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옹진군 연평초등학교 강당에서 한국해양연구원 연안개발연구본부장 이광수 박사는 “해주모래는 채취량이 해마다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이고 주변 해역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추정돼 정책적 대안마련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고 15일 밝혔다
한광원 국회의원(인천 중·동구, 옹진군) 주최로 열린 ‘해주 해사채취에 따른 연평도 연안침식 및 어장 황폐화에 관한 정책토론회’에서 주제발표를 맡은 이 박사는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직접적인 피해는 단기적으로 해사채취 주변해역에서 수산자원의 감소와 해저지형 변화에 따른 해안침식 등을 들 수 있으며 간접적인 피해로는 해사채취 지역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해양생태계의 변화로 인한 어족자원의 변화, 주변 양식생물에 대한 피해 등을 들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단기적인 대안으로 부유 모래의 확산 방지를 위해 견고한 방지막을 설치하거나 금어기 해주모래 채취량 조절 또는 수입량 감축 등을 들 수 있고 장기적으로는 해주 해사채취 해역에서의 환경영향 남북한 공동조사를 통해 부존량 조사 및 적정 채취량 산정, 환경영향저감방안 도출 등을 생각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토론자로 참석한 오대석 통일부 남북교역물류팀장은 “해주 앞바다 모래 채취장소는 북방한계선(NLL) 이북 최소 15㎞ 이상 지역으로 제한하고 있다”며 “연평어장의 어획부진에 대해서는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으므로 우선 객관적인 조사가 선행돼야 하고 어획 부진의 원인이 모래 채취와 관련이 있다면 관계부처와 협의를 거쳐 필요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