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무역협정) 타결과 관련, 대선주자들은 2일 자신들의 정치적 소신과 협상속도 및 개방내용에 대한 견해에 따라 찬반으로 입장이 크게 갈렸다.
한나라당 대선주자 ‘빅2’는 그동안 한미관계의 중요성과 세계 각국과의 자유 무역을 통한 경제력 신장의 필요성을 강조해온 연장선상에서 한 목소리로 협상 타결을 반겼다.
박근혜 전 대표는 “국익차원에서 대통령의 결단을 높이 평가한다”고 밝혔다. 박 전 대표는 이어 “정부는 앞으로 농업과 축산업 등 피해 분야에 대해 모든 관심과 역량을 집중해야 하며, 정치권도 함께 적극적으로 이에 동참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이정현 캠프 공보특보가 전했다.
이명박 전 서울시장도 오후 마포구에서 열린 세미나 참석 후 기자들과 만나 “한미 FTA 협상 결과가 개성공단 원산지 표시 문제, 섬유문제 등에서 미흡한 점이 없지 않지만 국가 미래를 생각한다면 개방은 불가피하다고 생각한다”며 “정부의 노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고 말했다.
이 전 시장은 “피해 분야는 지원대책과 경쟁력 확보대책이 마련돼야 하며 한미 FTA가 국가 발전에 긍정적 역할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정부와 기업과 국민이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무소속 상태인 손학규 전 경기지사는 성명을 내고 “한미 FTA 협상 타결을 진심으로 환영한다. 이를 계기로 우리나라가 선진국으로 진입하고 동북아에서 중심적 역할을 하게 되기를 기대한다”면서 “추후협상으로 넘어간 개성공단 원산지 문제만큼은 우리의 요구를 반드시 관철해야만 한다. 한미 FTA로 남북경협 활성화의 물꼬를 틀 수만 있다면 한반도 평화경영의 새 장이 열리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동안 FTA 협상에 대해 문제점을 지적해왔던 범여권 대선주자들은 대체로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정동영 전 의장은 “비준동의 문제는 국회가 청문회를 열어 국익과 민생의 관점에서 손익을 하나하나 면밀히 따져보고 결정해야 한다”며 “아쉽지만 개성공단 제품의 원산지 인정을 위한 토대가 마련됐다는 점은 진일보한 것으로 평가한다”고 말했다.
FTA 협상 반대 단식 농성을 일주일 째 진행해 온 김근태 전 우리당 의장은 이날 단식을 풀며 기자회견을 갖고 “미국의 ‘시한 연장 놀음’에 휘둘려 국가의 위신을 땅에 떨어뜨리고 미국에 대한 일방적 퍼주기로 협상이 끝난 데 대해 분노가 치민다”며 “개방은 옳은 길이지만 ‘묻지마 개방’은 틀린 길이며 국민은 실험실의 쥐가 아니다”라고 협상 타결에 강력 반발했다.
8일째 단식 농성중인 민생정치모임 소속 천정배 의원도 “참여정부가 4.2 조공협상으로 경제주권을 넘겨주고 민생을 포기한 것은 대통령을 뽑아준 국민에 대한 배신”이라며 맹비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