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4 (월)

  • 맑음동두천 9.7℃
  • 구름많음강릉 12.4℃
  • 박무서울 11.3℃
  • 박무대전 11.8℃
  • 구름조금대구 10.4℃
  • 구름많음울산 12.4℃
  • 박무광주 12.3℃
  • 구름많음부산 14.2℃
  • 맑음고창 10.7℃
  • 구름많음제주 15.6℃
  • 맑음강화 7.3℃
  • 맑음보은 6.0℃
  • 맑음금산 10.3℃
  • 구름조금강진군 11.0℃
  • 구름많음경주시 8.3℃
  • 구름많음거제 14.6℃
기상청 제공

‘위기의 우리당’-‘2차 추가탈당설’ 모락모락

열린우리당이 15일로 2.14 전당대회를 치른 지 한달이 됐지만 “도대체 달라진 게 뭐냐”는 회의론이 퍼지면서 한동안 잠잠했던 추가 탈당설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3.15 거사설’이 나돈 것은 오래전부터다. 전대 직후부터 탈당그룹을 중심으로 “한달 후면 우르르 쏟아져 나올 것”이라는 설이 심심찮게 흘러나왔다.

당장 초선의원 6명이 이날 기자회견을 갖고 당의 해체를 요구하고 나선 것이 이런 기류와 무관치 않아 보인다. 물론 이날 회견은 통합신당의 적극적 추진을 ‘독려’하는 성격이 강하고 서명 규모가 당초 예상(13명)을 크게 밑돌아 ‘용두사미’라는 지적이 있지만 안팎의 흐름으로는 추가 탈당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 나온다.

특히 회견을 주도한 문학진 정봉주 의원 등은 그간 통합신당모임과 민생정치모임 등 탈당그룹과 상당한 ‘교감’을 해온 것으로 알려져 일각에서는 이들이 우리당과 탈당그룹내 초선의원들을 묶어 통합신당의 흐름에 속도를 내도록 하는 ‘초선연대’를 구상 중이라는 얘기도 나돈다. 하지만 겉으로 드러난 서명파보다도 ‘침묵하는 다수’의 움직임이 예사롭지 않다는 분석도 나온다.

당초 1차 탈당에 합류하지 않았던 잠재적 탈당그룹이 오히려 조용히 상황을 지켜보다가 ‘행동’에 나설 수도 있다는 것이다. 한 의원은 “당초 30∼40명이 서명을 했다가 당 지도부의 만류로 철회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여기에는 당내 주요 지분을 점하고 있는 정동영 김근태 전의장의 거취가 상당한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양측 모두 탈당설을 공식 부인하지만 결국 탈당으로 대선행보의 돌파구를 마련할 가능성이 높고, 이는 추가 탈당의 결정적 동력으로 작용할 것이란 분석이다. 이와 관련, 정동영 전의장은 이날 “지난 한달의 경과가 실망스럽다”면서 “통합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행동하고 선택할 것”이라고 말했다.

탈당설을 완강히 부인하던 종전의 태도와는 확연히 달라진 분위기다. 김근태 전의장측도 “당 지도부의 신당추진 작업을 봐가며 여러가지 가능성을 검토해볼 것”이라며 탈당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당 주변에서는 당 지도부가 추진중인 신당추진 작업이 성과를 내지 못할 경우 3월말 또는 4월초에 또다시 분당급의 대규모 집단탈당 사태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