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24일 공개한 장·차관, 청와대 수석 등 ‘새정부 고위공직자 재산등록 신고내역’에 따르면 재산이 공개된 고위공직자 103명의 재산 평균액(본인과 배우자 재산 기준)은 22억 8천296만7천원인 것으로 집계됐다.▶관련기사 4면
특히 이명박 대통령은 103명의 재산 등록 대상 고위 공직자 가운데 가장 많은 354억 7천여만원을 신고했다.
국무총리와 국무위원들의 재산 평균액은 31억 3천800만원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따라 재산의 사회 환원을 약속한 이 대통령(신고가액 354억7천401만7천원)을 제외할 경우 고위 공직자 102명의 재산 평균액은 19억 5천792만3천원으로 다소 낮아졌다.
한승수 국무총리의 재산은 21억 1천341만원으로 국무총리를 포함한 국무위원 16명 가운데 8번째를 기록했다.
이 대통령과 류우익 대통령실장, 수석비서관 등 청와대 고위공직자 11명의 재산 평균액은 64억 5천770여만원이었으며, 이 대통령을 제외할 경우 35억 5천610만원으로 크게 낮아진다.
한 총리를 포함한 이명박 정부 초대 내각의 국무위원 16명의 재산 평균액은 31억 3천800여만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번 공개 대상자 가운데 이 대통령을 뺀 최다 자산가는 참여정부 당시 해양수산부 장관을 지낸 오거돈 한국해양대학교 총장으로, 144억9천여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반면 최성룡 소방방재청장은 4천558만3천원으로 신고 재산이 가장 적었으며, 이어 김태석 여성부 기획조정실장이 5천77만9천원으로 ‘1억원 미만’을 신고한 고위관료는 2명이었다.
이번 공개 대상자 103명 가운데 25명(24.3%)이 직계 존비속의 재산공개를 거부한 것으로 밝혀져 참여정부에 이어 현 정부에서도 공직자들의 ‘고지거부’ 현상은 여전한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윤리위원회는 7월말까지 이번 신고내역을 심사해 허위·누락 등 불성실 신고사실이 드러나면 경고, 해임, 징계 요구 등의 조치를 취하게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