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 의원 30∼40명이 15일과 18일 시차를 두고 집단탈당을 결행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경기지역 의원들이 이번에 대거 탈당 대열에 합류할 것으로 전망된다.
우선 탈당을 공언한 정대철 상임고문과 김덕규 문학진 이원영 정봉주 신학용 한광원 김우남 의원 등 7명이 예정대로 15일 탈당을 실행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고, 그뒤 오는 18일 혹은 19일 중진의원들과 대선주자군을 포함한 20명 이상의 후속 탈당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정대철 그룹은 13일 오전 조찬회동을 갖고 예정대로 15일 탈당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18일 이후에는 25~30명 정도의 의원들이 탈당결행을 준비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문희상 전 의장과 김진표 정책위의장, 원혜영 이기우 강성종 심재덕 김선미 이석현 최성 박기춘 의원 등 경기지역 의원 10명과 이용희 국회부의장, 홍재형 최고위원, 박병석 선병렬 이상민 노영민 이시종 의원 등 충청권 의원 7명 그리고 서울지역 유인태 의원 등이 집단탈당 대열에 합류할 것으로 관측된다.
또 김근태 계열인 최규성 의원과 정동영 전 의장 계열 정청래 의원, 김재윤 안민석 이상경 양승조 한병도 김춘진 이영호 의원 등의 소그룹 단위 탈당도 18∼20일 사이에 이어질 전망이다.
이들의 탈당이 실현되면 현재 90석인 열린우리당은 50여석 규모로 급격히 규모가 줄어들고, 여기에 한명숙 전 총리와 김혁규 의원 등 친노성향 주자들과 유재건 의원 등 중도파 중진들이 가세하면 우리당의 왜소화는 더욱 가속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열린우리당의 향후 진로는 현 지도부의 통합비상대권 종료시점인 오는 14일 열리는 당 지도부-국회의원-당원협의회 운영위원장 연석회의가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정 의장 등은 중앙위원회를 새로 구성하는 대신 현 지도체제를 유지하면서 임시전당대회를 열어 최고의결기구인 연석회의의 권한을 연장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고 있으나, 친노진영의 반발 가능성이 높다.
또 23명에 달하는 비례대표 의원들을 출당 또는 제명 조치를 통해 자유롭게 진로를 선택할 수 있게 해주는 문제를 놓고도 논란이 빚어질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