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1년 사업 발표이후 표류하던 용인시민체육공원 조성사업이 사업부지내 문화재 보존 문제에 암초를 만나 좌초될 위기에 놓인 가운데 사업부지를 변경해 추진하자는 의견들이 제기되는 등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사업규모 축소와 명칭변경 등에 이어 도시계획 반영 등으로 사업추진을 본격화하는 과정에서 부딪힌 문화재 문제외에도 천문학적인 사업비에 따른 실익논란과 향후 교통문제 등까지 맞물리면서 논란이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21일 시와 주민들에 따르면 2011년 완공 목표로 삼가동 일대에 주경기장, 암벽등반장 등을 갖춘 79만여㎡규모의 시민체육공원 조성을 추진했던 당초계획을 임야 보존 등을 이유로 지난해 10월 사업면적을 36만여㎡로 줄이고 완공시기도 2015년말로 연기하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문화재청이 부지 중앙에 위치한 조선시대 장군 안몽윤 묘소가 지표조사에서 문화재적 가치가 있다며 지난 2007년 3월부터 4차례에 걸쳐 현재 자리에 원형 그대로 보존하도록 시에 통보하면서 문제가 불거졌다.
또 묘소 이전을 요구했던 안씨 종중측이 지난 1월 18일 문화재청에 묘소의 원형 보존을 원한다는 공문을 보내면서 사실상 원형 보존이 확정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정상적인 사업추진이 난관에 봉착했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경기남부대표도시로 급성장한 시의 발전상에도 불구하고 각종 국제대회는 커녕 국내 종목별대회마저 개최할 변변한 체육시설 하나 없는 현실을 시민체육공원 조성사업에 적극 반영해야 한다는 새로운 의견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시민 김모씨(49·삼가동)는 “현재 부지는 지역 불균형 해소와 시민화합을 명분으로 선정됐지만 오총제 추진과 동부권 개발 가시화, 도로 개설과 교통개선, 주변여건 변화 등이 감안되지 않았다”면서 “변화된 여건에 맞춰 국제대회 유치 등이 가능하도록 부지를 재선정해 새롭게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익명을 요구한 시의원은 “2008년 시예산의 약 25%에 이르는 4천200억여원의 어마어마한 규모의 사업추진비가 토지보상 등의 과정에서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시 운영에 큰 부담이 될 것”이라며 “도시관리계획 변경결정 지연 등으로 해당 시민들의 피해와 민원만 증가할 바에야 개발행위허가 제한구역을 해제하고 원점에서 재검토하는 게 낫다”고 말했다.
한편 용인시민체육공원 예정지들은 지난 2004년부터 개발행위허가 제한구역으로 지정돼 매매 등 재산권 행사가 사실상 불가능한 상태로 조속한 사업추진과 대책마련을 요구하는 주민들의 민원이 이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