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은 2월을 넘기게 될 경우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비준 자체가 무산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CEO들은 비준이 무산되면 손해는 우리나라가 더 보게 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가 19일 최근 국내기업 CEO 101명을 대상으로 ‘한미 FTA 비준과 관련한 기업 CEO 의견’ 조사를 실시한 결과, CEO 63.7%가 이번 달 임시국회에서 비준 동의안이 처리되지 않을 경우 한미 FTA 비준 자체가 무산될 가능성이 있다고 응답했다고 밝혔다.
‘비준 무산 가능성이 적다’고 답한 경우는 34.3%였고, ‘지금보다 오히려 차기 정부 출범 이후 비준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는 경우는 2.0%에 불과했다.
‘비준이 무산될 경우 어느 쪽의 피해가 더 클 것인가’라는 질문에는 ‘우리가 더 피해를 볼 것(49.0%)’이라는 경우가 ‘미국이 더 피해를 볼 것(7.0%)’이라는 응답을 압도했다.
그 밖에 ‘둘 다 비슷한 정도의 피해’가 예상된다는 응답이 35.0%, ‘양국 모두 별로 피해보지 않을 것’이라고 답한 경우는 9.0%였다.
CEO들은 FTA 비준이 무산되거나 지연될 경우 우리나라는 ‘수출경쟁력 약화(47.5%)’와 ‘경제 선진화 지연(26.7%)’, ‘대외신인도 하락(11.9%)’, ‘한미동맹 약화(11.9%)’ 등의 타격이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또 CEO들은 ‘우리가 먼저 비준을 해 미국을 압박하는 것이 유리하다’라는 주장에는 67.3%가 공감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대한상공회의소 관계자는 “기업들은 빨리 한미 FTA가 비준되기를 바라고 있지만 이를 바라보는 국회의 시각은 기업들의 기대와는 차이가 있는 것 같다”며 “국회는 FTA 조기비준의 필요성을 외면하지 말고 지금이라도 신속히 비준 동의안을 처리해 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CEO들은 정부가 마련한 농업 등 피해산업 대책과 관련해 아직 ‘불충분하다’(56.1%)는 응답이 절반을 넘어 지속적인 피해산업 대책 추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