐라(325,587표)와 구자욱(269,900표·이상 삼성)에 이어 3위를 달리고 있다. 이번 1차 집계에서 올스타 후보 중 가장 많은 표를 받은 선수는 드림 올스타 포수 부문에서 334,057표를 받은 김태군(삼성)이었다, 김태군은 NC 다이노스 소속이던 2014년과 2015년에 이어 개인 통산 3번째 베스트12 선정을 노린다. 또 나눔 올스타 선발투수 부문 양현종(KIA 타이거즈)이 328,486표로 최다 득표 2위에 올랐고 3위는 김광현이 자리했다. 김광현이 양현종과 동시에 올스타전
21일 수원 광교씨름체육관에서 열린 ‘수분충전 링티 코로나19 극복 올스타 대회’에서 유남규-김택수 팀이 27년 만에 추교성-이철승 팀에 설욕했다. 이벤트 경기를 맡은 두 팀은 1994년 히로시마 아시안게임 탁구 복식 결승전에서 만났었다. 당시 추교성-이철승 팀이 승리를 거둬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평상시 감독들이 벤치에서 전술 등을 지시하지만, 이날 이벤트 경기에서는 선수들이 전술을 지시하는 모습을 보여 탁구 팬들의 웃음을 자아냈다. 27년이 지났지만 네 선수의 승부욕은 여전했다. 경기 시작 전 미소를 보이던 두 팀은 경기가 시작되자 진지하게 게임에 임했다. 공격에 성공하면 손을 번쩍 올려 기뻐했고, 실점하면 아쉬워하는 모습이 역력했다. 1세트를 가져간 유남규-김택수 팀은 2세트 역시 앞섰다. 6-4까지 점수 차가 벌어지자 추교성-이철승 벤치에선 타임을 요청했다. 타임 이후 계속 실점하자 이철승 전 선수는 심판을 맡은 유승민에게 교체를 요청하며 이벤트 경기의 재미를 더했다. 한 점을 만회한 후 다시 원래의 자리로 돌아간 유승민은 타임아웃을 요청해 인터뷰를 진행하는 재치를 보였다. 2세트 추교성-이철승 팀이 승리하며 세트스코어 1-1로 동점을 만들었으나 3세
KBO리그 10개 구단이 9일 2020 신한은행 쏠(SOL) KBO 올스타 ‘베스트 12’에 뽑힐 각 부문별 후보를 확정해 발표했다. KBO는 코로나19 여파로 프로야구 출범 이후 처음으로 올해 올스타전 개최를 취소했지만 올스타 기록 보존과 변함없는 성원을 보내주는 팬들을 위해 10일부터 ‘베스트 12’ 투표를 진행한다. 올해 올스타는 드림 올스타(kt 위즈, SK 와이번스, 두산 베어스, 삼성 라이온즈, 롯데 자이언츠)와 나눔 올스타(키움 히어로즈, LG 트윈스, NC 다이노스, KIA 타이거즈, 한화 이글스)로 나눠 팬 투표로만 24명을 뽑는다. 올스타에 선정된 선수들은 올스타 특별 패치를 유니폼에 붙이고 정규리그에 출전해 팬들의 응원에 보답할 계획이다. 10개 구단은 선발 투수, 중간 투수, 마무리 투수, 포수, 지명타자, 1루수, 2루수, 3루수, 유격수(이상 1명), 외야수(3명) 부문 등 각각 12명을 추천, 발표했다. kt에서는 선발투수 오드리사머 데스파이네, 중간투수 주권, 마무리투수 김재윤, 포수 장성우, 1루수 강백호, 2루수 박경수, 3루수 황재균, 유격수 심우준, 지명타자 유한준, 외야수 멜 로하스 주니어, 배정대, 조용호를 추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