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4 (월)

  • 맑음동두천 10.0℃
  • 맑음강릉 11.6℃
  • 맑음서울 11.6℃
  • 맑음대전 12.4℃
  • 구름많음대구 11.5℃
  • 구름많음울산 12.9℃
  • 맑음광주 13.1℃
  • 구름조금부산 14.6℃
  • 맑음고창 11.7℃
  • 구름많음제주 15.9℃
  • 맑음강화 8.8℃
  • 맑음보은 8.2℃
  • 맑음금산 12.2℃
  • 구름조금강진군 13.2℃
  • 구름많음경주시 9.5℃
  • 구름많음거제 15.1℃
기상청 제공

이명박 ‘강재섭 체제’ 수용… 내분 봉합?… 불씨는 여전

이 최고의원 사퇴 만류·추가 쇄신안 요구
朴“수용불가”… 네거티브 문제 등 신경전

4.25 재보선 참패로 촉발된 한나라당 내분 사태가 7일 만에 조기봉합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이명박 전 서울시장측이 2일 이번 사태의 핵심쟁점이었던 ‘강재섭 체제’ 및 당쇄신안을 전격 수용키로 하면서 당이 일촉즉발의 분열위기에서 벗어나 빠르게 안정을 되찾아갈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전 시장이 ‘친박’ 성향의 강 대표 체제를 인정키로 한 것은 모든 문제가 해결된 ‘종전’이 아니라 갈등소재가 여전히 잠복해 있는 ‘휴전’의 성격이 짙다는 점에서 두 주자 간 갈등은 언제든지 재연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다.

경선 룰과 후보검증, 당직인선 등 양측이 언제든지 충돌할 수 있는 소재가 곳곳에 매설돼 있기 때문이다.

이 전 시장측은 실제 강 대표 체제를 수용하면서 경선 룰을 포함한 추가 쇄신안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최고위원이 사퇴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이 전 시장이 만류하는 모양새를 취한 것은 향후 협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려는 고도의 전략적 행보였다는 말이 박 전 대표측에서 나오는 것도 이 같은 관측을 뒷받침한다. 당장 양 진영은 사태봉합 첫날부터 최대 현안인 경선 룰 문제를 놓고 팽팽한 신경전을 벌였다.

이 전 시장 최측근인 정두언 의원은 MBC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에 출연, “많은 후보들이 경선에 들어올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오픈 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도입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그러나 박 전 대표측 김재원 의원은 같은 방송에서 “경선 룰 관련 50여 개 쟁점에 대해 한 두 개 빼고 거의 합의가 된 상황인데 이것을 다시 되돌리자고 하면 어마어마한 분란이 생길게 뻔하다”면서 “그런 말을 하는 게 이해되지 않는다”며 ‘수용불가’ 입장을 거듭 밝혔다.

두 사람은 네거티브 문제를 놓고도 충돌했다. 정 의원은 “검증을 빙자해 네거티브를 하니까 국민이 혼을 내 준 것이다. 같은 당 후보의 공약에 ‘대국민 사기극’이라고 하니까 이런 상황까지 간 것”이라고 꼬집은 반면, 김 의원은 “대국민 사기극 발언을 비판하는데 그건 표현상의 문제다. 그쪽(이 전 시장측) 캠프에서 제기하는 문제는 인식공격 수준을 넘어 차마 입에 옮기기 어려울 정도”라고 받아쳤다.

양측은 향후 당직 인선과 사고지구당 정비, 인재영입위원장 영입, 경선관리위 구성, 후보검증위 구성 문제 등을 놓고도 정면충돌할 가능성이 높다.

안건 하나하나가 경선 판도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이 전 시장측은 현재 평소 친박 성향으로 알려진 강 대표의 중립성에 의구심을 떨쳐버리지 못하고 있다.

이번에 ‘당을 흔든다’는 비난을 감수하고서라도 강 대표 체제 교체를 생각했던 것도 이런 연유에서다. 이 전 시장측 관계자는 “강 대표가 모든 문제에 대해 엄정 중립입장을 취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언제든지 당이 다시 시끄러워 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에 대해 박 전 대표측은 “강 대표에게 맡겨야 한다. 잘 알아서 할 것”이라고만 말해 미묘한 시각차를 드러냈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