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민주당이 26일 단수 후보 지역을 시작으로 공천심사에 본격 들어간 가운데 비리·부정 전력자 배제 등 구체적인 공천 기준 마련을 둘러싸고 논란이 격화되고 있다.
이는 당헌상의 ‘비리·부정 전력자 배제’ 조항을 어떻게 구체화시키느냐에 따라 일부 인사들의 공천 당락이 좌우될 수밖에 없어 공심위의 최종 결정에 당 안팎의 관심이 집중돼 있기 때문이다.
당 공심위(위원장 박재승)는 전날 열린 2차 회의에서 5시간 가까이 마라톤 논의를 벌였으나 이견을 좁히지 못해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쇄신을 위해 최소한 한나라당 이상의 강력한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원칙에는 대체로 공감대가 형성됐으나 비리·부정 전력자의 범위를 어느 선까지 규정할 것인지에 대한 각론에 있어선 의견 접근이 이뤄지지 못한 것.
한나라당은 뇌물과 불법 정치자금 수수 등 부정·부패 관련 법위반으로 금고 이상의 형을 받은 경우 공천신청 자격을 박탈키로 결정한 바 있다.
하지만 총선 전망이 어두운 상황에서, 지나치게 기준을 강화할 경우 상대적으로 당선 가능성이 높은 후보들이 1차 관문에서 줄줄이 낙마하면서 의석 확보가 더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는 현실론도 일부 고개를 들고 있다. 이와 관련, 당 지도부도 개인비리가 아닌 경우 예외적으로 처리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의견을 간접적으로 공심위에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재승 위원장이 “오로지 국민의 눈에서 판단하겠다”며 성역 없는 공천쇄신을 강조해온 가운데 공심위가 세부기준에 대해 어떤 식으로 가닥을 잡느냐에 따라 향후 물갈이 규모를 가늠케 하는 첫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당장 신계륜 사무총장, 김대중(DJ) 전 대통령측 박지원 비서실장, DJ 차남인 김홍업 의원, 노무현 대통령 최측근인 안희정씨, 김민석 전 의원 등의 경우 공심위의 결정에 운명이 달려 있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 원칙적으로 엄격한 기준을 설치하되 개인 비리가 아닌 경우 등 ‘억울한’ 케이스에 대해선 당사자들의 소명을 들어본 뒤 판단하자는 쪽으로 절충점이 이뤄지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일부 제기되고 있다. 한편 박 위원장은 전날 회의에서 공심위원들로부터 “공천심사 과정에서 나온 내용을 일체 외부에 발설하지 않는다”는 내용의 서약서를 받아내는 등 철통 보안과 심사 과정의 공정성 보장을 위해 만전을 기하고 있다는 후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