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하수처리장이 주민들의 님비성 집단민원으로 준공 후 한 번도 가동되지 못한 채 결국 고철로 폐기처분 된다.
시는 내년에 구미동 하수처리장을 철거하고 해당부지에 고등학교 등을 건립키로 했으나 건설 사업비 등 170여억원을 고스란히 날리게 돼 혈세를 낭비한다는 비난을 면키 어렵게 됐다.
26일 시에 따르면 한국토지공사가 용인시 수지지구를 개발하면서 발생하수 처리 목적으로 1997년 2월 건설한 구미동 하수처리장이 주민들의 집단민원이 발생, 내년에 철거하고 해당 부지(2만9천41㎡)에 가칭 구미고등학교(1만8천742㎡)와 오리공원 등을 건립키로 했다.
이로 인해 하수처리장 건설 사업비 150억원과 유지관리비 20억원을 날리게 됐다.
뿐만 아니라 기계 및 전기설비(구입비 44억원)는 재활용하기 어려운 수준으로 낡아 모두 고철로 매각될 예정이어서 사후 관리에도 문제가 있음이 드러났다.
구미동 하수처리장은 준공 당시 시험 가동중이었으나 하수처리장 인근 분당신도시 구미동 입주민들을 중심으로 혐오시설 폐기 주장에 따라 가동을 멈춘 채 현재에 이르렀다.
그간 시는 구미동 하수처리장을 가동하지 않는 대신 2011년까지 용인시 수지·구성지구 하수(하루 10만5천t)를 성남시 관할 복정동 하수처리장에서 위탁처리해주기로 하고 용인시, 토공과 협약을 체결했다.
이후 1998년부터 시설 인수에 대한 협의가 진행됐으나 인수비용과 활용방안 등에 대한 이견이 좁혀지지 않아 지난 9월에야 부지 및 시설 인수(토공→성남시)가 마무리됐다.
이 과정에서 용인시와 성남시간에 소유권을 둘러싸고 갈등이 불거지기도 했다.
두 지자체간 갈등은 결국 경기도가 나서 하수처리장 토지 감정가의 50%(95억8천여만원)를 용인시에 지급하는 선에서 마무리됐다.
이 와중에 토공은 무용지물상태인 하수처리장의 유지관리비로 매년 2억원씩 모두 20억원을 추가 낭비해야 했다.
시 관계자는 “시설 대부분이 녹슬고 단종된 부품으로 고철로 매각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