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문화유산 화성의 일부분인 남수문과 복개된 수원천 일부를 복원하는 ‘수원천 복개구간 복원사업’이 각종 행정 절차가 선행되지 않은 채 추진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수원시는 13일 오후 2시 수원시청 중회의실에서 수원천 복개구간 복원과 관련한 최종 보고회를 열고 교수, 업체 대표, 시민단체 등 각종 전문가 등의 의견을 청취했다.
수원천 복개 구간 복원 사업은 수원천 매교~지동교 780m를 복원하는 사업으로 시는 수원 도심을 통과하는 하천임을 고려해 100년 빈도의 통수단면을 확보한다는 구상이다.
또 지난 2004년 11월 발굴조사를 마친 남수문터와 관련된 남수문 원형 복원 사업을 위해 120억원의 예산을 확보해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시는 시·도비가 확보되는 대로 턴키방식으로 내년 초 공사를 발주하고 이르면 내년 하반기에 공사에 착공할 방침이다.
하지만 이날 최종 보고회에서 일부 참석자들은 남수문 복원과 수원천 복개구간 복원사업이 각종 행정 절차가 선행되지 않은 채 추진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경기도 이의재 하천과장은 “수원천 복개구간 복원사업은 경기도 제방사업에 포함되지 않고, 중앙계획에도 반영되지 않았다”며 “기본계획 수립에 앞서 행정 절차가 선행 돼야 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경기개발연구원 조영무 책임연구원도 “수원천 복원사업은 세계문화유산과 연계한 관광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만큼 내실있는 사업”이라며 “하지만 하천 기본계획 수립이 되지 않아 난관에 봉착할 수 있는 만큼 우선적으로 해결돼야할 과재”라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참석자들이 문제를 제기한 부분에 대해 수용할 수 있는 부분은 재정비하고 수정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