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선구도 뚜렷… 李 “굳히기” 朴 “아직은…” 이견
대통합신당 추진 작업 지지부진 대부분 유보적 입장
대권을 향해 뛰고 있는 정치권의 예비주자들이 오는 23일부터 시작되는 중앙선관위의 예비후보 등록에 참여할 지를 놓고 고심하고 있다.
경쟁구도가 뚜렷한 한나라당 대선주자들은 비교적 예비후보 등록에 적극적인 편이지만, 아직 경선판 자체가 모호한 범여권 주자들은 주저하고 있는 형국이다.
한나라당 대선주자들 중에서는 각종 여론조사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는 이명박 전 서울시장이 예비후보 등록에 가장 열의를 보이고 있는 반면, 박근혜 전 대표는 다소 부정적이어서 입장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 전 시장측은 “현재의 여세를 몰아 대세론을 굳힌다는 의미에서 빨리 등록할 것”이라고 말했지만 박 전 대표측은 “아직 결정나지 않았다”면서 “당내 경선 때 후보 등록을 받을텐데 굳이 후보등록을 2번이나 할 필요가 있겠느냐”며 회의적인 입장을 드러냈다.
원희룡 의원은 “상황을 지켜보면서 결정하겠다”는 입장이고, 고진화 의원측은 “23일 등록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범여권에서는 열린우리당 정동영 김근태 전 의장, 한명숙 전 총리, 김혁규 의원, 민생정치모임 천정배 의원 중 누구도 선뜻 후보등록을 하겠다는 이들이 없다.
정 전 의장측은 “아직 결론이 안났다”, 김 전 의장측은 “그날 등록할지, 늦출지 상황을 보고 있다”, 한 전 총리측은 “아직 정해진 바가 없다”며 유보적 입장이다.
김 의원측은 “대통합신당의 가닥이 잡힌 이후 생각할 문제다”, 천 의원측은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반대활동 중이어서 힘들다”며 굳이 23일에 맞춰 예비후보로 등록할 의사가 없음을 피력했다.
손학규 전 경기지사측도 “23일 이후에라도 언제든지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냐. 검토해보겠지만 지금은 그런 걸 신경쓸 때가 아니다”고 말했다.
범여권 주자들이 23일 예비후보 등록을 머뭇거리는 이유는 대통합신당 추진작업이 지지부진한 당내 상황과 무관치 않다.
범여권을 포괄하는 새 진영짜기가 급선무인 상태에서 대선주자임을 공식 선언하는 성격인 예비후보로 등록할 경우 자칫 부정적 여론에 직면할 수 있다는 것.
또한 예비후보 등록이 시작되는 23일은 4.25 재보선을 이틀 앞둔 시점이어서 재보선에 집중할 시기에 개인행보에만 열을 올린다는 식의 따가운 시선을 받을 수도 있다는 점도 고려사항이다.
예비후보 등록의 실익이 적다는 얘기도 나온다.
예비후보 등록을 하게 되면 ▲선거사무소(1개소) 설치 ▲홍보 간판·현수막(각 1개) 게시 ▲10인 이내 유급 선거사무원 선임 ▲2만장 이내 선거인쇄물 발송 ▲명함 배부(후보자와 배우자만 가능) ▲유권자 대상 이메일 발송 등의 행위를 할 수 있다.
한 대선주자 측근은 “후원회 설치라도 허용해 준다면 몰라도 사실상 대선행보를 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 정도 선거운동 허용이 얼마나 득이 될지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임춘원·김재경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