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4 (월)

  • 맑음동두천 10.0℃
  • 맑음강릉 11.6℃
  • 맑음서울 11.6℃
  • 맑음대전 12.4℃
  • 구름많음대구 11.5℃
  • 구름많음울산 12.9℃
  • 맑음광주 13.1℃
  • 구름조금부산 14.6℃
  • 맑음고창 11.7℃
  • 구름많음제주 15.9℃
  • 맑음강화 8.8℃
  • 맑음보은 8.2℃
  • 맑음금산 12.2℃
  • 구름조금강진군 13.2℃
  • 구름많음경주시 9.5℃
  • 구름많음거제 15.1℃
기상청 제공

범여통합 양립체제로 가나

우리·민주당 이겸심화 내달14일 분수령

범여권 안팎에서 대통합에 대한 압박강도가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 실제 범여 정치세력들의 움직임은 열린우리당을 한 축으로 하고 중도개혁통합신당과 민주당, 우리당 추가탈당파의 연대세력을 또 다른 축으로 하는 양립 체제가 고착화돼 가는 양상이다.

우리당은 범여권 정치세력과 외부의 시민사회세력이 큰 틀에서 결합하는 대통합을 현 시점에서 달성해야 한다는 점을 지상과제로 제시하고 있으나, 민주당은 신당과의 결합을 기반으로 우리당 추가탈당파 의원들이 가세하는 소통합을 우선 완성한뒤 세력을 점차 확산시켜 나가는 ‘순차통합론’을 고수하고 있어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일단 범여권이 양립체제로 분화되면 상당기간 이 체제가 계속될 가능성이 크며 대통합과 대선후보 단일화는 10월이나 11월께 가서야 극적인 성사 가능성이 점쳐진다.

우선 열린우리당 지도부는 6월14일이라는 시한 이전에 뭔가 가시적인 통합 논의의 성과를 내놓아야 한다는 절박감을 느끼고 있다.

하지만 밖으로는 민주당 박 대표의 강경론에 막혀있는데다 당내에서는 친노 대 비노그룹의 노선대립이 언제든지 터져나올 수 있는 휴화산처럼 버티고 있어 운신의 공간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

우리당 지도부는 일단 6월14일 이후에도 현 지도체제를 유지하면서 외부 시민사회세력이 제3지대에 원탁회의를 꾸리면 우리당과 민주당 일부 의원, 이미 우리당을 탈당해 중립지대에 있는 의원들 일부가 ‘제3지대’를 형성하는 방식의 대통합을 계속 추진한다는 입장이다.

20석을 가진 신당과 13석을 가진 민주당의 소통합 협상은 박상천 대표의 ‘배제론’을 둘러싼 이견으로 진통을 겪고 있고, 당초 지난주 중에 기본정책합의서를 발표하려던 계획도 유보된 상태이다.

신당은 정동영 전 의장을 비롯한 우리당내 기존 대선 예비주자들과 손학규 전 경기지사 등 다양한 후보군들이 통합세력에 참여해 경쟁토록 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민주당은 정 전 의장 등 참여정부와 열린우리당에서 핵심 역할을 해온 인물들을 배제해야 한다는 생각을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같은 진통에도 불구, 신당과 민주당이 처한 기본 조건을 볼 때 양측간 소통합 협상이 어떻게든 이뤄질 것이라는 관측이 다소 우세하다.

‘통합’을 명분으로 열린우리당을 탈당한 신당이 민주당을 배제하고 우리당과 다시 손을 잡을 수 없는 노릇이고, 민주당 역시 “민주당만으로는 대선국면에서 할 수 있는 게 없다”는 인식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신당과 민주당은 가급적 6월14일 이전에 소통합 협상을 완료해 우리당에서 추가로 탈당하는 의원들이 참여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겠다는 구상이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