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축구대표팀의 ‘주장’ 손흥민(토트넘)이 2023 아시아축구연맹(AFC) 아시안컵 8강전에서 터트린 역전 프리킥 결승골이 대회를 빛낸 ‘최고의 골’ 후보에 올랐다. 아시아축구연맹(AFC)은 22일 홈페이지를 통해 이번 카타르 아시안컵에서 터진 총 132골 가운데 ‘최고의 골’ 후보 8개를 추려 ‘골 오브 토너먼트’를 뽑는 팬 투표를 시작했다. 후보에 오른 8골 중에는 손흥민이 호주와의 8강전에서 선보인 절묘한 오른발 프리킥 결승골이 포함됐다. 손흥민은 지난 3일 카타르 알와크라의 알자눕 스타디움에서 열린 호주와 8강전에서 1-1로 팽팽하던 연장 전반 14분 페널티아크 왼쪽에서 따낸 프리킥을 오른발로 성공시켜 한국의 2-1 역전승을 이끌었다. AFC는 “한국은 호주와의 8강전에서 후반 추가시간 페널티킥 동점골이 터지면서 연장전에 들어갔다”며 “후반 추가시간 페널티킥을 유도했던 손흥민은 페널티지역 왼쪽 부근에서 승리를 위한 멋진 프리킥 득점을 터트렸다”고 설명했다. 한국을 상대로 득점을 터트린 장면 2개도 후보군에 이름을 올렸다. 한국과 말레이시아의 조별리그 3차전 말레이시아가 0-1로 뒤진 후반 6분 말레이시아의 파이살 할림이 골 지역 왼쪽에서 각을 좁히던
한국 축구 대표팀이 위르겐 크린스만 감독의 전술·전략 부재라는 비판을 받으면서 졸전을 펼친 끝에 64년 만의 아시안컵 우승 도전에 실패한 가운데 새로운 에이스로 떠오른 이강인(파리 생제르맹)이 아시아축구연맹(AFC) 선정 아시안컵 베스트 11에 이름을 올렸다. AFC는 13일 공식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2023 AFC 아시안컵 베스트 11 명단을 공개했다. 3-4-3 포메이션으로 선정된 베스트 11에서 이강인은 오른쪽 미드필더 자리를 꿰찼다. 한국 대표팀은 이강인이 유일하게 베스트 11에 들면서 체면을 살렸다. 공격수 부문에는 결승전 페널티킥 해트트릭으로 득점왕(8골)과 대회 최우수선수(MVP)를 석권한 카타르의 아크람 아피프를 비롯해 득점 2위 아이만 후세인(이라크), 야잔 알나이마트(요르단)가 이름을 올렸다. 또 미드필더에는 이강인을 비롯해 하산 알하이도스(카타르), 크레이그 구드윈(호주), 메흐디 가예디(이란)가 선정됐고 수비수에는 루카스 멘데스(카타르), 알리 알불라이히(사우디아라비아), 압달라 나시브(요르단)가 뽑혔다. 골키퍼 자리는 최고 골키퍼상을 받은 메샬 바르샴(카타르)에게 돌아갔다. 일본에서는 단 한 명도 베스트 11에 뽑히지 않았고 안
한국 17세 이하(U17) 축구 대표팀이 아시아축구연맹(AFC) 아시안컵에서 8강 진출을 확정했다. 변성환 감독이 이끄는 한국은 19일 밤 태국 빠툼타니 스타디움에서 열린 2023 AFC U17 아시안컵 조별리그 B조 2차전에서 아프가니스탄을 4-0으로 완파했다. 지난 16일 열린 카타르와 1차전에서 6-1로 대승을 거둔 한국은 2경기에서 10골을 몰아치며 2연승으로 승점 6점을 쌓아 조 선두로 나섰다. 한국은 이어진 카타르와 이란의 경기에서 두 팀이 0-0 무승부를 기록해 남은 이란 전 경기 결과와 상관없이 조 2위를 확보해 일찌감치 8강행 티켓을 손에 넣었다. 한국은 1승 1무(승점 4점)로 조 2위에 자리한 이란 전에서 비기기만 해도 조 1위로 8강에 진출하게 된다. 16개 국이 출전한 이번 대회는 4개 조로 나뉘어 조별리그를 치른 뒤 각 조 상위 2개국이 8강에 진출, 결승까지 단판 승부를 펼쳐 우승팀을 가린다. 또 이번 대회 상위 4개국은 오는 11월로 예정된 국제축구연맹(FIFA) U-17 월드컵 출전권이 주어진다. 한국은 1985년 창설된 이 대회에서 1986년과 2002년, 두차례 우승했고, 이번 대회에서 21년 만의 정상 탈환을 노린다. 한국
대한민국 20세 이하(U-20) 축구대표팀이 2023 아시아축구연맹(AFC) 20세 이하 아시안컵 예선에서 말레이시아, 몰골, 스리랑카와 만난다. 대한축구협회는 지난 24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AFC하우스에서 열린 2023 AFC U-20 아시안컵 예선 조 추첨식에서 김은중 감독이 이끄는 남자 U-20 대표팀(현 U-19)이 말레이시아, 몽골, 스리랑카와 함께 E조에 편성됐다고 25일 밝혔다. E조 예선은 오는 9월에 몽골에서 진행된다. 2023 AFC U-20 아시안컵 본선은 내년 우즈베키스탄에서 열릴 예정이다. 10개 조에서 각 조 1위가 본선에 오르고 2위 중 상위 5개 팀이 본선에 진출한다. 예선을 통과한 15개 팀과 개최국 우즈베키스탄까지 총 16개 팀이 본선에서 겨룬다. 한편 이날 함께 진행된 2023 AFC U-17 아시안컵 예선 조 추첨식에서는 변성환 감독이 이끄는 남자 U-17(현 U-16) 대표팀이 우즈베키스탄, 브루나이, 스리랑카와 함께 J조에 속했다. 2023 AFC U-17 아시안컵 J조 예선은 오는 10월 우즈베키스탄에서 진행되며, 본선은 내년 바레인에서 열린다. [ 경기신문 = 정민수 기자 ]
프로축구 K리그1 수원 삼성의 영건 정상빈(20)이 국제축구역사통계연맹(IFFHS)이 선정한 '2021년 아시아축구연맹(AFC) 올해의 유스팀'에 뽑혔다. IFFHS는 2021년 최고의 기량을 선보인 20세 이하(U-20) 선수들을 추려 대륙별로 선정 발표한 '올해의 유스팀' 중 AFC 남자 유스팀에 정상빈과 이강인(21·마요르카)이 포함됐다고 5일 밝혔다. AFC 남자 올해의 유스팀은 4-3-3 포메이션으로 구성됐으며 정상빈은 우측 공격수로, 이강인은 미드필더로 각각 이름을 올렸다. 수원 유스팀인 매탄고 출신인 정상빈은 2021시즌 K리그1에서 28경기를 소화하며 6골, 2도움을 기록, 데뷔 첫 시즌에 주전으로 도약하는 등 존재감을 확실히 드러냈다. 지난 해 6월에는 2022 국제축구연맹(FIFA) 카타르 월드컵 2차 예선 스리랑카전(5-0 한국 승)에서 A대표팀 데뷔전을 치렀고, 데뷔골까지 기록했다. 또 스페인 프리메라리가 발렌시아에서 뛰다가 지난 해 8월 마요르카로 이적한 이강인은 2021~2022시즌 공식전 17경기에서 1골, 3도움을 기록 중이다. 지난해 한국 남자 23세 이하(U-23) 대표팀과 A대표팀에서 활약했던 이강인은 2020 도쿄 올림픽
수원 삼성이 아시아축구연맹(AFC) 챔피언스리그(ACL)에서 또한번의 기적을 일으키며 극적으로 8강 진출에 성공했다. 수원은 7일 카타르 도하 칼리파 인터내셔널 스타디움에서 열린 2020 ACL 16강전 요코하마 F.마리노스와 경기에서 전반 20분 에릭 리마에게 선제골을 내줬지만 후반들어 김태환, 김민우, 한석종의 연속골이 터지며 3-2로 짜릿한 역전승을 거뒀다. 이로써 수원은 지난 2018년 ACL 4강 진출 이후 2년 만에 다시한번 4강에 도전하게 됐다. 수원은 김민우와 임상협을 투톱으로 내세우고 이기제, 고승범, 한석종, 박상혁, 김태환으로 미드필드 라인을 구성했으며 3백에는 양상민, 박대원, 장호익을 세우는 3-5-2 전술로 나왔다. 골문은 양형모가 지켰다. 수원은 전반 시작과 함께 에릭과 테루히토 나카가와에게 연속 슈팅을 허용하는 등 요코하마의 거센 공세에 시달렸다. 최우 측면의 빠른 스피드를 이용한 요코하마의 공세에 계속 밀리던 수원은 전반 20분 선제골을 내주며 끌려갔다. 요코하마의 역습 상황에서 수원의 오른쪽 진영을 돌파한 나카가와가 골문 앞쪽으로 낮게 깔아준 크로스를 에릭이 달려들며 무릎으로 밀어넣은 것이 그대로 수원의 골문을 가른 것. 선제
프로축구 K리그1 수원 삼성이 아시아축구연맹(AFC) 챔피언스리그(ACL) 16강 진출의 최대 고비에서 광저우 에버그란데(중국)와 다시 만난다. 수원은 1일 오후 7시 카타르 도하 칼리파 인터내셔널 스타디움에서 열리는 2020 ACL G조 조별리그 3차전에서 광저우와 맞대결을 펼친다. 수원은 30일 현재 1무 1패,, 승점 1점으로 빗셀 고베(일본·2승 1패·승점 6점)와 광저우(1승 1무 1패·승점 4점)에 이어 조 최하위에 머물러 있다. 코로나19로 리그가 중단되기 전인 지난 2월과 3월 고베와 조호르 다룰 탁짐(말레이시아)에 연패를 당하며 16강 진출에 적신호가 켜졌던 수원은 11월부터 카타르 도하에서 진행된 잔여경기에 조호르가 불참을 선언해 1패를 지우면서 16강 진출의 희망을 이어가고 있다. 조별리그 4경기 중 2경기를 치른 수원은 남은 광저우와 고베의 경기에서 승점 4점 이상을 올려야만 자력으로 16강 진출에 성공할 수 있다. 이번 카타르행 비행기에 타가트, 헨리, 안토니스 등 외국인 선수들이 부상 등의 이유로 출전하지 않은데다 팀의 주장인 염기훈도 대한축구협회 A급 지도자 강습회 참석을 위해 출전하지 않으면서 전력 누수가 생긴 수원으로서는 광저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중단된 2020 아시아축구연맹(AFC) 챔피언스리그(ACL) 동아시아지역 경기가 10월에 재개된다. AFC는 10일 홈페이지를 통해 “AFC 회원국, 각국 클럽 등과 일련의 회의를 통해 2020년 AFC 경기 일정을 새롭게 결정했다"라고 밝혔다. 이번 발표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2020 AFC 챔피언스리그 일정이다. 올해 AFC 챔피언스리그 일정은 코로나19 때문에 조별리그 2라운드도 제대로 치르지 못하고 중단됐다. AFC는 서아시아·중앙아시아 지역과 동아시아 지역의 조별리그 재개 일정에 차이를 줬다. 조별리그 A조~D조까지 서아시아·중앙아시아 지역 클럽의 경기는 9~10월, 동아시아지역 클럽들의 경기는 10~11월에 조별리그~준결승까지 마치도록 했다. 결승전은 현지시간으로 12월 5일 서아시아지역에서 치러진다. 16강전부터 결승전까지 모든 경기는 단판 승부로 열린다. 더불어 경기 장소도 상대적으로 코로나19의 영향을 덜 받는 지역에서 모여 치르기로 했다. 경기 장소는 미정이지만 한국도 검토 대상이다. E조의 FC서울은 10월 19일·28일 베이징 궈안(중국), 10월 22일·25일 치앙라이 유나이티드(태국),
2027년 아시아축구연맹(AFC) 아시안컵 유치 경쟁에 다섯 개 나라가 뛰어들었다. AFC는 2일 “인도, 이란,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우즈베키스탄이 2027 아시안컵 유치에 관심을 드러냈다”고 밝혔다. AFC는 6월 30일까지 대회 유치의향서를 받았다. 애초 유치의향서 제출 기한은 3월 31일이었으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석 달 연장했다. 4년마다 열리는 아시안컵은 2011년 대회 이후 동·서 아시아에서 번갈아 가며 개최되고 있다. 2019년 대회는 아랍에미리트(UAE)에서 열렸고, 2023년에는 중국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2027년 대회는 19회째다. 2023년 대회의 경우 지난해 장소가 결정됐으나 AFC는 개최지에 더 많은 준비 시간을 주고자 2027년 대회 유치전을 일찌감치 시작하기로 했다. AFC는 의향서를 제출한 5개국에 유치 신청에 필요한 서류를 보내 개최국 선정 작업을 진행한다. 개최국은 2021년에 발표할 예정이다. 이번에 유치 의향서를 제출한 5개국 중 이란은 1968년과 1976년, 카타르는 1988년과 2011년 대회를 개최했다. 인도, 사우디아라비아, 우즈베키스탄에서는 아직 아시안컵이 열린 적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