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선수단이 2022 항저우 장애인 아시안게임에서 종합 4위로 대회를 마쳤다. 한국은 28일 중국 저장성 항저우 올림픽 스포츠센터 스타디움에서 막을 내린 대회에서 금 30개, 은 33개, 동메달 40개 등 총 103개 메달을 획득하며 종합 4위라는 목표를 달성했다. ‘개최지’ 중국은 금 214개, 은 167개, 동메달 140개를 쓸어 담으며 1위를 차지했고 이란(금 44·은 46·동 41)과 일본(금 42·은 49·동 59)이 그 뒤를 이었다. 이날 열린 탁구 혼성복식 XD4 결승에서는 서수연-박진철(이상 광주광역시청) 조가 태국의 부트완시리나 칠치트라랴크-추에웡 티라유 조를 세트 점수 3-0(11-3 11-9 11-7)으로 제압하고 패권을 안았다. Class1·2 여자 단식, WD5 여자 복식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서수연은 이날 우승으로 3관왕에 올랐다. 2014년 인천 대회에서 은메달 2개, 2018년 인도네시아에서 동메달 2개를 따냈던 서수연은 이번 대회에서는 출전한 3개 종목에서 모두 금맥을 캤다. 또 탁구 MD22 남자 복식 결승에서는 김기태와 김창기(이상 부산장애인체육회) 조가 일본의 다케모리 다케시-가토 고야 조를 세트 점수 3-0(11-9
지난 8일 폐막한 2022 제19회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대한민국 선수단이 당초 목표했던 금메달 45~50개 이상, 종합 3위 달성에 절반의 성공을 이룬 가운데 경기도선수단의 성적이 다른 대회 때보다 저조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9일 경기도체육회에 따르면 이번 항저우 아시안게임에 출전한 대한민국 선수단은 39개 종목에 1140명(선수 867명, 임원 273명)을 파견해 금 42개, 은 59개, 동메달 89개 등 총 190개의 메달을 획득해 개최국 중국(금 201·은 111·동71)과 일본(금 52·은 67·동 69)에 이어 종합 3위에 올랐다.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에서 금메달 49개로 일본(금 75)에 금메달 26개 차로 크게 뒤져 종합 3위에 올랐던 한국은 금메달 격차를 10개로 좁히긴 했지만 2회 대회 연속 일본에 종합 2위 자리를 내줬다. 한국이 일본에 종합 2위 자리를 내준 것은 1994년 히로시마 대회 이후 자카르타·팔렘방 대회가 처음이었다. 금메달 수도 당초 목표했던 최소 45개보다 3개가 적어 절반의 성공을 이룬 셈이다. 경기도선수단은 이번 대회 27개 종목에 127명(선수 118명, 임원 9명)의 선수단을 파견해 금 9개, 은 13
한국 야구대표팀이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대회 4연패를 달성했다. 류중일 감독이 이끄는 한국은 7일 중국 저장성 사오싱시 야구·소프트볼 스포츠센터 1구장에서 열린 대회 결승 대만과 경기에서 선발 투수 문동주(한화 이글스)과 불펜진의 호투에 힘입어 2-0으로 승리를 거두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5일 전 열린 조별리그 예선에서 대만에 당한 0-4 완패를 완벽하게 설욕한 한국은 2010 광저우 대회를 시작으로, 2014 인천 대회, 2018 자카르타·팔렘방 대회에 이어 아시안게임 4연패를 이뤘다. 조별리그 패배를 설욕하기 위해 칼을 간 한국은 1회부터 대만을 강하게 몰아붙였다. 한국은 1회 1사 후 최지훈(SSG 랜더스)의 볼넷과 윤동희(롯데 자이언츠)의 우익선상 안타로 1사 1, 2루 기회를 잡았지만 노시환(한화 이글스)이 2루수 병살타로 물러나 선취점 획득에 실패했다. 한국은 1회말 대만 선두 타자 정쭝저의 중월 2루타와 희생번트로 1사 3루 위기를 맞았지만 린리를 유격수 땅볼로 처리한 뒤 린안거를 헛스윙 삼진으로 낚아내며 위기를 모면했다. 실점 위기를 넘긴 한국은 2회초 선두 타자 문보경(LG 트윈스)의 우익선상 2루타로 득점기회를 잡은 뒤 강백호(
한국 야구 대표팀이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대만을 다시 만나 금메달을 놓고 맞대결을 펼치게 됐다. 류중일 감독이 이끄는 한국은 6일 중국 저장성 사오싱 야구·소프트볼 스포츠센터 1구장에서 열린 야구 슈퍼라운드 2차전 중국과 경기에서 선발 원태인(삼성 라이온즈)의 호투와 김주원(NC 다이노스), 강백호(kt 위즈)의 홈런포 등 장단 16안타를 몰아치며 8-1로 승리했다. 이날 승리로 라운드 전적 2승 1패가 된 한국은 2위를 확보하며 결승행을 확정했다. 한국은 전날 중국을 꺾고 일찌감치 결승행을 확정한 대만과 7일 오후 7시 같은 장소에서 금메달을 놓고 맞붙는다. 예선에서 대만에 0-4로 패했던 한국으로선 설욕의 기회를 잡은 것이다. 한국은 1회초 상대 실책과 노시환(한화 이글스)의 볼넷으로 만든 2사 1, 2루 득점 기회를 살리지 못했지만 2회 선두타자 강백호의 우전안타에 이은 김주원의 우월 투런홈런으로 2-0으로 앞서갔다. 이어 김형준(NC)의 좌전안타와 김성윤(삼성)의 희생번트, 김혜성(키움 히어로즈)의 내야안타로 만든 1사 1, 3루에서 최지훈(SSG 랜더스)의 중견수 희생플라이로 1점을 더 뽑았다. 3-0으로 앞선 한국은 3회 2사 후 타격에
한국 야구 대표팀이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슈퍼라운드에서 ‘숙적’ 일본을 꺾고 1승을 챙겼다. 류중일 감독이 이끄는 한국은 5일 중국 저장성 사오싱의 야구·소프트볼 스포츠센터 1구장에서 열린 슈퍼라운드 1차전에서 일본을 2-0으로 제압했다. 이날 한국 선발 박세웅(롯데 자이언츠)은 6이닝 동안 9삼진, 2피안타, 2볼넷만을 내준 채 무실점으로 호투하며 승리투수가 됐고 8회 마운드에 오른 박영현(kt 위즈)은 뒷문을 틀어막으며 세이브를 기록했다. 타선에서는 노시환(한화 이글스)이 혼자 2타점을 기록하며 팀 승리에 앞장섰다. 조별리그 성적 1패인 한국은 이날 승리로 1승 1패가 돼 결승 진출 가능성을 높였다. 한국은 6일 열리는 ‘개최국’ 중국과 경기에서 승리시 자력으로 결승에 진출하게 된다. 한국은 1회초 나카가와 히로키에게 볼넷과 도루를 허용하고 기타무라 쇼지에게 좌전 안타를 맞으며 1사 1, 3루 위기를 맞았지만 후속 타자를 파울 플라이와 헛스윙 삼진으로 잡아내며 위기를 넘겼다. 이후 한국은 박세웅의 호투 속에 2회와 3회를 연속 삼자범퇴 처리했고 4회 선두타자 기타무라에게 두 번째 안타를 내줬지만 후속 타선을 삼진 2개와 땅볼로 막아 무실점 행진을 이
아시안게임 3연패에 도전하는 한국 여자 핸드볼 대표팀이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개최국 중국을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헨리크 시그넬(스웨덴) 감독이 이끄는 한국은 3일 중국 저장성 항저우의 저장 공상대학교 체육관에서 열린 여자 핸드볼 준결승전에서 13골을 합작한 류은희(헝가리 교리)와 이미경(부산시설공단)의 활약을 앞세워 중국을 30-23으로 제압했다. 이로써 한국은 2014년 인천과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대회 우승에 이어 3회 연속 금메달에 도전한다. 한국은 5일 오후 6시 같은 장소에서 카자흐스탄을 꺾은 일본과 우승을 놓고 맞붙는다. 한국은 여자 핸드볼이 아시안게임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1990년 베이징 대회부터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대회까지 8차례 대회 가운데 7번을 우승했다. 2010년 광저우 대회 때 동메달이 유일하게 우승하지 못한 대회다. 한국은 이날 전반 초반 류은희의 7m 스로 2개와 강경민(광주도시공사)의 득점 등으로 5-1까지 앞서며 기선을 잡았다. 그러나 전반에만 혼자 4골을 넣은 진멍칭을 앞세운 중국의 추격을 뿌리치지 못한 채 15-14, 1점차로 전반을 마쳤다. 후반 초반 체육관을 가득 메운 홈 팬들의 응원에 힘입은 중
한국 야구대표팀이 약체 태국을 대파하고 조 2위로 슈퍼라운드에 진출했다. 류중일 감독이 이끄는 한국은 3일 중국 저장성 사오싱의 야구·소프트볼 스포츠센터 2구장에서 열린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B조 조별리그 마지막 경기에서 최지훈(SSG 랜더스), 윤동희(롯데 자이언츠), 김주원(NC 다이노스)의 홈런포를 앞세워 태국에 17-0, 5회 콜드게임승을 거뒀다. 조별리그 전적 2승 1패를 기록한 한국은 승자승 원칙에 따라 남은 대만-홍콩전 결과와 관계없이 대만에 이어 B조 2위를 확정했다. 한국은 하루 휴식을 취한 뒤 5일 오후 1시 A조 2위와 슈퍼라운드 첫 경기를 치르고 6일 오후 1시 A조 1위와 두 번째 경기에 나선다. 한국은 조별리그 대만전에서 기록한 ‘1패’를 안은 채 슈퍼라운드를 치르게 되며 4개 팀 중 상위 2개 팀이 결승에 진출한다. 한국은 1회말 1번 타자 김혜성(키움 히어로즈)이 상대 선발 포옴웃 우띠꼰을 상대로 우중간을 가르는 3루타를 뽑아낸 뒤 최지훈의 2루 땅볼때 홈을 밝아 선취점을 뽑았다. 이후 윤동희(롯데 자이언츠)의 몸에 맞는 볼과 노시환(한화 이글스)의 중전 안타로 1사 1, 3루 기회를 잡은 한국은 문보경(LG 트윈스)의 내야
‘한국 유도 최중량급 간판’ 김민종(양평군청)이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금빛 메치기에 나선다. 김민종은 26일 중국 저장성 항저우 샤오산 린푸체육관에서 열리는 대회 유도 남자 +100㎏급에 출전한다. 체지방을 빼고 근육량을 늘린 새로운 훈련법으로 몸을 만든 김민종은 처음 출전한 아시안게임에서 우승에 도전한다. 이밖에 유도 남자 100㎏급에서는 원종훈(양평군청)이, 여자 78㎏급과 +78㎏급에서는 윤현지와 김하윤(이상 안산시청)이 각각 메달 획득에 도전한다. 지난 24일 사격 여자 10m 공기소총 단체전에서 장정인(경북 울진군청), 이은서(충남 서산시청)와 팀을 이뤄 5위에 입상했던 조은영(경기도청)은 혼성 10m 공기소총에 출전해 금메달을 조준하고, 아시안게임 첫 출전인 심은지(화성시청)는 여자 25m 권총에 나서며 여자 스키트에서는 장국희(중앙대)가 경기를 치른다. 또 복싱 남자 57㎏급 이예찬(성남시청)은 32강을 진행하고 사이클 남자 단체추발에서는 박상훈, 장훈(이상 의정부시청), 신동인, 김상표(이상 전남 강진군청)가 팀을 이뤄 출격하며 태권도 여자 53㎏급 박혜진(고양특례시청)도 경기를 앞두고 있다. 이밖에 한국 선수단 막내라인 하시예, 정지
‘한국 여자 근대5종의 간판’ 김선우(경기도청)가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대한민국 선수단에 첫 메달을 선사했다. 김선우는 24일 중국 저장성 항저우의 푸양 인후 스포츠센터에서 열린 대회 이틀째 근대5종 여자부 개인전에서 펜싱, 수영, 승마, 레이저 런(육상+사격)을 합해 1386점을 얻어 중국의 장밍위(1406점)에 이어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김선우는 수영에서 283점으로 19명의 참가선수 중 4위에 올랐고 펜싱에서 255점으로 2위, 승마에서 299점으로 4위, 레이저 런에서 549점으로 공동 7위에 오르는 등 전 종목에서 고르게 상위권을 유지하며 준우승을 차지했다. 김선우는 첫 경기인 승마에서 김세희, 장하은, 성승민 등이 낙마하거나 장애물을 지나치며 점수를 따내지 못하는 사이 홀로 299점을 얻은 데 이어 펜싱과 수영에서도 상위권을 유지하며 우승을 노렸다. 그러나 마지막 경기인 레이저 런에서 중국 선수들과 치열한 경쟁을 벌인 김선우는 막판 사격에서 주춤하며 장밍위에게 우승을 내줬다. 김선우는 여자부 단체전에서도 장하은(경기도청), 김세희, 성승민(이상 한국체대)과 팀을 이뤄 대한민국이 3574점으로 중국(4094점)과 일본(3705점)에 이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1년 미뤄진 제19회 하계 아시안게임이 23일 오후 9시 중국 저장성의 성도 항저우시 올림픽 스포츠센터 스타디움에서 성대하게 막을 올렸다. 지난 3년간 세계를 위기로 몰고 간 코로나19가 엔데믹(풍토병화)에 접어든 뒤 2018 자카르타·팔렘방 대회 이래 5년 만에 다시 열리는 아시안게임이라는 뜻깊은 의미를 지닌 이번 대회는 절기상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는 추분에 또 하나의 서사를 써 내려갔다. 대회 조직위원회는 '물과 가을 빛'이라는 주제로 한 공연에서 중앙 본부석 맞은 편 무대 바닥과 객석을 LED 전광판으로 꾸며 다채로운 시각 효과로 관객과 TV 시청자의 시선을 한눈에 사로잡았다. 이어 5천년 전 신석기 시대 항저우 일대에서 형성된 량주 문화의 유구함을 따뜻한 영상과 함께 추분 인사로 풀어내며 45개 나라에서 온 역대 최다 1만2천500명의 선수단을 뜨겁게 환영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개회식에 직접 참석해 각국 선수단은 물론 국제올림픽위원회(IOC) 토마스 바흐 위원장, 한덕수 한국 국무총리, 노로돔 시하모니 캄보디아 국왕, 바샤르 알-아사드 시리아 대통령, 미샬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쿠웨이트 왕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