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 아래로 가라앉는 듯하던 4.25 재보선 연합공천론이 다시 고개를 드는 조짐이다.
김대중 전 대통령 차남 홍업씨가 조만간 전남 무안·신안에서 무소속 후보로 출마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것이 그 계기다.
열린우리당, 통합신당모임, 민주당, 국민중심당 등 반(反) 한나라당 전선의 제정파가 재·보선이 치러지는 세곳 모두에서 무소속 후보를 내놓고 선거연합을 꾀하는 시나리오가 대두되고 있다.
장영달 원내대표는 12일 오전 KBS 라디오 ‘안녕하십니까, 이몽룡입니다’에 출연, “4.25 재·보선에서 합의에 따라 후보를 무소속으로 내고 모든 정파가 지원하는 방향이 좋을 것 같다”고 제안했다.
오영식 전략기획위원장도 이날 “우리당만의 선거로만 보지 않고 대통합에 도움이 되는 방향에서 선거연합 등 다각적인 방향을 검토해 보겠다”고 강조했다.
선거연합의 파트너인 민주당과 탈당그룹인 통합신당모임도 선거연합을 통한 ‘전략적 공조’를 꾀하자는 데에는 원칙적 공감을 표하고 있다.
범여권의 이런 기류에는 “이대로 주저앉을 수 없다”는 위기감이 현단계에서 범여권 전체의 결속력을 강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관측이다.
또 범여권 통합의 가능성을 미리 시험해보는 가늠자라는 명분도 자리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범여권의 선거연합이 가능할 지 여부는 미지수다.
무엇보다도 정파들간의 ‘온도차’가 예상외로 크기 때문이다.
특히 김홍업씨의 전남 무안·신안 무소속 출마문제가 뜨거운 감자로 부상하고 있다.
우리당은 어떤 식으로든 선거연합이라는 돌파구를 마련한다는 차원에서 김씨를 범여권 무소속 후보로 지지하자는데 적극적 기류를 보이고 있지만 민주당과 통합신당모임의 기류는 복잡미묘해 보인다.
특히 민주당이 매우 조심스러워 하는 분위기가 읽혀진다.
민주당의 한 핵심당직자는 “솔직히 딜레마인 형국”이라며 “우선 민주당이 영입해 전략공천하는 방안을 검토하되, 영입이 안되고 김씨가 무소속 출마를 고집한다면 무공천하거나 당이 독자후보를 낼지를 고민해야 할 상황”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