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이명박 전 서울시장과 박근혜 전 대표 진영간 ‘당심’ 확보 신경전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당은 대선 후보 경선을 위한 책임당원 자격 기준을 지난주 우여곡절 끝에 현행 당규대로 ‘경선 공고일 이전 1년 동안 당비를 6개월 이상 납부한 당원’으로 확정했다.
이는 전체 선거인단의 50%인 대의원·당원 선거인단의 사실상 대부분을 채우게 될 1차적 표밭이 결정된 셈이다.
이에 따라 양진영은 대의원·당원 투표인단의 경우 여론조사를 제외한 나머지 선거인단을 구성하는 국민참여선거인단보다 상대적으로 접촉 방법이 용이하고 투표참여율도 월등히 높을 것으로 예상돼 모두 ‘당심’ 우위 확보에열을 올리고 있다. 이 전 시장측의 경우 각 지역 대의원 숫자에서 확실한 우위를 점하기 위한 막판 집안 단속에 주력하고 있다.
캠프 핵심 관계자는 24일 “대의원 1명이 70~80명의 책임당원을 확보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에, 대의원을 많이갖고 있는 캠프가 결국 ‘당심’도 많이 얻을 수 있다”며 “현재까지 우리 캠프가 130대 100 정도로 박 전 대표측을앞서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이 전 시장 측은 또 기존에 확보해 놓은 당원명부를 활용, 각 지역 책임당원들에 대한 성향 분석을 마친 뒤 아직 지지후보를 정하지 못한 당원과 지지후보를 바꿀 가능성이 있는 당원들을 집중공략하는 ‘맨투맨 마크’에 나설것으로 알려졌다.
박 전 대표측도 우선적 관심 대상을 대의원단 선정에 두고, 자파 소속 당원협의회 운영위원장들에 대한 확실한집단속과 최근 지지성향이 흔들리는 것으로 전해지는 몇몇 위원장들을 집중 공략해 자신들 편으로 확실히 돌려놓겠다는 방침이다. 경선전 막판에는 박 전 대표가 ‘관심지역’에 직접 전화를 걸어 지지를 당부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한 관계자는 “최근 여론조사 격차가 급격히 좁혀지며 이 전 시장 지지율이 급락함에 따라, 당협위원장 상당수가 동요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이런 지역들을 우선 대상으로 세 확장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양진영은 책임당원의 경우 원칙적으로 경선이 끝날 때까지 명단이 공개되지 않기 때문에, 지역별 조직을 활용해 열세지역에서 밑바닥 표심 확보에 최선을 다하면서 일반 당원을 포함한 전체 당원을 대상으로 전반적인 지지율 제고에 힘을 쏟을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