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안에 수원 지역의 중·장기적인 개발을 위한 기틀이 마련된다.
또 공공기관 이전에 따른 부지 활용 방안 등에 대한 밑그림도 그려지고 있다.
14일 수원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해 12월부터 도시개발사업 또는 지구단위계획 등의 일관된 체계로 정비하기 위해 수원 전지역(12만1천103k㎡)을 대상으로 한 ‘2015년 수원 도시관리계획’ 수립에 들어가 연내에 완료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시는 사업비 6억100만원을 들여 용역을 발주하고 1차 용역 결과가 나오는 오는 5월 중으로 도시관리계획 제1차 입안 공고를 낼 예정이다.
검토가 이뤄지고 있는 계획(안)은 한 때 특혜 논란이 일었던 ▲수원 SK케미칼 주거용지 변경 ▲수원산업단지(3단지) 공업지역 결정 ▲권선구 행정타운 배후 지원단지(상업시설) 등이다.
또 국토해양부(구 건설교통부)가 올 연말 쯤 확정할 예정인 수원시 이전 대상 공공기관 활용 방안 등에 대한 계획도 함께 수립된다.
이를 위해 시는 지난달 25일 계획 인구 129만명으로 한 ‘2020 수원 도시기본계획변경(안)’에 대한 용역에 들어갔으며, 오는 2009년 3월 말 완료할 방침이다.
변경(안)에는 이전이 확정된 농촌진흥청을 비롯, 국세공무원교육원, 지방혁신인력개발원 등 12개 기관에 대한 활용 계획이 포함됐으며, 시는 이들 기관이 이전하는 오는 2012년까지 마무리 한다는 구상이다.
시는 이 같은 수원 지역 개발을 위한 청사진을 제시하기 위해 철야 근무도 아랑곳 하지 않는 등 고민을 거듭하고 있다.
시 도시계획과 임인수 팀장은 “수원 지역 개발을 위한 장기적인 청사진이 그려지고 있는 만큼 야근까지 해가면서 신중을 기하고 있다”며 “이번 관리계획수립 등은 시민 민원이 빗발치고 있는 부지 등에 중점을 두고 추진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