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오후 YTN 주관으로 열린 제2차 한나라당 대선후보 TV합동토론회에서 ‘빅2’인 이명박 전 서울시장과 박근혜 전 대표는 쟁점마다 서로를 향해 날을 세웠다.
◇李-朴, 양보없는 설전 = YTN측은 특정 후보에게 질문이 집중되는 것을 막기 위해 주어진 시간 내에 반드시 두 명의 후보에게 질문하도록 했다.
이 전 시장과 박 전 대표는 다른 후보에게는 ‘짧게’ 질문 하나만 던지고 서로에게는 거듭된 질문을 통해 `허점’을 찾으려 애썼다.
박 전 대표는 이 전 시장의 `서울시장 재임시 부채 3조원 탕감‘ 주장과 관련, “캠프도 사실상 인정한 것으로 사실과 다르다. 이는 지도자의 정직성 문제“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이 전 시장은 이에 대해 “내용을 잘 파악하지 못한 것 같다. 기업경영 경험이 없어서, 회계처리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서 그렇다”면서 `무지의 소치‘라고 치부하면서 넘어갔다.
두 사람 간에는 “누가 자료를 잘못 뽑아준 것 같다”(이), “무조건 습관적으로 몰라서 그렇다는 식으로 말하는 건 유감”(박) 이라는 등 가시 돋친 언사가 오갔다. 이어 박 전 대표는 “이 전 시장이 지역가입자로 가입했다면 월 125만원의 건강보험료를 냈을텐데 조그만 회사를 만들어 2만원의건보료를 냈다. 형평성의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냐“고 문제를 제기했고, 이 전 시장은 ”어떻든 1년에 2억원 정도의 세금을 낸다. 몇만원을 절감하려고 의도적으로 하지는 않는다“고 반박했다.
◇남북정상회담 주요 이슈 = 남북정상회담 개최 문제도 토론회의 주요 쟁점으로 다뤄졌다.
이 전 시장은 답변에서 “대통령직을 그만 둘 때까지 (임무를 수행)해야 한다는 데 동의한다. 그래서 노 대통령의 임기말 정상회담에 반대하지 않는다”면서도 “그러나 집권 기간 서민들 살리는 일 보다는 너무 정치에 개입했다. 특히 한나라당 경선에까지 개입하는 모습을 보인 것은 걱정”이라고 말했다.
박 전 대표는 한나라당의 신대북정책이 철회돼야 한다고 보는 지에 대해서는 “겉으로 보기에는 문제가 없어 보일 수 있겠지만 상호주의를 포기하는 것”이라며 “9월에 의총을 열어 결정할 문제로 아직 (당론으로) 결정된 게 아니다. 반드시 기계적 1 대 1은 아니지만 상호주의는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홍준표 의원은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답방하지 않고 노 대통령이 평양에 가는 것은 한국에 올 때 신분 보장이 안 된다는 현실적 이유 때문일 것”이라며 “정상회담이 북핵 폐기를 위한 회담이라면 전 국민이 환영할 것이지만 한나라당 집권을 막으려고 한다면 국민이 일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원희룡 의원도 “한나라당이 집권하면 남북관계 개선이 후퇴하고 냉전 시대로 간다는 정치적 의도는 이제 잘 안 먹힌다”면서 “오히려 한나라당이 집권하면 평화체제를 앞당길 수 있다. 달라졌다는 이런 것을 국민에게 확신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