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서정석 용인시장이 강력하게 추진해온 주택안정화정책이 고분양가를 잡았다.
용인시는 30일 “고분양가 논란에 올랐던 관내 신봉ㆍ성복지구 건설업체 중 3.3㎡당 분양가를 1540만원대로 조정한 5개 업체 2천100가구에 대해 분양 승인을 검토중”이라며 “편법인상 논란에 휩싸이곤 하는 발코니 확장비용과 옵션가격을 건교부와 시의 기준대로 조정, 신청하는 대로 이르면 31일 승인을 내줄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지난 4개월간 지속된 시와 건설업체간의 분양가 줄다리기가 곧 마무리될 전망이다.
시의 이번 결정으로 최초 3.3㎡당 1천800만원에서 1천935만원에 이르던 평균분양가는 최대 4백여만원까지 대폭 낮아져 시민들에게 공급되게 됐다.
또 ‘합리적 분양가 산정 및 집값안정, 부동산투기방지’를 목표로 ‘고분양가와의 전쟁’을 선포하면서 인내를 갖고 강력하게 업체들을 설득한 시의 노력이 마침내 결실을 보게 됐다는 평가다.
시민들도 고분양가 논란에 종지부를 찍는 것은 물론 무주택서민과 중산층의 내집마련의 기회가 늘어나게 됐다며 반기는 분위기다.
시민 A씨는 “고분양가를 잡겠다는 시의 강력한 노력으로 합리적인 가격에 내집마련의 꿈이 가까워진 것 같다”면서 “서정석 용인시장의 적극적이고 합리적인 주택정책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시는 이번 결정과 함께 분양가 줄다리기를 계속하고 있는 일부 업체에 대해 ‘반려’카드를 고수한다는 방침이어서 최악의 경우 사업승인 반려가 현실화될지도 모른다는 관측이다.
시 관계자는 “일부 업체와 협의를 계속하고 있지만 끝까지 분양가를 낮추지 않으면 승인을 반려할 계획”이라고 잘라 말하면서 “시의 최후 통첩안에 대해 업체들이 합리적으로 결정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A건설업체의 한 관계자는 “그간 시의 권고안을 충분히 받아들여 이미 마진 이하까지 분양가격을 낮춘 상태”라며 “더이상의 무리한 요구는 사업을 포기하라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B사 관계자도 “감보율이 비슷했던 관내 다른 지역과의 형평성도 맞지 않는다”면서도 “어떤 경우에도 사업승인 반려라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막고 시책에 부응하기 위해 끝까지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해 향후 추이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