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의 정무특보인 이해찬 전 총리가 오는 7∼10일 평양을 방문하기로 한 것을 놓고 정치권 안팎에서 남북정상회담 추진설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청와대는 공식적으로 이 전 총리의 방북이 남북정상회담을 위한 사전 준비와는 무관하며 당 차원에서 추진된 것이라는 입장을 밝히면서 확대해석을 경계하고 있다.
그러나 한나라당 등은 이번 방북을 예사롭지 않은 시선으로 보고 있다.
이 전 총리가 노 대통령의 의중을 북측에 무게있게 전달할 수 있는 위치에 있고 , 지난 2000년 6.15남북정상회담 당시 김대중 대통령을 수행해 평양을 다녀온 경험도 있는데다 금년 중 남북정상회담 개최설이 범여권 안팎에서 꾸준히 흘러나왔다는 점 때문이다.
또 2.13 북핵 6자회담 타결과 지난달 27일부터 나흘간 평양에서 열린 남북장관급회담, 뉴욕에서 이날 개막된 북미관계정상화를 위한 첫 회담 등 한반도 정세가 급격한 해빙무드로 전환하고 있다는 점도 남북정상회담 추진이 가시화되는 게 아니냐는 관측에 무게를 싣고 있다.
이 전 총리의 방북이 상당한 기간을 두고 준비돼왔다는 흔적은 여기저기서 발견되고 있다.
우리당은 지난달 14일 전당대회를 통해 새 지도부를 구성한 직후인 지난달 16일 당직 개편을 통해 동북아평화위원회를 신설해 이 전 총리를 위원장으로 임명했고, 그로부터 불과 18일만에 이 전 총리의 방북사실이 공개됐다.
우리당의 새 지도부가 새삼스럽게 남북 교류협력에 박차를 가하기 위해 기구를 신설했다기보다는 이전부터 추진해오던 일을 공식화하기 위해 기구를 만들었다는 해석이 가능한 대목이다.
이와 관련, 여권의 한 핵심 소식통은 “이 전 총리의 방북은 이미 12월에 결정됐다”면서 “이 전 총리 본인이 관심을 갖고 대통령에게 건의해서 재가를 받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한나라당은 아예 현 정부의 남북정상회담 추진을 기정사실화하며 대선정국에서의 ‘북풍’ 경계령을 내리고 있다.
남북정상회담이 성사될 경우 정국의 분위기가 일거에 변화하는 것은 물론 한나라당 절대 우위의 대선 판도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경제를 중심 화두로 전개되고 있는 대선판도가 남북평화와 안보 문제로 치환되면서 진보·보수의 대립각이 다시금 가팔라지게 된다면 흩어져있는 범여권이 이른바 평화개혁진보의 우산 아래 재결집할 수 있다는 추론에서다.
한나라당의 ‘정보통’인 정형근 의원은 이날 KBS라디오에 출연, “이 전 총리는 노 대통령이 신임하는 특보이고 북측에서도 신뢰를 받고 있기 때문에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만나 정상회담 관련 논의를 할 가능성이 농후하다”고 말했다.
통합신당모임과 민주당 등은 정상회담 합의가 조속히 이뤄져야 한다며 더욱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우리당 민병두 의원은 CBS라디오에 출연해 “자세한 것은 모르지만 정전체제가 극복되는 날이 빨리 오기를 바라는 게 국민의 마음이고, 그렇다면 정부가 할 역할을 다해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