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이 현 지도부의 통합 비상대권 종료시점인 6월14일을 기점으로 빅뱅을 예고하고 있는 가운데 소속의원들의 2차 집단탈당 움직임이 가시권에 접어들고 있다.
열린우리당내 통합파와 이미 우리당을 탈당한 무소속 의원 등 20여명은 휴일인 27일 저녁 회동을 갖고 대통합신당의 준비 단계로서 ‘창당준비위원회’를 결성하기로 하고, 이를 위해 현재 우리당 소속인 의원들은 6월14일 이전에라도 순차 탈당을 결행할 수 있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우리당 통합파 의원들이 탈당을 결행, 앞서 탈당해 중립지대에 있는 무소속 의원 및 민주당 일부 의원들과 함께 제3지대에 모여서 창준위를 구성하고, 이후 중도개혁통합신당과 민주당 본류가 참여하는 ‘새천년민주당 방식’의 신설합당을 통해 대통합의 틀을 완성한다는 것이 이들의 구상이다.
창준위 단계에서는 당적을 유지한 상태에서도 참여할 수 있도록 해 열린우리당 및 민주당 의원들의 탈당 부담을 덜어주는 방안도 포함됐다.
이같은 구상은 6월14일 이전까지 대통합의 흐름을 만들어내지 못하면 통합논의가 완전히 지리멸렬한 상태가 될 수밖에 없다는 위기감에서 비롯된 것으로 우리당내 일부 중진그룹과 초·재선의원들이 적극적인 반응을 보이고있다.
또 27일 회동한 그룹에 정동영 전 의장 계열의 박명광 김현미 의원과 김근태 전 의장 계열인 우원식 최규성 의원 등이 참석한 점도 주목을 끈다.
이같은 구상이 힘을 받기 위해서는 민주당 지도부가 소속 의원들이 탈당을 하든 당적을 유지한 상태든 ‘제3지대’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길을 열어주는 것이 최대 관건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와 관련, 민주당내 통합파인 김효석 원내대표와 이상열 신중식 채일병 의원 등은 지난 26일 광주에서 회동, 박상천 대표에게 대통합에 나서도록 설득하는 한편 중도개혁통합신당과의 통합협상이 여의치 않을 경우 현역의원 중심의 교섭단체 구성이라도 해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고 한 참석의원이 전했다.
이와 함께 정치세력화를 표방하는 시민사회세력이 중심이 돼서 내달 6월10일께 사회원로와 각계 전문가 그룹이 참여하는 국민운동체격인 가칭 ‘국민회의’를 출범시키고, 기성 정치권의 개혁성향 의원들을 합류시키는 방식을 추진중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