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지대 범여권 대통합에 맞서 통합민주당이 텃밭인 광주에서 집안단속에 나섰지만 힘에 겨운 모습이 역력하다.
중도통합민주당 박상천 대표는 25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지역단체장과 지방의원, 당원 등과 간담회를 갖고 당내 결속을 다졌다.
박 대표는 이 자리에서 광역단체장, 김홍업.유선호 의원의 탈당선언과 관련, “탈당은 민주당에 대한 배신행위이며 어리석은 행동”이라고 원색적으로 비난했다.
그는 또 “공천을 줘서 현재 자리에 있게 한 민주당을 떠나 일신 안위를 탐하는 것은 배신행위로, 공인으로서 해서 안될 일”이라고 말했다.
박 대표는 김대중 전 대통령의 차남인 김홍업 의원의 탈당에 몹시 신경이 쓰이는 듯 “DJ의 아들로 민주당의 상징성과도 관련돼 매우 중요하고 재고해 달라는 말을 전했다”고 아쉬움을 나타냈다.
문제는 박 대표의 이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날 참석자들의 `무게‘가 그리 무겁지 않다는 데 있다.
도미노 탈당을 막기 위해 긴급히 마련된 자리라고는 해도 400여 명의 참석자들 중 당내 고위급 인사는 소수에 불과했다. 주요 인사 초청에 나섰던 민주당 당직자들도 10여 명의 기초단체장과 30여 명의 광역의원 등 중량감 있는 지역 정치인들의 참여를 기대했으나 결과는 기대에 크게 미치지 못했다.
5명의 구청장 중 전갑길 광산구청장 이외에는 모습을 보이지 않았고 광역의원은 10여 명도 채 안됐다.
행사 도중에도 박 대표는 휴대전화 통화에 상당시간을 뺏기는 등 고민거리의 단면이 여러 곳에서 드러났다.
지역정가에서는 박 대표가 조만간 대통합파와 마지막 담판을 짓고 ‘몸값’을 최대한 부풀린 뒤 3지대 신당에 합류할 것 이라는 시각이 나온다.
이왕 신당에 참여할 것이라면 고집과 오기로 비친 ‘버티기’를 진작 포기했어야 했다는 지적도 없지 않다.
민주당 소속 지역 모 단체장은 “이미 지역의 여론이 대통합으로 기울어져 있는 데도 박 대표만 민심을 읽지 못하고 고집을 피우는 양상이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