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대선 후보가 지난달 31일 교육 현장을 방문, 영어 공교육 활성화 방안을 담은 ‘영어교육 국가책임제’ 공약을 발표했다.
핵심 슬로건인 ‘차별없는 성장’, ‘가족행복 시대’의 연장선상에서 가족행복의 공적인 사교육비 문제의 출구를 공교육 정상화에서 찾아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의 ‘특성화 고교 300개 신설’ 공약과 선명한 대립각을 부각시키려는 포석으로 보인다.
정 후보는 이날 오후 강북구 미아9동 송중초등학교에서 ‘학부모와의 대화’를 갖고 학부모들이 느끼는 애로사항을 청취한 뒤 영어 공교육을 대폭 확대하는 ‘영어교육 국가책임제’를 발표했다.
공교육 정상화 의지를 강조하기 위해 교육환경이 상대적으로 강남에 비해 열악한 강북 지역을 방문 장소로 선정했다는 후문이다.
‘영어교육 국가책임제’는 방과 후 학교를 활성화, 원어민 교사 인재 풀 등을 적극 활용해 영어 사교육을 공교육의 틀로 흡수시켜 학부모·학생의 사교육비 부담을 해방시키겠다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그는 “영어를 제대로 가르치려면 연간 2천700시간이 필요한데 교육 현실은 900시간 밖에 되지 못하고 있고 나머지 1천800시간은 사교육비로 나가고 있는 실정”이라며 “1천800시간에 대해서도 정부가 책임지겠다”고 강조했다.
정 후보측에서는 이 공약의 별칭을 ‘정·동·영’(‘정’부가 책임지는 ‘동’등한 ‘영’어교육) 공약으로 정하고 브랜드화에 나서기로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