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는 17일 재경, 통외통, 국방, 건교 등 14개 상임위별로 36개 소관 부처 및 산하기관에 대한 국정감사에 돌입했다.
국감 일정은 내달 2일까지 17일간 이다.
총 488개 정부 부처 및 산하기관, 재외 공관을 대상으로 실시되는 이번 국감은 17대 국회의 마지막 국감이자 대선을 불과 두 달 앞두고 열리는 것이어서 첫날부터 치열한 정치공방 양상을 띠었다.
대통합민주신당은 경부운하, BBK 주가조작 의혹, 상암DMC 특혜분양 의혹 등 한나라당 이명박 대선후보를 겨냥한 검증 공세에 나섰고, 한나라당은 2차 남북정상회담과 서해 북방한계선(NLL) 문제, 기자실 통폐합 조치 등을 집중 거론하는 동시에 신당 정동영 후보에 대한 역검증으로 맞섰다.
통일외교통상위의 통일부 국감에서 한나라당 의원들은 2차 남북정상회담이 비핵화와 인도주의 문제에 대한 해결 의지 없이 경협이라는 명목으로 천문학적 규모로 ‘퍼주기’를 약속하고 NLL에 대한 국민의 혼선을 초래한 회담이었다고 공세를 폈다.
이에 대해 신당 의원들은 2차 남북정상회담을 대북 포용정책의 승리라고 평가하면서 후속조치를 조속히 마련할 것을 정부에 촉구하는 한편, 한나라당과 이명박 후보의 대북정책은 철학과 일관성을 잃은 ‘기회주의적 접근’이라고 비판했다.
건교위의 건설교통부 국감에서 신당 의원들은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의 경부운하 공약의 문제점을 집중 제기했고, 재경부에 대한 재경위 국감에서 신당 의원들은 이명박 후보의 도곡동 땅 차명거래 및 증여세 포탈 의혹, BBK주가조작 의혹 등을 적극 제기하며 공세에 나섰다.
하지만 정무위는 이날 정부 중앙청사에서 총리비서실과 국무조정실에 대한 국감을 실시할 예정이었으나 국감증인 ‘강행 채택’ 문제를 놓고 한나라당과 신당 의원들이 몸싸움을 벌이며 대치하는 바람에 시작부터 파행을 빚었다.
행자위에서도 신당 의원들이 상암 DMC 건설의혹의 진상규명을 위해 이명박 당시 서울시장을 비롯한 서울시 관계자, 업체 간부 등을 증언대에 세워야 한다고 주장해 증인채택을 놓고 공방이 벌어졌고, 법사위에서는 신당측이 도곡동 땅과 BBK주가조작 의혹 사건과 관련해 이명박 후보 등의 증인채택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의사일정 변경동의안을 처리하자고 주장하자 한나라당이 신당 정동영 후보 처남의 주가조작 사건 연루의혹에 대한 문서검증을 신청하는 등 신경전을 벌였다.
한편 문광위의 문화관광부에 대한 국감에서는 정부의 소위 ‘취재지원선진화 방안’과 KBS수신료 인상 문제가 쟁점이 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