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4 (월)

  • 맑음동두천 10.0℃
  • 맑음강릉 11.6℃
  • 맑음서울 11.6℃
  • 맑음대전 12.4℃
  • 구름많음대구 11.5℃
  • 구름많음울산 12.9℃
  • 맑음광주 13.1℃
  • 구름조금부산 14.6℃
  • 맑음고창 11.7℃
  • 구름많음제주 15.9℃
  • 맑음강화 8.8℃
  • 맑음보은 8.2℃
  • 맑음금산 12.2℃
  • 구름조금강진군 13.2℃
  • 구름많음경주시 9.5℃
  • 구름많음거제 15.1℃
기상청 제공

범여권 ‘후보중심 통합론’ 또 고개…경선 시한 ‘발등에 불’

제3지대 통합논의 지지부진 돌파구 마련 시급

범여권 내에서 한동안 잠복해있던 후보자 중심 통합론이 또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열린우리당과 통합신당, 민주당, 시민사회세력을 묶는 ‘제3지대 세력간 통합론’이 지지부진한 상황을 면치 못하고 있는 만큼 후보들을 중심으로 하루라도 빨리 통합의 돌파구를 마련하자는 주장이다.

무엇보다 이같은 통합론은 대선일정을 역산할 경우, 범여권의 오픈 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를 성사시키기 위한 준비시한이 8월말이라는 시간적 제약을 감안한 주장이다.

실제로 선거법상 경선관리를 중앙선관위에 위탁할 경우 신청 마감시한은 8월말이 되고 이후에는 물리적으로 위탁경선이 불가능하다는 게 선관위의 설명이다.

이는 선거법상 경선 및 경선위탁 규정을 대선 선거운동 개시일(11월28일)부터 역산한 결과로써, 선거법상 선거운동 개시일 30일 전인 10월28일까지 당내 경선을 마무리해야 한다. 경선기간을 30일로 잡을 경우 9월29일께부터는 경선을 시작해야 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또 선관위에 경선을 위탁할 경우 경선 개시일 30일 전에 신청해야 한다는 규정 때문에 9월29일 경선을 시작한다면 8월30일에는 경선신청을 해야 한다.

문제는 8월말 선관위에 위탁경선을 신청하려면 범여권 내부적으로 대선주자간, 세력간 오픈 프라이머리 실시에 대한 합의를 도출해야 하는데 이런 과정에 적잖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이다.

이날 대선주자들에 대한 공개편지를 통해 연석회의 제안을 내놓은 김근태 전 의장은 “100만 국민경선단 명부작성, 당헌·당규 개정, 임시정당 창당 등 경선에 필요한 실무적 작업을 준비하려면 7월에는 임시정당을 창당하고 늦어도 6월말까지는 국민경선에 합의해야 한다”고 절대시간의 부족을 호소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당 내에서는 통합의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 통합파 의원들을 중심으로 한 지난 1월말~2월초 1차 집단탈당에 이어 5월말~6월초 2차 탈당설, 대통합신당 추진이라는 우리당의 전당대회 결의 마감시한인 6월14일 이후 3차 탈당설이 거론되고 있다.

당 지도부와 중도파가 추진중인 ‘제3지대 세력간 통합작업’이 계속 지지부진할 경우 다음달초까지 재선그룹이나 정대철 상임고문을 중심으로 한 20~30여명 규모의 탈당이 진행되고, 6월14일 이후 김근태 정동영 전 의장그룹이 후속탈당을 도모한다는 것이다.



김근태 “내달까지 경선 합의해야” 연석회의 제안

열린우리당 김근태 전 의장은 23일 “대선 후보자 연석회의를 통해 국민경선을 합의하는 것이 대통합에 기여하는 길”이라며 범여주자 6인의 조속한 연석회의 구성과 국민경선 합의 도출을 제안했다.

김 전 의장은 이날 정동영 전 의장, 손학규 전 경기지사, 한명숙 전 총리, 천정배 의원, 김혁규 전 경남지사에게 보낸 공개편지에서 이같이 밝혔다.

김 전 의장은 “절대시간이 부족하다. 우리 모두 벌거벗는 각오로 국민 앞에 서는 결단과 용기가 필요하다”며 “대선과 총선을 준비하는 과정과 대통합을 추진하는 과정을 병행할 수 있고, 모든 세력이 대선을 치르고 총선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통합신당을 창당해 나갈 수 있다”고 말했다.

김 전 의장의 제안은 범여권의 제 정당·정파간 ‘세력간 통합’이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후보자 중심의 연석회의를 조속히 꾸려내야만 대선 일정상 시간적 제약을 극복하고 범여권의 후보선출을 위한 국민경선도 차질없이 치러낼 수 있다는 절박한 인식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