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1년 동안 30대 그룹이 우리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29일 발표한 ‘대규모 기업집단의 국민경제적 비중’ 보고서를 통해 30대 그룹은 지난 1995년 이후 매출액과 자산ㆍ고용 등에서 비중이 크게 줄어들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비금융업(제조업과 서비스업 등)부분에서 30대 그룹의 비중은 지난 1995년 총자산 34.1%, 매출액 59.7%, 고용 40.3%를 차지했다.
그러나 11년만인 지난 2005년에는 총자산 19.2%, 매출액 35.6%, 고용 25.6%로 낮아졌다.
제조업의 경우에는 우리나라 30대그룹 계열기업수는 1995년 206개에서 2005년 218개로 큰 변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총자산은 62.8%에서 51.1%로, 매출액은 58.3%에서 50.4%로, 고용은 43.8%에서 32.4%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금융업의 경우 금산분리 정책 등으로 30대그룹 비중이 1995년 총자산 9.3%, 매출액 5.1%, 고용 6.1%에서 2005년 각각 8.3%, 4.2%, 1.5%로 큰 변화가 없었다.
그룹 규모별로 보면 4대그룹의 매출액 비중이 40.5%에서 22.0%로 절반 가까이 감소했다.
반면에 5∼10위 그룹의 비중은 14.0%에서 10.1%로 줄어드는 데 그쳤고 10위권 밖의 그룹들은 비중이 거의 변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연은 4대그룹의 비중이 큰 폭으로 축소된 것에 대해 “외환위기를 통한 대기업들의 사업구조 개편과 인력감축 등의 구조조정이 이뤄졌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한경연 관계자는 “정부는 글로벌 기업의 육성을 통한 국민경제 성장을 강조하고 있지만 이와는 반대로 우리나라 대기업들은 각종 규제의 대상으로 분류돼 오히려 성장이 제한되어 왔다”면서 “경제력집중 억제라는 명분하에 대규모 기업집단을 매년 지정해 이들 기업의 투자를 억제하는 것은 모순”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규제대상 대규모기업집단의 실체가 무엇인지, 나아가 선정된 대규모기업집단에 대해 모두 동일하게 규제하는 것이 타당한가 등의 구체적인 문제점이 존재한다”면서 “대규모기업단 지정제도는 폐지해야 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