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여권의 잠재적 대선주자로 거론되고 있는 정운찬 전 서울대 총장이 최근 출자총액제한제 완화 등 각종 현안에 대해 자기 목소리를 내고 있어 대권행보를 위한 사전정지 작업에 나선 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
정 전 총장은 그동안 공개 석상에서 자신의 대선출마와 연계될 수 있는 민감한 정치, 경제 현안에 대해서는 발언을 삼가왔으나 최근 들어서는 경제 식견을 토대로 비판적인 주장을 내놓는 등 ‘볼륨’을 높이고 있는 것.
정 전 총장은 이날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범여권의 러브콜에 대해서는 “추후에 말하겠다”며 답변을 피했으나, 출총제 완화와 부동산 정책 등 경제 이슈에는 적극적으로 정부와 정치권을 비판하고 나섰다.
그는 출총제 완화를 둘러싼 정치권 내 논란에 대해 “정치권이 출총제를 비롯한 중요 경제현안에 대해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는 생산적 결과를 내놓지 못하고 있는 현 상황을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정책현안에 대해서는 각자 생각이 다를 수 있겠지만, 이견이 정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대로 노출되는 것은 국민을 불안하게 만들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정부가 수요억제 위주의 부동산 정책을 내놓은 데 대해서도 “참여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실패했다고 일반적으로 평가되는 것은 정부정책의 수립과 집행이 일관되지 못했기 때문”이라며 “유념해야 할 것은 ‘뭔가 하고 있다’는 전시효과를 겨냥한 ‘정책 한탕주의’를 경계해야 한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그는 노무현 대통령이 ‘정치를 잘 아는 사람이 차기 대통령이 됐으면 좋겠다’고 말한 데 대해 “포괄적 의미의 정치라면 잘 모르겠는 데 정치와 경제를 이분법적으로 나누는 것은 맞지 않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액면 그대로 경제보다 정치가 중요하다는 의미라면, IMF 경제위기 이후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서민의 고충을 외면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노 대통령의 발언이 비(非) 정치인 출신인 정 전 총장을 겨냥했다는 일부의 시각도 있는 만큼 정 전 총장의 이 같은 언급은 반박의 성격으로 해석될 소지도 있어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