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2월19일 실시되는 17대 대통령직을 놓고 대회전을 벌일 대선 후보들의 ‘대진표’가 역대 대선 때에 비해 상당히 늦어질 것으로 보인다.
한나라당은 최근 선거 120일 전인 8월21일 20만명 규모로 선거인단을 꾸려 경선을 치르기로 사실상 확정했고 열린우리당과 통합신당모임, 민주당 등 범여권은 5월까지 통합신당을 창당해 8월말이나 9월 중순쯤 예상된다.
범여권은 유력한 대선주자가 떠오르지 않고 있고 통합신당 움직임도 일고 있는 만큼 현재로서는 후보 확정시기가 불투명하지만, 가장 중요한 선거운동 무대인 대선후보 초청 TV토론이 선거 90일 전인 9월20일부터 시작되는 만큼 어떻든 그 전까지 후보를 선출할 것이란 관측이 많다.
이에 따라 각 정당의 대선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 레이스 역시 자연스럽게 늦춰지게 됐다.
우선 한나라당은 5월말이나 6월초 경선후보 등록을 받아 2개월 이상의 경선운동을 거치는 방안을 검토중이고 범여권은 통합신당 창당 성공을 전제로 7, 8월 두 달간 오픈 프라이머리식 완전국민경선을 연다는 방침이다.
이처럼 올해 대선 대진표 확정이 지연되는 데는 무엇보다 이전 선거의 ‘학습효과’가 크게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2002년 16대 대선과 지난해 5.31 지방선거 당시 여론 지지율 1위 후보가 막판 돌출변수에 의해 정작 선거에서는 패배한 전례가 있어 후보를 늦게 확정할수록 유리하다는 인식이 퍼졌다는 것.
16대 대선 당시 노무현 후보는 김대중 전 대통령의 세 아들을 둘러싼 의혹이 터져나오고 말 실수 등이 겹치면서 한 때 60%까지 상승했던 지지율이 15% 안팎으로 추락했으나 대선 한달전인 11월25일 정몽준 의원과의 극적인 후보단일화 등을 통해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에 역전승했다.
여기에 지난해 북핵사태로 벼랑 끝으로 치닫던 한반도 정세가 올들어 2.13 6자회담 합의로 인해 급속히 해빙무드로 전환되면서 북미수교와 남북정상회담 여부가 대선의 중대변수로 부상하고 있는 것도 각 당으로 하여금 후보 조기선출을 주저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해석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