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대학교의 법인 정상화를 위한 새로운 법인 영입을 놓고 학내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9일 경기대학교에 따르면 경기대는 육영사업에 대한 철학과 의지가 있고 경기학원의 교육목적을 실현할 의지가 있으며 대학발전에 상당한 재정적 기여가 가능한 자(법인)를 대상으로 지난 달 30일까지 인수희망서를 접수 받았다. 지난달 말까지 접수된 법인은 학교법인 인제학원을 비롯해 모두 3곳이다.
그러나 새 법인 영입을 놓고 현 이태일 총장 측근과 총학생회는 새 법인 영입을 반기는 반면 경기대 일부 교수들로 이뤄진 경기대학교발전위원회(이하 대발위)는 법인 영입이 학내 분규를 일으킬 것이라고 주장해 양측간의 갈등이 빚어지고 있다.
대발위는 법인정상화를 위한 실무추진위원회의 법인 정상화 과정에 의견 수렴이 없었고 임시이사선임 사유가 해소되지 않은 이상 법인 매각은 학내 분규만 일으킬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총장측근과 총학생회 등은 이들의 주장이 대안 없는 비판이며 사립학교법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행동이라는 입장이어서 법인 정상화가 자칫 학내 갈등으로 번지는 게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흘러나오고 있다.
순조롭게 진행되는듯 보였던 새 법인 영입에 제동이 걸린 것은 지난 4월25일.
경기대 동문교수 일동 이름으로 대학 내 붙여진 대자보를 통해 “학교 구성원과의 충분한 논의 없이 대표성만으로 새 법인 영입에 찬성하는 것은 문제가 있으며 재단영입을 추진할 경우 대학은 혼란과 법적 소송에 휘말리게 될 것은 분명하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달 14·21일과 지난 3일 회계학과 권봉상 교수 등 5명의 교수를 공동대표로 한 대발위가 동문교수 일동의 명의로 내붙은 대자보와 비슷한 내용의 성명서 등을 통해 ‘이태일 총장의 퇴진’을 촉구하고 나섰다.
대발위 공동대표 중 한명인 A 교수는 “환수금과 관련해 법적 다툼이 있어 임시이사 파견 사유가 해소되지 않은 상태에서 정상화를 제기하는 것은 학내 분규를 더욱 초래할 것”이라며 “학교 구성원으로부터의 의견수렴 절차를 거치지 않은 법인 정상화를 바로 잡아야 한다고 생각해 101명의 교수가 동참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같은 대발위의 주장에 대해 총학생회 등은 “구 법인의 복귀를 위해 대학 구성원의 염원인 대학 정상화를 방해하고자 하는 것이 분명하다”며 이들의 주장이 잘못됐다고 꼬집었다.
총장 측근인 B 씨는 “민사소송이 진행중인 환수금 문제는 구 법인의 문제로 재판결과를 기다리면서 학교 정상화를 추진하고자 새 법인 영입을 추진하게 된 것”이라며 “학교 명예 실추, 부정·비리 등 퇴진의 사유가 명백하지 않음에도 무능, 무책임 등을 들어 총장 퇴진을 촉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혔다.
총학생회 관계자 역시 “대발위 주장내용에 찬성의사를 표시했다는 100여명 교수에 대한 명단을 공개적으로 밝히지 않는 이상 이는 유령 집단에 불과하다”며 “10일 경기대 전 학과 학생회장 등이 참여하는 확대운영회의를 열고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해 이에 대한 입장을 밝힐 것”이라고 말했다.